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최초 생성일 2024.08.29
15,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생물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생체의 면역기구와 체계
1.1. 면역의 필요성
1.2. 면역에 관여하는 기관과 물질
1.2.1. 인체의 장벽
1.2.2. 점막
1.2.3. 분비물
1.3. 면역의 정의와 구분
1.4. 비특이적 면역과 특이적 면역의 비교
1.5. 비특이적 면역
1.5.1.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
1.6. 특이적 면역
1.6.1. 림프구의 정의와 구분
1.6.2. 세포성 면역
1.6.3. 체액성 면역
1.6.4. 1차 면역
1.6.5. 2차 면역
1.7. 면역 관련 질병
1.7.1.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1.7.2. 제I형 알레르기(Anaphylaxis type)
1.7.3. 제III형 알레르기(Immune complex type)
1.8. 인공면역
1.8.1. 능동면역
1.8.2. 수동면역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생체의 면역기구와 체계
1.1. 면역의 필요성

면역은 조직이나 기관에 손상을 입히는 항원에 저항하고, 생체의 내부 환경이 병원체나 세균 등의 항원에 대하여 저항하는 신체의 능력이다. 이러한 면역력이 저하되면 체내로 들어오는 병원체나 독소에 대한 저항능력이 떨어져 감기에 자주 걸리거나 내장 기관의 활동 능력이 저하되어 소화 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면역력 저하로 인해 대상포진, 만성피로, 빈혈, 피부 질환, 구내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몸은 외부로부터 침입하려는 병원체나 세균에 대해 방어하는 작용인 면역작용을 필요로 한다.


1.2. 면역에 관여하는 기관과 물질
1.2.1. 인체의 장벽

인체의 장벽은 가장 먼저 병원체를 방어하는 피부의 표면에 있는 미생물들이 외부의 병원체나 세균이 체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한다. 피부의 가장 바깥층인 각질층은 단단한 물리적 장벽을 이루고 있어 대부분의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체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한다. 피지샘에서 분비되는 피지는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의 산도를 적절히 유지시켜 세균이나 병원체의 생장을 억제한다. 또한 땀과 지방이 병원체를 제거한다. 장에 살고 있는 미생물 또한 외부에서 들어온 병원체의 생장을 억제한다. 이처럼 피부와 장은 인체의 주요 장벽으로서 병원체나 세균이 체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2.2. 점막

피부로 덮여 있지 않은 인체의 부위들은 세포층이 항원 침입에 비교적 약하지만, 표면이 점액으로 덮여 있어 병원체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한다. 점막에서 분비되는 점액은 병원체를 가두는 역할을 하며, 호흡 기관의 점막 주변에 분포하는 섬모는 점액에 잡혀 있는 병원체를 체외로 내보낸다. 또한 점액에는 라이소자임이라는 효소가 포함되어 있어 세균을 분해한다. 따라서 점막은 인체의 여러 부위에서 항원의 침입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2.3. 분비물

피부의 피지샘에서 분비되는 피지나 기름, 땀샘에서 분비되는 땀의 약산성 성분은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한다. 눈물이나 침에는 라이소자임이 들어 있어서 병원체와 세균 등 항원이 눈이나 입을 통해 체내에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또한 위로 들어온 병원체는 위에서 분비되는 위산과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해 제거된다. 즉, 분비물은 체내로 침입하려는 병원체를 억제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1.3. 면역의 정의와 구분

면역(immunity)이란 '역병을 면한다'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말로, 면역은 조직이나 기관에 손상을 입히는 병원체나 독소 등 항원에 저항하고, 생체의 내부 환경이 항원에 대하여 저항하는 신체의 능력이다. 면역은 항원의 종류와 관계없이 같은 방식으로 일어나는 면역인 비특이적 면역과 항원의 종류를 인식하고 항원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일어나는 면역인 특이적 면역으로 구분된다. 비특이적 면역은 신속하게 일어나지만 특이적 면역은 서서히 일어나며, 비특이적 면역은 이전에 항원이 침입한 적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동일하게 일어나지만 특이적 면역은 이전에 항원이 침입한 적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이전에 같은 항원에 노출된 적이 있으면 더 강하게 일어난다는 차이가 있다."


1.4. 비특이적 면역과 특이적 면역의 비교

비특이적 면역과 특이적 면역에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한다.

공통점은 비특이적 면역과 특이적 면역 모두 항원의 종류와 관계없이 외부에서 체내로 침입하는 항원에 대해 일어난다는 것이다. 즉, 외부에서 체내로 침입하는 병원체나 세균, 독소 등 항원의 종류와 관계없이 면역반응이 일어난다는 점이 두 면역의 공통점이다.

그러나 이 두 면역에는 차이점도 있다. 첫째, 비특이적 면역은 신속하게 일어나는 반면 특이적 면역은 상대적으로 서서히 일어난다. 체내에 항원이 침입하면 비특이적 면역이 먼저 작동하여 빠르게 방어를 시작하지만, 특이적 면역은 항원에 대한 기억세포가 생성되어야 하므로 비특이적 면역보다 느리게 작동한다.

둘째, 비특이적 면역은 이전에 항원이 침입한 적이 있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동일하게 일어나지만, 특이적 면역은 이전에 같은 항원에 노출된 적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면역반응의 강도가 달라진다. 즉, 특이적 면역은 이전에 같은 항원에 노출된 적이 있으면 더 강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비특이적 면역과 특이적 면역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 ...


참고 자료

[서적]High Top(생명1)
[두산백과]면역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3043&cid=40942&categoryId=32316
[서적]알기 쉬운 생물학
[네이버 지식백과]림프구(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8802&mobile&cid=51006&categoryId=51006
[네이버 지식백과]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04&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두산백과]알레르기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2800&cid=40942&categoryId=32799
[네이버 지식백과]자가면역질환(간호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00503&cid=60408&categoryId=55558
[네이버 지식백과]획득면역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41130&cid=55759&categoryId=55759
[두산백과]백신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0200&cid=40942&categoryId=32316
[두산백과]면역혈청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3051&cid=40942&categoryId=32316
Eric J. Simon, Jean L. Dicky, Kelly A. Hogan, Jane B. Reece, Campbell Essentil Biology with Physiology (fifth edition) PEARSON: England, 90-93 (2016)
Nick Dixon, Ali Hodgson, Biology Dynamic Learning: Hodder Education: London,19-21 (2016)
Harrigan, W. F., McCance, Margaret E., Laboratory methods in microbiology Academic Press: London, 8-9 (1966)
Geoffrey M Cooper, The Cell: A Molecular Approach. (2nd edition) Sinauer Associates: Washington, D.C. (2000)
Kenneth Keegstra, Plant Cell Walls. Plant Physiology 154, 483–486 (2010)
Wernegreen, Jennifer J, Endosymbiosis. Current biology 22, 555-561 (2012)
Ann L.Miller, The contractile ring. Current biology 21, 976-978 (2011)
Rita B. Moyes,Jackie Reynolds,Donald P. Breakwell, Differential Staining of Bacteria: Gram Stain. Current Protocols in Microbiology
Wright, A.J. The Penicillins. Mayo Clin. Proc .74, 290–307 (1999)
Sagar Aryal, Simple Staining- Principle, Procedure And Result Interpretation. Microbe Notes (2021)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