본문내용
1. 한국무용의 기본동작 및 용어
1.1. 한국무용에서 사용하는 기본동작
1.1.1. 발의 동작
딛기: 뒤꿈치 딛기와 앞꿈치 딛기가 있다. 땅으로부터 발의 일부를 떼어 올리는 동작이다. 뒤꿈치부터 들어 올려 발끝을 바닥에서 떼면서 발목을 꺾어 발끝은 위로 향하게 하는 것이 떼기 동작이다. 들기는 땅으로부터 높이 발을 들어 올리는 동작이다. 걷기는 발을 옮겨 중심을 이동하는 것으로, 뒤꿈치 또는 앞꿈치부터 딛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전주기는 제자리에서 전신의 동작이 반복되는 경우를 말하는데, 한발 딛기, 전주며 딛기, 곱전주며 딛기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1.1.2. 발목의 동작
발목 꺾기는 발을 굽혀서 발등과 발끝을 위로 올리는 동작이다. 발목에서 발끝까지 곧게 뻗어서 펴는 것을 발목 펴기라 하며, 바닥에서 펼 수도 있고 공중에서 펼 수도 있다. 발을 앞으로 내어 놓고 발끝 방향을 안으로 또는 밖으로 꺾는 것을 발목 안/밖 꺾기라 한다. 발목을 안으로 또는 밖으로 돌리는 동작을 발목 돌리기라 부른다. 이처럼 한국무용에서는 발목의 다양한 동작을 활용하여 전통적이면서도 아름다운 무용수의 동작을 표현한다. 이는 한국무용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발목 동작의 섬세함과 정교함은 한국무용의 우아함과 고유의 미학을 잘 드러내주는 요소라 할 수 있다.
1.1.3. 무릎의 굴신
굴신 단계에서의 무릎의 방향은 양발을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 앞으로, 안으로, 밖으로 굴신할 수 있다. 그 종류에는 잔구비, 평구비, 큰구비, 앉은 구비, 앞구비, 뒷구비, 옆구비, 엇구비가 있다. 잔구비는 무릎을 살짝 굽히는 동작이다. 평구비는 무릎을 편 상태에서 중간 정도 굽히는 동작이다. 큰구비는 무릎을 크게 굽히는 동작이다. 앉은 구비는 한 무릎을 굽혀 앉는 동작이다. 앞구비는 무릎을 앞으로 굽히는 동작이다. 뒷구비는 무릎을 뒤로 굽히는 동작이다. 옆구비는 무릎을 옆으로 굽히는 동작이다. 엇구비는 한 무릎은 앞으로 다른 무릎은 뒤로 굽히는 동작이다. 이처럼 무릎의 굴신 동작은 매우 다양하며 방향에 따라 그 종류가 세분화되어 있다. 이러한 무릎 굴신 동작은 한국무용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동작이다.
1.1.4. 엉덩이의 동작
엉덩이를 뒤쪽으로 빼는 동작이다. 엉덩이를 빼는 듯이 하다가 허리에서 트는 동작이다. 엉덩이를 좌우로 흔드는 동작이다. 이러한 엉덩이 움직임은 한국무용의 중요한 기본 동작 중 하나이다. 엉덩이의 동작은 무용수의 안정감 있는 자세 유지와 동작의 우아함, 리듬감 등을 표현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한국무용이 지향하는 아름다운 선과 곡선미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엉덩이의 사용은 무용수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고 안정성 있는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특히 엉덩이 동작은 장단과 호흡을 일치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한국무용의 고유한 리듬감과 정서를 잘 드러내는 데 기여한다. 이처럼 한국무용에서 엉덩이 동작은 안무와 연기의 핵심적인 요소이자, 한국무용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본 움직임이다.
1.1.5. 상체의 동작
상체의 동작은 다양하게 표현된다. 바로 서기는 상체를 세우고 양팔을 밑으로 내리며 서 있는 동작이다. 앞으로 굽히기는 상체를 앞으로 숙이고 허리를 굽히는 동작이다. 바로 펴기는 앞으로 굽히기에서 바로 서기로 되돌아오는 동작이다. 가슴 젖히기는 가슴 위쪽을 뒤로 젖히는 동작이며, 가슴 모으기는 팔과 어깨를 안쪽으로 모으면서 가슴이 말리는 동작이다. 가슴 펴기는 가슴을 옆으로 펴면서 등이 뒤로 말리는 동작이다. 상체 틀기는 상체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돌리는 동작이다. 허리 꺾기는 허리의 위쪽 부분을 옆으로 꺾는 동작이며, 허리 돌리기는 허리를 양쪽으로 돌리는 동작이다. 어깨 돌리기는 양쪽 어깨를 올리고 내리면서 돌리는 동작이다. 엇바꾸어 어깨 올리기는 양 어깨를 한 번씩 들어 올리는 동작이며, 어깨 틀기는 어깨를 앞뒤로 트는 동작이다. 마지막으로 목 돌리기는 목을 오른쪽, 왼쪽으로 돌리는 동작이다.
1.1.6. 팔의 기본위치
팔의 기본위치는 다음과 같다. 팔은 몸통에 붙어있고 어깨와 팔꿈치가 곧게 펴져있으며, 손바닥은 안쪽으로 향한다. 손가락은 펴져있고 동물의 발톱을 연상시킨다. 팔의 기본위치는 한국무용의 동작을 위한 기본이 되는 자세이다. 팔의 모양새와 각도, 팔의 위치는 후속 동작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자세 유지가 중요하다. 이러한 팔의 기본위치는 한국무용의 아름답고 섬세한 상체 움직임을 연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1.7. 팔 메기
팔을 앞에서 뒤로 넘기는 것을 '열사위'라 하며, 팔을 뒤에서 들어 올려 앞으로 넘겨서 내리는 동작을 '업사위'라 한다. 또한 팔을 한쪽만 움직이는 것을 '홀사위', 양팔을 한꺼번에 쥐고 절하는 동작을 '겹사위'라고 한다. 그리고 똑같은 동작을 두 번 계속하는 것을 '쌍사위'라 부른다. 이처럼 한국무용에서는 다양한 팔 동작이 사용되는데, 이를 통해 우아하고 섬세한 상체의 움직임을 표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