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응급실에서의 환자 안전사고 예방의 필요성
응급실에서의 환자 안전사고 예방의 필요성이다. 응급실은 혈액과 고위험약물, 응급약물을 다루는 일이 많아 수혈사고와 투약오류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예약없이 모든 진료과의 진단, 처치, 입원 등이 이루어지고, 진료의뢰체계의 규제를 받지 않아 많은 환자들이 방문하며, 개방되어 있으므로 감염 위험성도 높다. 의료 인력 부족과 불안정한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오류들은 환자안전 위험을 높인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는 환자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환자안전을 위한 간호사의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지난해 1년 동안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는 총 11,953건(월 평균 약 996건)으로, 전년대비 2,703건 증가하였다. 환자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입원실(43.5%)이고, 응급실은 264건으로 전체의 2.2%를 차지한다. 낙상이 44.3%로 가장 빈번히 발생하였고, 투약오류(31.8%), 검사(6%), 물품 오염 및 불량(1.8%) 순이다. 이외에도 환자확인오류, 폭력, 화상, 욕창 등의 위험요인이 있다. 매년 환자안전사고의 보고 건수는 증가하는데, 이는 환자안전사고 발생률이 증가한다기보다는 환자안전 보고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자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환자안전사고로 많은 사람들이 일시적, 장기적 손상뿐만 아니라 사망에까지 이르는 경우도 있는데, 작년 통계를 보면 장기적·영구적 손상이나 사망 등 위해 정도가 높은 환자안전사고는 총 842건(7.1%)이다.
1.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응급실,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병원 등의 근무환경에서 일하는 간호사의 병원낙상 예방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환자안전문화 및 낙상예방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응급실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과 건강신념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낙상예방활동의 차이를 파악한다.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문화 인식, 낙상예방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다양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환자안전사고 현황
2.1. 환자안전사고 통계 및 추이
지난해 1년 동안 환자안전사고 보고 건수는 총 11,953건(월 평균 약 996건)으로, 전년대비 2,703건 증가하였다. 환자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입원실(43.5%)이고, 응급실은 264건으로 전체의 2.2%를 차지하였다. 낙상이 44.3%로 가장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투약오류(31.8%), 검사(6%), 물품 오염 및 불량(1.8%) 순이었다. 이외에도 환자확인오류, 폭력, 화상, 욕창 등의 위험요인이 있었다. 매년 환자안전사고의 보고 건수는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환자안전사고 발생률이 증가한다기보다는 환자안전 보고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자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환자안전사고로 인한 장기적·영구적 손상이나 사망 등의 위해 정도가 높은 사고는 총 842건(7.1%)으로 나타났다.
2.2. 응급실 환자안전사고 발생 현황
응급실은 혈액과 고위험약물, 응급약물을 다루는 일이 많아 수혈사고와 투약오류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예약없이 모든 진료과의 진단, 처치, 입원 등이 이루어지고, 진료의뢰체계의 규제를 받지 않아 많은 환자들이 방문하며, 개방되어 있으므로 감염 위험성도 높다. 의료 인력 부족과 불안정한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오류들은 환자안전 위험을 높인다. 매년 환자안전사고의 보고 건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환자안전사고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뜻이 아니라, 환자안전 보고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자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환자안전사고로 많은 사람들이 일시적, 장기적 손상뿐만아니라 사망에까지 이르고 있다. 작년 통계를 보면 장기적·영구적 손상이나 사망 등 위해 정도가 높은 환자안전사고는 총 842건(7.1%)이다. 즉, 응급실은 환자안전 위험이 매우 높은 곳이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대응이 필요한 실정이다.
3.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과 환자안전 간호활동
3.1.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응급실 간호사는 생리적, 심리사회문화적, 정신적, 영적 측면의 상급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다학제적 협동을 해야 한다. 응급실 간호사는 교육, 상담, 의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