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징애영유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 및 의미
1.2. 장애영유아의 문제행동 사례 고찰
2.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2.1.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필요성 및 목표
2.2.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수단
2.3.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대상 집단
2.4.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내용
2.5.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효과
3.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국내 사례
3.1. 경기도 사례
3.2. 부산시 사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 및 의미
영유아기는 발달과 변화의 시기로 정상 발달 범주에 있는 다양한 문제행동들이 나타날 수 있다. 유아특수교육 서비스를 받고 있는 장애영유아들 또한 발달과 학습,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주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시간이 흘러서도 지속되거나 빈도와 강도가 심해져 습관성 문제행동으로 고착되기도 한다. 장애영유아들의 문제행동 수정을 위한 방식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이 많이 활용된다. 긍정적 행동지원은 장애영유아의 입장을 존중하는 접근으로, 문제행동을 중요한 의사소통 행위로 바라본다. 즉, 일반적인 환경에서의 학습, 생활, 놀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또래와 함께 일반 학급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정상화된 접근 방식을 취한다. 또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유아들이 적합한 사회성 기술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타인과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기술 등 바람직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시켜 또래관계 형성 및 행동문제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매우 교육적인 접근이다.
1.2. 장애영유아의 문제행동 사례 고찰
장애영유아들은 발달과 학습 그리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주는 문제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들이 보이는 문제행동은 시간이 흘러서도 지속되거나 오히려 빈도와 강도가 심해져 습관성 문제행동으로 고착되기도 하는데, 이때 문제행동에 대한 적절한 교육 또는 중재를 제공받지 못하고 학령기에 접어든 영유아들은 또래로부터의 거부, 교사와의 부정적인 상호작용, 학업 실패, 학교 부적응, 사회 부적응 등 다양한 결과로 이어지면서 이후 정서 및 행동장애로 진단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 장애유아가 교실을 서성이다가 대집단 시간을 알리는 전체 지시어를 들었지만 전체 지시어에 반응을 보이지 않아 교사의 개별적 촉구로 대집단 장소로 이동을 하지만, 두 발을 구르다가 몸을 좌우로 움직이기 시작하며, 교구장의 놀잇감을 만지거나 혼잣말하기, 또래 몸을 만지는 행동을 반복하였다. 교사는 이 행동을 관찰한 후, 장애유아의 행동이 대집단 활동에 방해를 준다고 판단하여 변화시킬 행동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처럼 장애영유아들은 또래나 교사가 장애영유아의 행동을 제지했지만, 소리를 크게 낼 뿐 멈추지를 않아 사회성에 있어서 약점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2.1.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정책 필요성 및 목표
발달 선별검사에서 '심화평가 권고'를 받는 장애위험영유아의 증가 추세가 보고되고 있으며, 장애위험영유아에 대한 조기 발견 및 상담, 치료 연계, 개별화 교육 지원 등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장애위험영유아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장애 영유아와 달리 장애위험영유아에 대한 보육현장의 일반적 인식과 이해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며 장애위험영유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선별하여 부모와 교사의 협조하에 적절한 지원과 교육을 제공한다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장애 정도와 2차 장애 예방을 할 수 있다. 현행법상 교육장 또는 교육감이 장애의 조기 발견을 위하여 관할 구역의 어린이집 유치원 및 학교의 영유아 또는 학생을 대상으로 수시로 선별검사를 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나 실효성 있게 작동하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또한 「장애 아동복지 지원법」상 장애의 조기 ...
참고 자료
김은영(2012),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주현주(2009),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문제행동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나리(2018),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유아와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현경(2021). 장애위험영유아 느는데.. 언제까지 보육교사가 몸을 갈아넣어 버텨야 하나?. 베이비뉴스.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6827
경기도여성가족재단(2020). 경기도 장애위험영유아 지원 가이드북 개발
경기도여성가족재단(2021). 경기도 장애위험영유아 지원을 위한 상담지원인력 운영 매뉴얼 개발
경기도여성가족재단(2020).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공정한 교육기회 보장 차원에서 추진돼야. 경기도뉴스포털. https://gnews.gg.go.kr/briefing/brief_gongbo_view.do?BS_CODE=s017&number=44663
김승현, 이병인(2021). "장애위험 영아의 조기 발견 및 맞춤형 양육지원에 관한 실행연구: 일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를 중심으로." 특수교육논총 37.1, 227-264.
신석주(2022). 부산시, 원스톱 지원으로 발달장애 아동 조기 발견 나선다!. 경남도민뉴스. http://www.gndnews1.com/news/article.html?no=152119
오승혁(2022). “장애 위험 영유아 지원” 경기도 ‘영유아 발달지원’ 서비스 3,700명 신청.. 329명 치료 연계. 어린이 뉴스. https://www.koreacen.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47
육아정책연구소(2021). 장애아동 관련 실태조사 및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이지효, 김영팔, 황영범, 고재욱(2018). "장애위험영유아 조기중재의 효과와 행정지원 방안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3, 173-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