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기흉 정의 및 원인
기흉이란 가슴막안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 폐의 일부 혹은 전체가 허탈된 상태이다. 기흉의 가장 큰 원인은 가슴막 천자를 잘못했을 때나 가슴 수술시 사고로 생긴 외상, 양압 환기로 인한 압력외상이다. 가슴막 천자, 가슴 수술, 양압 환기 등의 의료행위 과정에서 가슴막이나 폐가 손상되어 공기가 가슴막강으로 유입되면서 기흉이 발생한다. 또한 폐결핵,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만성 폐질환에서도 원인 불명의 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기흉은 의인성 요인과 병적 요인에 의해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1.2. 기흉의 유형
기흉은 크게 자발기흉과 외상성 기흉으로 구분된다. 자발기흉은 외상 이외의 다른 원인으로 가슴막안으로 공기가 누출되어 축적되는 상태로, 폐가 허탈되는 것이다. 자발기흉은 다시 원발성 자발기흉과 속발성 자발기흉으로 나뉜다. 원발성 자발기흉은 기저 폐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서 발생하며, 주로 10대 후반에서 30대의 키가 크고 야윈 사람에게서 잘 발생한다. 속발성 자발기흉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가장 흔한 원인이며, 결핵, 천식, 폐렴, 종양 등의 기저 폐질환이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외상성 기흉은 가슴 외상으로 폐를 관통하든 안하든 발생하며, 늑골골절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그 외에도 칼과 같은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거나 총에 맞는 경우에도 기흉이 발생할 수 있고, 중심정맥관 삽입이나 흉곽천자와 같은 의료시술 과정에서도 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긴장성 기흉은 숨을 들이쉴 때 공기가 흉막강 속으로 유입되지만 숨을 내쉴 때 공기가 배출되지 못해 흉막강 속의 압력이 점점 높아지는 상태이다. 이는 자발기흉과 외상성 기흉 어느 경우에나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기계환기나 심폐소생술 동안 발생한다.
1.3. 연구의 필요성
기흉 사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기흉은 가슴막 안에 공기나 가스가 고여서 폐의 일부 또는 전체가 허탈되는 상태이다. 기흉의 주요 원인에는 가슴 외상, 양압 환기, 폐질환 등이 있으며, 증상으로는 흉통과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기흉의 유형에는 자발기흉, 긴장성 기흉, 개방성 기흉 등이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흉부 X-ray, CT 등의 진단검사가 필요하며, 치료로는 산소 공급, 흉관 삽입 및 배액, 수술적 치료 등이 시행된다. 기흉 환자의 간호중재에는 호흡양상 관리, 흉관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이 포함된다.
기흉은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는 질환으로, 신속하고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흉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부족하고 초기 증상이 경미한 경우가 많아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흉의 증상, 진단, 치료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흉 간호 실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기흉 환자의 예후 향상과 간호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2. 본론
2.1. 기흉 사례연구
2.1.1. 대상자 정보
본 사례연구 대상자는 76세 남성 환자로, 기흉으로 인해 응급실을 통해 내원하였다. 대상자는 기흉으로 인한 입원 및 퇴원을 반복하며,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이다. 대상자는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으며, 2013년 후두암 수술을 받았고 2011년 폐암 진단 후 40차례 항암 및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또한 2013년에는 임파선 전이로 인해 수술을 받았다. 대상자의 키는 168cm, 체중은 75kg이며, 최근 체중 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상자는 혼인 상태이며, 가족으로는 아들 3명이 있다.
2.1.2. 병력 및 과거력
입원동기는 pneumothorax로 입·퇴원을 반복하시는 분이다. 금일(1/25) dyspnea가 있어 ER를 통해 내원하였다. 주 증상은 Left Chest pain과 dyspnea이다. 과거력으로는 당뇨병이 있다. 입원경험으로 2015년 11월 15일 응급실에 내원하여 3-4시간 전부터 chest pain과 dyspnea가 있었다고 한다. 가족력으로는 당뇨병이 있다. 수술경험으로는 2013년 후두암(서울 삼성병원), 양쪽 백내장(연세안과, 완치), 2011년 후두암으로 인한 40차례의 항암 및 방사선 치료, 2013년 임파선 전이로 인한 수술 등이 있다.대상자는 76세 남성 환자로, 과거부터 pneumothorax 증상으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해왔다. 현재 입원 사유는 금일(1/25) 발생한 left chest pain과 dyspnea 때문이다. 과거력으로는 당뇨병이 있으며, 2013년 후두암 수술, 양측 백내장 수술, 2011년부터 시작된 40차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