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가족신화의 종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족신화의 개념과 특성
2.1. 가족신화의 정의
2.2. 가족신화의 유형
2.2.1. 신화
2.2.2. 전설
2.2.3. 우화
2.2.4. 민담
3. 가족신화 사례 분석
3.1. 「흥부 놀부」
3.2. 「단군신화」
4. 가족신화의 교육적 활용
4.1. 인물 및 사건 구성의 특징
4.2. 교육적 의의와 활용 방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아동의 교육에서 문학작품을 활용하는 것은 아동의 흥미를 끌어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영유아의 아동이 특정한 주제에 대해 오랜 시간 집중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렇게 아동의 집중력을 유도할 수 있는 문학작품은 교육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아동의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문학 작품도 내용과 특징에 따라 여러 장르가 존재하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작품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가족신화의 개념과 특성
2.1. 가족신화의 정의
가족신화는 가족 내에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 비공식적이고 암묵적으로 통용되는 가치관, 신념, 행동양식을 말한다. 가족신화는 단순히 어릴 적 들었던 이야기를 넘어서, 가족 구성원들이 자신의 가족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공유된 관념이자 믿음이다. 가족신화는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과 관계, 행동을 지배하고 구조화하여 가족 체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가족 내에서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온 신화적인 이야기는 가족 구성원들의 정체성과 세계관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가족만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만들어나간다. 이처럼 가족신화는 가족 체계를 유지하고 가족 구성원들의 행동을 규제하는 규범적 기능을 지니고 있다.
2.2. 가족신화의 유형
2.2.1. 신화
신화는 신들의 이야기를 담는 경우가 많다. 신화에는 신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사건들뿐만 아니라 실제 존재하는 지역 및 자연 현상 등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담고 있어 아동의 흥미를 쉽게 이끌어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단군신화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건국신화가 존재하며 이러한 이야기들은 실제적 사건에 허구적인 내용을 덧붙여 형성된다. 단군신화에서는 환웅이 인간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신단수에 내려와 사람이 되고 싶은 곰과 호랑이를 만나 방법을 알려주고 그들 가운데 주어진 목표에 도달한 곰만이 인간으로 변해 고조선의 시초인 단군 왕검을 낳게 된다. 이러한 신화는 우리나라의 역사가 환인과 환웅이라는 신에 의해 시작된 것이라는 자부심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2.2.2. 전설
전설은 어떤 특정한 사건에 관한 이야기를 담거나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자연물이나 생물, 무생물 등의 발생에 관한 이야기를 담는 경우가 많다. 전설의 경우에는 다른 동화들과 다르게 비교적 구체적인 시대, 인물, 장소가 나타나며 이야기의 구조가 복잡하게 구성되는 경향...
참고 자료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가족문제와 복지 / 이영숙, 박경란 외 1명 저 / 신정 / 2008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이상교 저, 교과서 전래 동화, 아이즐북스, 2011
오은영 저, 허유리 그림, 우리 아이 첫 전래동화, 효리원, 2011
김현자, 조미영 외 1인 저, 아동문학, 창지사, 2015
강문희 외, 가족상담 및 심리치료, 신정,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