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의 답례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의 전통혼례
1.1. 의례문화
1.1.1. 신부 집 중심의 혼례 절차
1.1.2. 신랑 집 중심의 혼례 절차
1.1.3. 한국-중국 혼인 절차의 습합
1.2. 혼례 용어와 관용 표현
1.2.1. 혼례 관련 어휘
1.2.2. 혼례 관련 속담
1.3. 혼례 속 정신문화
1.3.1. 음양오행 사상
1.3.2. 상징문화 - 숫자와 색깔
1.4. 혼례 관련 제도문화
1.4.1. 혼인의 조건
1.4.2. 불혼의 조건
1.4.3. 이혼 제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의 전통혼례
1.1. 의례문화
1.1.1. 신부 집 중심의 혼례 절차
한국의 고유한 혼인 의식은 신부 집에 그 중심이 있었다. 고구려의 데릴사위제 절차에서 이러한 경향이 잘 드러나 있는데, 혼인하기로 약속을 하면 신랑이 될 사람이 해질 무렵 신부 집 대문 앞에 무릎을 꿇고 장인 될 분에게 딸과 혼인하게 해달라고 간청을 하였다. 신부 아버지가 이를 허용하면 혼례식을 거행한 후 부부의 연을 맺었다. 이후 혼인 생활은 신부 집 뒤편에 새롭게 만든 서옥에서 행하였다. 즉, 혼례의 절차와 생활공간이 여성 집을 중심으로 하여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이후에도 지속되어 한국 고유의 혼인 풍속을 이루었다. 혼인식을 신부 집에서 거행한 후 처갓집에서 생활하면서 노동력을 제공해 주다가 처부모에게 재산을 상속받고 장인 장모를 위해 제사를 봉양하는 것이 일반적인 혼인 풍속이었다. 이렇듯 신부 집 중심의 혼례풍속에는 여성 존중의식과 남녀 대등 사상, 그리고 모계 중심의 재산 상속 관념이 투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1.2. 신랑 집 중심의 혼례 절차
중국식 혼인절차인 친영(親迎)은 신랑이 직접 신부를 맞이하여 신랑 집에서 혼례식을 거행하는 방식이다. 이 절차는 남자 중심의 가부장제 질서를 반영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중국식 혼인 절차가 도입되었지만 전통적으로 여성 중심의 혼인 풍속이 강했기 때문에 그대로 시행되지는 않았다.
대신 중국의 친영(親迎) 절차와 한국의 여성 중심 혼인 절차가 절충된 형태로 발전하였다. 즉, 혼례식은 신부 집에서 거행되지만 이후 생활은 신랑 집에서 하는 절충적인 방식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중국식 친영 절차의 핵심인 '신랑이 신부를 데리고 오는' 의식은 유지되었으나, 실제 혼례 의식 자체는 신부 집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중국식 친영제와 한국의 여성 중심 혼례 풍습이 습합된 결과라 할 수 있다.
혼례 절차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랑이 해질 무렵 신부 집에 가서 전안례를 올린 후 신부를 데리고 와서 교배례와 합근례를 올리고 초야를 보내게 된다. 다음 날 신부가 시부모를 뵙고 인사를 올리는 폐백 의식을 치른 후 3일간 생활하다가 다시 친정으로 돌아가는 우귀 의식을 행한다.
이처럼 절차상 신랑이 신부를 데리고 오는 친영 방식이 유지되었지만, 실제 의식은 신부 집에서 이루어지고 생활만 신랑 집에서 하는 절충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중국식 혼인절차와 한국 고유의 여성 중심 혼인 관행이 결합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습합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은 남존여비 사상과 가부장제 질서가 강조되었다는 점이다. 비록 신부 집에서 혼례를 치르긴 하지만, 결국 신랑 집에서 생활하게 되고 자손 세대는 친가의 가풍을 이어받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전통적인 한국 사회의 가부장제적 가치관이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1.1.3. 한국-중국 혼인 절차의 습합
한국-중국 혼인 절차의 습합은 중국식 혼례가 한국에 유입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중국의 전통혼례인 주육례(朱六禮)와 주자가례(朱子家禮)의 영향을 받아 두 가지 혼례 절차가 한국에서 모두 시행되었다.
중국식 혼례는 신랑이 신부를 친히 맞이해 와서 혼례식을 거행하고 생활하는 방식인 '친영(親迎)'을 핵심으로 한다. 그러나 한국의 전통적인 혼례는 신부 집...
참고 자료
권영한, 「사진으로 배우는 관혼상제」, 전원문화사, 1998
남상민, 「우리나라의 전통 혼례」, 예학, 2003
려증동, 「전통혼례」, 문음사, 1996
문형진 외, 「세계의 혼인문화」, 한국외대 외국학종합연구센터, 2005
배용파 편저, 「한국인의 관혼상제」, 온북스, 2006
문형진, 「혼례 속에 담긴 문화요소들과 그 의미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역사문화연구 40, 2011
양민정, 「다문화 가정을 위한 전통/현대 혼례 활용의 상호 문화교육 연구 :
한국, 중국, 베트남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7, 2014
장정희, 「전통혼례 상차림의 장식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전문대학 논문집
27,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