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동맥류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맥류 케이스
1.1. 대동맥 질환
1.1.1. 동맥의 해부학적 구조
1.1.2. 동맥계 문진 및 진찰
1.1.3. 후천적 동맥질환
1.2. 대동맥 박리
1.2.1. 정의
1.2.2. 증상
1.2.3. 분류
1.2.4. 진단 및 검사
1.3. 복부대동맥류
1.3.1. 정의
1.3.2. 문진
1.3.3. 증상
1.3.4. 진단적 검사
1.3.5. 의학적 치료
1.4. 간호과정
1.4.1. 낙상의 위험성
1.4.2. 신손상
1.4.3. 변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맥류 케이스
1.1. 대동맥 질환
1.1.1. 동맥의 해부학적 구조
심장을 제외한 흉부 및 복부 대동맥과 가지, 그리고 사지의 동맥을 통틀어 말초동맥이라고 한다. 동맥은 내막(tunica intima), 중막(tunica media), 외막(tunica extern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소화된 혈액을 전신에 공급한다. 내막은 혈액과 직접 접촉하는 내피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중막은 평활근으로 이루어져 혈관 수축과 확장을 조절한다. 외막은 결합 조직으로 구성되어 동맥의 구조적 지지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동맥의 해부학적 구조는 산소화된 혈액을 전신으로 효과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1.1.2. 동맥계 문진 및 진찰
맥박수 및 심장 리듬을 평가하고, 양쪽 사이의 혈압을 측정한다. 경동맥 잡음 확인을 위해 경부를 청진하고, 부정맥 확인을 위해 심장을 청진한다. 잡음 확인을 위해 서혜부를 청진하며, 박동성 종괴(예: 대동맥류)를 평가하기 위해 복부를 촉진한다. 말초동맥 맥박을 촉진하고, 궤양, 괴저 및 손가락, 발가락의 말초동맥 색전을 확인하기 위해 상하지를 시진한다. 마지막으로 연속파 도플러와 혈압계를 이용하여 발목&위팔지수(ABI)를 계산한다. 이를 통해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을 진단할 수 있다.
후천적 동맥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은 동맥경화증이다. 동맥경화증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는 발목 상완 지수 (ankle- brachial index, ABI)와 맥파 전달 속도(pules wave velocity, PWV)가 있다. ABI는 하지 동맥 혈압을 상완동맥 혈압으로 나눠 계산하며, PWV는 두 동맥 지점 간 맥파 전달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계산한다. 이를 통해 동맥 경직도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동맥계 문진 및 진찰은 맥박, 혈압, 청진, 촉진, 시진 등 다양한 신체검진을 통해 동맥질환의 증상과 징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동맥경화증과 같은 후천적 동맥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1.1.3. 후천적 동맥질환
후천적 동맥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은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이다. 동맥경화증은 혈관 내막이 점진적으로 두꺼워지고 경화되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비탄력적이 되는 질환이다. 이를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는 발목 상완 지수 (ankle- brachial index, ABI)와 맥파 전달 속도(pules wave velocity, PWV)가 있다.
ABI 측정은 5분간 안정 휴식 후 anterior dorsalis artery 또는 posterior tibial artery 혈압과 brachial artery 혈압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혈압은 분모 값, 상완혈압은 분자 값이 되어 계산 후 임상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 정상 ABI는 0.9 이상이다.
PWV 측정은 혈관이 딱딱할수록 맥파가 더 빠르게 전달된다는 원리를 이용한다. 동맥 내 서로 다른 지점에서 두 개의 맥파를 기록하고, 두 지점 간 소요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PWV를 계산한다. 13m/s 이상이면 동맥경화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후천적 동맥질환의 위험요인으로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 비만, 부작용 있는 약물 투여 등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혈관 벽을 손상시켜 동맥경화증을 유발하고 동맥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위험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다.
1.2. 대동맥 박리
1.2.1. 정의
대동맥 박리(Aortic dissection)란 대동맥 내막이 파열되어 중막과 외막 사이로 혈액이 유입되어 대동맥이 갈라지는 질환이다.
대동맥은 지름이 약 1인치(2.5센티미터)이고 우리 몸에서 가장 큰 동맥으로 해부학적으로 상행 대동맥, 대동맥궁, 그리고 하행 대동맥으로 분류된다. 대동맥 박리는 40~60대에 흔하며 남성이 ...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2024). 대동맥박리.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2024). 대동맥류.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Rasmussen, Todd E, 『혈관외과 환자의 치료』, 바이오메디북, 2012,
일반응급처치 굿라이프, 2014, 김재호, 이담북스
성인간호학Ⅰ, 2012, 김금순, 김영숙, 수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2014, 조경숙 외, 현문사
임상간호와 영양, 2013, 번영순 외, 정담미디어
[네이버 지식백과]대동맥류. aortic aneurysm (국가건강정보포털)
성인간호학교과서Ⅱ (수문사)
이00님의 OCS정보
이00님의 차트기록지
00병원 신규간호사메뉴얼
00병원 간호부 임상간호 지침서
00W 간호 실무지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