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난소낭종 위장관 운동 기능 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난소낭종
2.1. 기능성 난소낭종
2.2. 난소의 상피세포성 양성 종양
2.3. 유피낭종
2.4. 난소섬유종
2.5. 난소 및 난관 악성 종양
3. 사례 분석
4. 간호과정
4.1. 여성 생식기(난관, 난소) 절제와 관련된 신체상 혼란
4.2. 수술에 따른 신체상 변화 및 수술 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4.3.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안위손상
4.4. 배액관, 유치도뇨관 등의 침습적 기구 삽입 및 수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난소낭종은 여성의 생식기관 중 하나인 난소에 발생하는 질병이다. 난소는 여성의 생식능력과 여성호르몬 분비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난소낭종은 여성의 건강과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난소낭종의 정의, 증상, 원인, 진단 및 치료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난소낭종과 관련된 간호과정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루어야 한다. 이를 통해 난소낭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관리와 치료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2. 난소낭종
2.1. 기능성 난소낭종
기능성 난소낭종은 배란 과정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양성 난소 종양이다. 여포 낭종, 황체 낭종, 난포막 황체화 낭종 등이 이에 해당되며, 가임기 여성의 배란 과정 중에 흔히 발생하여 관찰될 수 있다. 8cm를 초과하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수 주에서 수 개월 내에 자연 소실된다. 기능성 난소낭종은 대부분 자각 증상을 느끼지 못하지만, 일부는 복부 팽만과 불편감, 복통, 복부 압박 증상, 대소변 시의 불편감, 소화불량, 질 출혈 등을 호소할 수 있다. 또한 드물게 종괴가 꼬이거나 복강 내에서 파열되면 복강 내 출혈과 급성 복통이 유발될 수 있다. 기능성 낭종의 원인은 배란 과정에서의 장애가 주요하며, 출혈성 황체 낭종의 경우에는 임부가 출혈 성향을 가졌을 때 발생 빈도가 높다. 기능성 낭종은 보통 2~3회 월경주기 이내에 저절로 소실되나, 크기가 증가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2.2. 난소의 상피세포성 양성 종양
양성 난소 신생물은 자궁내막종, 기형종, 장액성 또는 점액성 난소 낭종, 농양 등이 해당된다. 이는 다양한 크기와 임상경과를 보일 수 있다.
자궁내막종은 선종성 양상을 보이며 상피성 난소암의 약 10~15%를 차지한다. 호발 연령은 40~50세이며, 자궁내막의 분비선과 유사한 형태의 조직을 가지고 중성 또는 산성 점액을 분비한다.
기형종은 생식세포종양으로 양성낭성기형종이며 어린이에게 흔히 발생한다. 이는 생식세포에서 기원하며 여러 개의 주머니로 이루어져 있고 그 안에는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에서 정상적으로 분화한 조직들을 관찰할 수 있다.
장액성 난소 낭종은 난소 표면 상피세포의 함입으로 발달하며 장액성 액체를 함유한다. 사종체가 발견되고 중피함입된 벽에 유두상 성장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양성 장액성 종양은 전체 난소종양의 약 25% 정도를 차지한다.
점액성 종양은 점액을 분비하는 상피세포가 있는 낭종성 종양이다. 발생 빈도는 20~30%로 장액성보다 약간 높으며 주로 20~40대에 나타난다. 양성의 점액성 종양은 전형적으로 엽이 있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다방성이고 10%이상에서 양측성이다.
이와 같이 난소의 상피세포성 양성 종양에는 자궁내막종, 기형종, 장액성 난소 낭종, 점액성 난소 종양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지며 다양한 임상경과를 보인다.
...
참고 자료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2021). 이은희 외 공저. 고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Meg Gulanick, Judith L. Myers,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난소낭종,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71
네이버 지식백과. 난소낭종,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46&cid=51007&categoryId=51007
여성건강간호학Ⅰ, 제 5판 (2020) 현문사, 박영주 외
KAMOL COSMETIC HOSPITAL, “자궁절제술과 난소절제술”, https://www.kamolhospital.com/ko/service/30/ftm-hysterectomy
Cambridge University Hospitals,“BSO”
https://www.cuh.nhs.uk/patient-information/bilateral-salpingo-oophorectomy-bso-risk-reducing-surgery/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Canadian Textbook for the support worker(Third Canadian Edition)-Mosb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