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부정맥의 정의와 중요성
부정맥은 정상동리듬에서 벗어난 리듬으로, 발생기전에 따라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및 혼합장애로 인한 부정맥으로 구분된다. 부정맥은 조기박동부터 갑작스러운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심실성 빈맥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부정맥은 심각한 심질환의 신호일 수 있고, 심하면 뇌졸중까지 유발할 수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우리나라 10대 사망 원인 중 2위가 심혈관질환으로,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부정맥은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질병이라고 할 수 있다.
1.2.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SVT)의 개요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갑자기 맥박이 빨라졌다가 돌연 정상적인 맥박으로 돌아오는 발작성 빈맥이다. 대부분 리엔트리(reentry)에 의해 발생하며, 동방결절, 심방, 방실접합부에서 기인한다. 정상적인 심장 리듬은 동방결절의 자동적인 흥분에 의해 시작되는데, 동방결절이 기능을 상실하면 하위조직이 대신 전기 자극을 형성하여 잠재성 박동조율기로서 심박동을 조율하게 된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부정상적인 전류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요 유형으로는 심방빈맥, 방실회귀성빈맥, 방실결절회귀성빈맥 등이 있다.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정상적인 방실전도로 외에 부가적인 우회로가 존재하는 경우 회귀성 빈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방실결절 내에 전도속도가 빠른 전도로와 느린 전도로가 공존하는 경우 방실결절회귀성빈맥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전류 흐름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심장박동수가 증가하는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이 발생한다. 이 빈맥은 150-250회/분의 규칙적인 심장박동을 보이며, 증상으로는 심계항진, 현기증, 호흡곤란, 흉통, 실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심전도 검사와 전기생리학 검사가 필요하며, 치료 방법으로는 미주신경 자극, 약물 투여, 전기적 심율동전환, 도자절제술 등이 있다.
1.3. 연구 목적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PSVT)의 정의와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심장의 상부에서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는 빈맥 현상으로, 일상생활을 방해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중요한 질병이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심장에서 자극이 발생하는 위치와 전도 경로에 이상이 생겨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심장박동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의 주요 증상에는 심계항진, 가슴 답답함, 현기증,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악화되면 실신이나 심부전까지 초래할 수 있다.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은 심전도 검사와 전기 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약물 치료, 전기적 심율동 전환, 도자절제술 등의 치료법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의 정의와 중요성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마련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부정맥의 분류와 발생 기전
부정맥은 정상동리듬에서 벗어난 리듬으로, 발생기전에 따라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및 혼합장애로 인한 부정맥으로 구분된다. 자극형성장애에 의한 부정맥은 발생부위에 따라서 다시 심실상성과 심실성 부정맥으로 분류되며, 심실상성 부정맥은 His속 이상, 즉 동방결절, 심방, 방실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이고 심실성 부정맥은 His속 이하, 즉 심실 또는 심실 이하 부위에서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정상동리듬은 동방결절에서 자극이 시작된 정상적인 심장의 리듬이 전도체계를 따라 차단 없이 잘 전달될 때의 리듬으로, 규칙적이고 심박동수가 분당 60회에서 100회 사이이다. 자극전도장애는 자극전도계의 빠른 전도로와 느린 전도로의 상태에 따라 발생하며, 혼합장애는 자극형성장애와 전도장애가 함께 발생하는 부정맥이다. 부정맥의 발생기전은 전기자극 형성장애와 전도장애, 그리고 이 두 가지가 복합된 혼합장애 형태로 나뉜다. 정상적인 심장리듬은 동방결절 세포의 자동적인 흥분에 의해 시작되며, 자극형성장애 시 이소성박동과 이탈박동이 나타난다. 자극전도장애는 빠른 전도로와 느린 전도로의 상태 차이로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