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쉰 광인일기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루쉰 광인일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루쉰 광인일기의 주제와 특징
1.2. 군대 부조리와 식인행위의 비교
1.3. 연구 목적과 필요성

2. 본론
2.1. 군대 부조리의 지속성과 순환성
2.2. 『광인일기』 속 식인행위의 지속성과 순환성
2.3. 군대 부조리와 식인행위의 당연시 여김
2.4. 개인의 의식 전환과 사회적 개선의지의 필요성

3. 결론
3.1. 군대 부조리와 식인행위의 공통점
3.2. 사회 부조리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
3.3. 새로운 세대와 사회변화에 대한 기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루쉰 광인일기의 주제와 특징

루쉰 광인일기의 주제와 특징이다. 『광인일기』는 중국 근대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봉건사회의 전통윤리와 구습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주인공 광인은 사회에 만연한 식인풍습을 목격하고 이를 부정하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려 한다. 이를 통해 작품은 당시 중국 사회의 도덕적 타락과 인간성의 상실을 고발하고 있다.

특히 광인의 내면에 드러나는 불안감과 공포감은 봉건사회에 대한 작가의 부정적 인식을 대변한다. 광인은 주변인들이 자신을 해코지할 것이라 의심하며 안전감을 느끼지 못한다. 이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억압받는 사회 구조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보여준다.

또한 작품은 식인행위를 통해 전통 윤리의 타락상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역사적으로 누적된 식인 관행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광인은 이를 부정하고 개선을 요구한다. 이는 봉건주의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이자, 새로운 가치관의 정립을 추구하는 작가의 의도를 보여준다.

결국 『광인일기』는 봉건제도 하의 중국 사회를 면밀히 관찰하고, 그 부조리한 단면을 적나라하게 폭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작품은 전통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새로운 문화 창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는 루쉰의 문학적 세계관이 잘 드러난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1.2. 군대 부조리와 식인행위의 비교

군대 부조리와 『광인일기』 속 식인행위는 지속성, 순환성, 당연시 여김이라는 공통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먼저, 군대 부조리는 언제부터 있었는지 정확한 기원을 특정하기 어려우나 6.25전쟁 때부터, 더 나아가 독립군 때부터 지속되어 왔다는 주장이 있다. 이처럼 군대 부조리는 생긴 이후로 지금까지 지속되어 왔다. 마찬가지로 『광인일기』 속 식인행위 또한 상고시대 때부터 계속 이어져 내려왔다고 묘사된다. 광인이 "반고가 천지를 개벽한 이후 역아의 아들까지 계속 잡아먹었고, 역아의 아들이 잡아먹힌 후부터 쉬시린까지 계속 잡아 먹혔고, 쉬시린 이후 낭자촌에서 붙잡은 사람까지 계속 사람을 잡아먹었다."라고 진술하여 식인행위의 지속성을 강조한다.

다음으로 순환성의 측면에서, 작중 병장이 일병을 가혹행위로 괴롭히다가 자리를 비운 사이 일병이 자신의 후임들에게 똑같이 가혹행위를 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처럼 가해자가 피해자가 되어 가해 행위를 반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광인일기』에서도 광인이 자신도 모르게 누이동생의 고기를 먹고 살았다는 것을 깨닫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자신 또한 식인의 굴레에 있었음을 인정하는 것으로 순환성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당연시 여김의 측면에서, 작중 병장이 "군대에서는 당연히 그래도 되는 줄 알았어..."라고 말하며 병영 부조리를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광인일기』에서도 광인과 청년의 대화에서 "그럴수도 있죠, 예전부터 그래왔으니까..."라며 식인행위를 당연시한다. 이처럼 오래전부터 그래왔기 때문에 문제의식 없이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이와 같이 군대 부조리와 『광인일기』 속 식인행위는 지속성, 순환성, 당...


참고 자료

엄영욱, 노신의 문학사상 연구, 중국인문과학, 10,1991
이주노, 노신의 <광인일기>의 문학적 시공간 연구, 중국인문과학, 17, 1998,
이주노, 노신의 <광인일기> 다시 읽기-그 의사소통구조를 중심으로-, 중어중문학, 30, 2002
윤민재, 한국사회의 군대문화와 군의문사형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7
권인숙. "징병제하 인권침해적 관점에서 군대문화 고찰." 민주주의와 인권 9.2 (2009)
윤민재. "민주화과정에서의 군의문사와 군대폭력." 경제와사회 104. (2014)
루쉰, 박정원 옮김, 『狂人日記』,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차이나데이터큐레이션, 2017,
, NETFLIX ORIGINAL, 2021
이종민, 「계몽에 대한 현실주의자의 고뇌 읽기-노신의 [광인일기]를 중심으로」, 『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39-258, 2004.
[고전 톡톡 다시 읽기] (53) 노신 ‘광인일기’, 최태람, 서울신문, 2011-01-31.
김도희. "광인일기의 창작기법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2010. 경기도 1쪽 참고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6429b4badad872d5ffe0bdc3ef48d419&keyword=%EA%B4%91%EC%9D%B8%EC%9D%BC%EA%B8%B0
노신 저. 이민수 옮김 『아Q 정전』 혜원출판사. 2001.
루쉰 저. 이욱연 역 『광인일기』 문학동네. 201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