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유리체 출혈의 이해
1.1. 유리체의 정의와 구조
유리체는 안구 내용물 중 가장 큰 부피를 차지하는 구조물로, 안구 중심부의 공간을 채우며 투명한 젤의 형태로 존재한다. 앞쪽으로는 수정체, 모양체 소대, 모양체와 닿아 있고 뒤로는 망막과 시신경유두가 닿아 있다. 안구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투명하기 때문에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이 망막까지 무사히 도달할 수 있다.
유리체는 안구 내에서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으며, 그 성분의 98~99%는 물이다. 안구용적의 2/3(4.5cc) 정도를 차지한다. 유리체에는 콜라겐 섬유의 망상 조직이 있어 젤 형태를 띄게 되며, 콜라겐 섬유 사이사이의 공간은 히알루론산 등의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이 채워져 있어 유리체의 부피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나이가 듦에 따라 이러한 정상적인 구조의 변화가 나타나 젤과 같던 구조가 점차 물과 같이 바뀌는 액화가 진행된다.
유리체는 안구 내 공간을 채움으로써 안구의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광학적으로 투명하여 동공을 통해 들어온 빛이나 물체의 상이 망막에 맺힐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1.2. 유리체 출혈의 정의와 원인
유리체 출혈의 정의와 원인은 다음과 같다.
눈이 공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서 눈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겔 상태의 투명한 물질을 초자체 또는 유리체라고 한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망막, 맥락막, 모양체의 혈관조직에서 이 유리체 내부로 출혈이 생기는 것을 유리체 출혈이라고 한다.
유리체 출혈의 원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외상으로 인한 경우로 심한 안 외상, 망막 열공, 망막에서부터 유리체 막이 떨어지는 경우 등이 있다. 둘째, 망막의 출혈질환으로 인한 경우가 있다. 셋째, 당뇨망막병증과 같은 증식성 혈관질환에 의한 경우이다. 넷째, 망막 정맥 폐쇄증, 망막 혈관염, 맥락막 신생혈관증 등 혈액질환에 의한 경우가 있다. 즉, 다양한 원인으로 망막, 맥락막, 모양체의 혈관이 손상되어 유리체 내부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1.3. 유리체 출혈의 증상 및 경과
유리체 출혈의 증상 및 경과는 다음과 같다.
가벼운 출혈일 경우에는 시력장애 없이 비문증만을 느끼게 되며, 심한 출혈일 경우에는 앞이 전혀 보이지 않을 정도의 시력 감소를 보인다. 즉, 출혈의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초자체의 출혈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흡수되지만, 출혈이 심하거나 반복적인 경우에는 망막에 증식막이 형성될 수 있다. 증식막과 이를 비롯한 다른 섬유 조직들이 망막을 잡아당겨 망막박리를 일으킬 수 있다."
1.4. 유리체 출혈의 진단 절차
갑작스럽게 발생한 비문증이나 시력장애를 호소하는 경우 유리체 출혈이 의심되며, 이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치게 된다.
먼저 시력 및 안압을 측정하여 시력감소의 정도를 검사한다. 이후 세극등 검사를 통해 전안부 검사를 하게 되는데, 특별한 이상이 없으면 망막의 이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