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흉곽 해부와 생리
정상적인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운반하는 한 가지 기능을 하는 액체로 채워진 기관이다. 심장은 종격동에 위치해 있으며 신체의 변화 요구에 적응한다. 종격동은 기도, 식도, 대동맥과 주요 혈관과 구조들을 에워싸고 있다. 폐는 엽으로 구분되는데 오른쪽 폐는 3개의 엽, 왼쪽 폐는 2개의 엽으로 되어 있다. 흉곽은 밀폐된 곳으로 혈관과 기관지를 통해 종격동에 연결되어 있다. 밀폐된 폐는 횡격막과 종격동에 인접하여 있다. 폐를 둘러싼 흉벽은 sternum에 연결된 흉벽 어느 한쪽의 늑골을 함유하고 있다. 늑골과 늑간근은 내부 기관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기관은 목을 지나 흉부로 가서 두 갈래로 나뉘거나 좌·우 주기관지로 분리된다. 기관지는 공기를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폐포로 가도록 지휘하는 기도이다. 폐는 장측 늑막으로, 흉강은 벽측 늑막으로 덮혀 있다. 이 두면의 사이는 정상적 호흡 시에 폐가 부풀고 줄어드는 동안의 마찰을 감소시켜주는 윤활제 같은 역할을 하는 소량의 액체로 차 있다. 이 두 늑막 사이의 잠재적인 공간을 늑막강이라고 한다.
1.2. 정상 호흡
정상 호흡은 동맥의 산소(O2), 이산화탄소(CO2) 및 수소(H+)의 변화에 예민한 화학수용체를 포함하고 있는 중추신경계(CNS)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흡입된 공기가 폐로 들어가고 횡격막이 이완과 수축을 하는 동안 늑골은 올라가고 팽창되며 흉골은 팽창된다. 흡기가 끝나면 중추신경계는 호흡 중추에게 충분한 공기가 들어 왔다는 신호를 보내고 그리고 나서 호기가 시작된다. 호기시 횡격막은 이완되고 늑골은 수축되고 흉강의 크기가 줄어든다. 이 때 폐가 압축되어 폐 용적이 감소된다. 횡격막은 본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흉막 공간에는 음압이 있으며 이것 때문에 흉막 내압이라고 불리는 진공 또는 흡인력이 생긴다. 이 진공은 폐를 흉벽에 대해 지지시키며 흡기시 폐와 흉곽을 팽창하게 한다.
1.3. 폐에 영향을 미치는 상태
폐질환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기흉은 흉막강에 공기가 차면서 폐 조직의 일부가 허탈되는 상태이다. 기흉의 원인은 외상, 폐질환, 의료시술 등 다양하며, 증상으로 호흡곤란, 흉통, 호흡음 감소 등이 나타난다. 긴장성 기흉은 공기가 흉막강으로 들어가지만 배출되지 못해 계속 누적되어 위험한 상태를 초래한다. 이는 심각한 생명 위협 상황으로 응급 처치가 필요하다.
혈흉은 외상이나 항응고제 치료 후 흉막강 내 출혈로 발생하여 폐 기능을 저하시킨다. 출혈로 인한 저혈압,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흉부 X-ray 검사를 실시한다. 혈흉 환자는 흉관 삽입술과 자가수혈 등의 치료적 중재가 필요하다.
흉막삼출은 늑막강 내 액체가 축적되어 폐 조직을 압박하는 상태이다. 이는 심장 수술이나 폐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침범된 쪽의 호흡음 감소와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흉막삼출 환자에게는 배액관 삽입 등의 처치가 필요하다.
농흉은 폐렴이나 농양, 감염 등으로 인해 늑막강 내 고름이 생기는 상태이다. 발열, 농성 객담, 흉부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며, 배농관 삽입과 항생제 투여 등의 처치가 필요하다.
이처럼 다양한 폐질환과 흉강 내 병변은 폐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환자의 증상과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2. 기흉
2.1. 폐 허탈의 원인
폐 허탈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외부 흉벽이나 흉막이 손상되어 공기가 흉막강 내부로 들어가는 개방성 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자상, 총상, 늑골골절, 심폐소생술 중이나 외상으로 인한 흉막강의 개방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흉부 수술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유발되기도 한다.
폐의 질환이 있는 경우 자연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폐섬유증, 낭포성섬유증 등의 기존 폐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주로 나타난다. 이차성 기흉은 일차성 기흉보다 증상이 더 심하고 저산소증과 고이산화탄소혈증이 동반될 수 있다.
외부 충격이나 사고로 인한 외상성 기흉도 발생할 수 있다. 스포츠 활동이나 자동차 사고 등으로 폐가 관통되거나 갈비뼈가 부러질 경우, 인공호흡기 사용 중 또는 내시경 시술 중 발생할 수 있다.
긴장성 기흉은 공기가 흉막강으로 유입되지만 밖으로 배출되지 않아 흉강 내압이 계속 상승하는 경우이다. 이로 인해 심장과 혈관이 눌려 혈압 저하, 경정맥 팽창, 부정맥 등이 나타난다.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2.2. 진단과 증상
기흉은 흉부 방사선 촬영이나 동맥 가스혈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폐의 허탈 정도는 백분율로 표시되며, 35% 기흉은 폐의 부분적인 허탈을 의미한다. 기흉 환자는 숨가쁨, 호흡 증가, SaO2 감소 또는 저하, 침범된 쪽의 호흡음 소실, 피하내 폐기종이나 crepitus 촉지, 타진 시 높은 공명음 등의 증상을 보인다.
긴장성 기흉의 경우 환자는 날카로운 흉막 통증을 호소하며, 혈압 저하, 경정맥 팽창, 호흡 악화, 부정맥 등의 심각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방사선 촬영을 통해 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