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시각디자인과
1.1. 시각디자인의 개념 및 특성
시각디자인이란 정보화 사회에서 시각을 통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디자인이다. 인쇄매체와 영상매체가 발달한 현대사회는 시각적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시각디자인은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으며 급속도로 그 범위가 광범위해지고 있다. 즉 초기에 평면적인 인쇄매체에 의존했던 것과 달리 TV, 컴퓨터의 등장에 힘입어 영상매체에 의한 컴퓨터 그래픽, 전시회 박람회 같은 입체공간의 이미지 관리를 위한 시각 전달 영역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용어로 더 일반화되어 있는 시각 디자인은 광고 매체로서의 회화적 표현수단이나 문자, 또는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한 것에서 그 원형을 찾을 수 있다. 오늘날 인쇄술과 전파매체, 사진의 발달에 의한 시각(vision)의 확대는 지각대상을 확대시켰으며, 그래픽 디자인은 종이(인쇄술)에서 텔레비전 CF·영화·대형간판, 그리고 슈퍼 그래픽(super graphic)이라고 말하는 환경 그래픽(environment graphic)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그래픽 디자인, 또는 시각 디자인은 대중을 조종하고, 설득하고, 변형시키고, 교육시키는 감화형식을 시각적으로 창조해야 하기 때문에 대중에게 봉사한다는 윤리적 책임감이 그 기본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각디자인은 '사회적인 예술(social art)'이라고 할 수 있다.
1.2. 시각디자인의 분류
시각디자인은 주로 인쇄기술에 의하여 대량생산되는 선전매체의 시각적 디자인을 말한다. 즉 상업 디자인 중에서도 평면적 조형요소가 큰 것으로, 포스터, 신문, 잡지 광고, 표지, 일러스트레이션, 지도, 포장, P.S광고 등의 디자인을 포함한다.
영상디자인은 영상이라는 매체, 즉 사진, 영화, TV, 그리고 애니메이션 등을 다룬다. 영화와 TV광고는 화상과 음을 수반한 전달 수단이므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가능한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정확하고 빠르게 전달해야 한다.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물체를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움직이게 한다는 점에서 순간적 동작에 관한 전문성이 필요하다.
포스터디자인은 인간의 시각을 통하여 의사나 사실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표현방법도 변화해왔다. 포스터는 타 매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가치를 포착해야 하며, 여전히 현대 그래픽디자인에서 중요한 매체이다.
광고디자인은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를 자극하고 구매행동을 촉진하여 판매효과를 거두는 상업선전을 말한다. 광고는 매스미디어와 SP미디어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활용하고 있다.
포장디자인은 상품을 보호하고 수송이나 진열의 목적으로 제품을 담는 용기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소비자에게 주의와 흥미를 끌어 구매를 유도하는 것도 중요한 역할이다.
편집디자인은 서적, 잡지, 신문 등의 편집을 위주로 하는 디자인이다. 문자와 이미지, 기타 시각요소를 예정된 페이지에 배치하고 페이지 간 흐름을 만들어내는 일이 핵심이며, 타이포그래피, 인쇄기술, 출판재료에 대한 전문성이 필요하다.
일러스트레이션은 광고나 출판물의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되는 그림, 삽화, 디자인, 만화 등의 비주얼을 말한다. 정보의 시각적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아티스트의 창의적 표현이 중요하다.
타이포그래피는 문자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서체의 디자인이 중요하다. 본문 활자체인 보디 타입과 제목이나 광고 등에 활용되는 디스플레이 타입으로 구분된다.
1.3. 시각디자인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시각디자인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기존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것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은 시각디자인 분야에서도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책 디자인 분야에서 딱딱한 활자체 대신 손으로 서툴게 쓴 제목이 유행하고, 잡지를 비롯한 기업의 로고에서도 포스트모더니즘적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TV 광고에서도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이 드러나기 시작했는데,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통일적인 내면의 원리에 의해 종속될 수 없다는 점, 주체의 해체, 과거의 망각과 현실의 구경거리화로 인한 역사성의 빈곤, 일관된 의미 재현의 불가능성 등이 나타났다.
영화와 비디오 아트 분야에서도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이 드러났는데, 영화에서는 모방, 혼합, 파편화 등의 특성이 나타났고, 비디오 아트에서는 백남준의 작품에서 볼 수 있듯이 형태의 파괴, 색의 파괴, 인간 내면의 복잡성 표현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이처럼 시각디자인 분야에서도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이 점차 확산되면서 새로운 양상으로 표현되고 있다.
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2.1. 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징
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징이다. 모더니즘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한 예술 사조이다. 모더니즘은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을 중시하며, 전통적 양식과 규범에 얽매이지 않는 새로운 형식과 표현 방식을 추구한다. 모더니즘은 과학과 기술의 발달, 산업혁명과 도시화, 세계 대전 등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발전하였으며, 예술가들은 더 이상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자신의 시대를 표현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모더니즘은 기존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미학적 가치를 추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근대 사회의 변화와 불안정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모더니즘의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리성과 객관성을 중시하며 전통과 관습을 거부한다. 둘째, 개인의 독창성과 진실성을 강조한다. 셋째, 단순한 형식과 기하학적 구조, 추상성을 추구한다. 넷째, 새로운 기술과 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다섯째, 예술을 위한 예술, 즉 예술성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 이와 같은 모더니즘의 특징은 시각디자인 분야에서도 나타났으며, 이는 제품디자인과 환경디자인에서 확인할 수 있다.
2.2.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징
포스트모더니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