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생물학 연구의 역사적 배경
과학공부를 잘하기 위해 먼저 읽어야 할 생물학의 역사적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우리가 현재 배우는 학문의 분류와 체계는 서양인들이 만든 것이다. 둘째, 서양인들이 대부분의 학문 분야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서양에서 나온 책들이 더 공신력을 갖게 된다.
서양인들은 생물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 분야를 개척하고 발전시켜 왔다. 그에 비해 동양에서는 일본 정도만이 나름의 입지를 굳히고 있었다. 이에 따라 최신 학문 분야에서 일본의 서적들이 많이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그러나 중국인이 집필한 이 책은 기존의 서양 및 일본 중심의 관점을 넘어 새로운 관점을 보여준다. 이 책에는 중국의 학문적 역사와 최근 발견들이 소개되고 있다.
물론 여전히 서양인들이 구축한 큰 틀 안에서의 설명이 주를 이루지만, 이러한 책들이 많이 발간되면 학문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의 내용은 기존 생물학 교양서적 못지않게 충실한 편이다.
1.2. 동양과 서양 관점의 비교
서양인들이 대부분의 학문 분야를 주도하고 있기에 그들이 지은 책들이 더 공신력을 갖게 되었지만, 동양에서도 나름의 학문적 전통과 발견이 있었다"" 이 책은 중국인이 지은 책으로, 기존의 과학 서적들에서 보였던 서양이나 일본의 관점을 넘어 중국의 학문적 역사와 최근의 발견들을 소개하고 있다"" 즉 이 책은 동양의 관점에서 생물학의 역사와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동양과 서양의 관점 차이는 의학의 아버지에 대한 인식에서도 드러난다"" 서양에서는 히포크라테스가 의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반면, 동양에서는 황제내경의 저자가 의학의 아버지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동양과 서양은 생물학 및 의학의 역사와 발전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2. 의학의 발전
2.1. 히포크라테스와 의학의 과학화
히포크라테스는 "의학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으며, 질병의 원인을 합리적으로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학의 과학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히포크라테스 이전에는 질병이 신에 의한 벌이라고 여겨져 주술사가 치료에 나섰지만, 히포크라테스는 이러한 종교적 관점을 벗어나 질병의 실제 원인을 탐구하고자 했다. 특히 해부학적 관찰을 통해 질병의 원인과 증상을 파악하고자 했는데, 당시에는 사람을 해부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히포크라테스는 해부를 시행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저서에는 해부를 통해서만 알 수 있는 수술법들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히포크라테스는 당시에 신비스럽게 여겨졌던 간질 등의 질병에 대해서도 종교적 두려움에 휩싸이지 않고 그 원인을 탐구했다. 그 결과, 간질의 원인과 증상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합리적 접근은 의학의 과학화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히포크라테스의 이러한 의학적 혁신은 당시 종교적 관점에 사로잡힌 대중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대중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주술적 치료법을 신뢰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아무리 탁월한 지식과 기술이라도 그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으면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히포크라테스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의학의 과학화를 위해서는 단순히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와 환경 조성이 필수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2.2. 현미경 발명과 생물학적 발견
현미경 발명과 생물학적 발견은 생물학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이정표였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라고 말했던 갈릴레이는 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우주뿐만 아니라 작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