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상자교육계획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1.1. 주제 선정 이유
1.2. 요구 사정
2. 계획 설정
2.1. 학습 목표
2.2. 수행 계획
2.3. 평가 계획
3. 교육 수행
3.1. 당뇨의 이해
3.2. 혈당 조절의 목표
3.3. 자가혈당 측정법
3.4. 당뇨 식사 요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개요
1.1. 주제 선정 이유
당뇨병은 완치가 되지 않아, 일생동안 철저한 자기관리가 요구되는 만성질환이다. 따라서 당뇨병은 병 자체보다는 질병 경과에 따라 발생 가능한 합병증의 예방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엄격한 혈당 조절을 통해 만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 항목들에 대한 조사를 살펴보면 식사요법을 지속적으로 이행하는 경우가 적고, 자기관리에 대한 실천율이 낮아 당뇨병으로 인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유발되고 있다. 그러므로 당뇨병 관리에서 환자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적절한 교육을 통해 질병의 경과를 개선하고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합병증이나 불필요한 검사도 줄여주어 의료비용의 절감에도 도움이 되기 위해 보건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1.2. 요구 사정
지역사회 당뇨 노인의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자가관리 행위와 삶의 질 정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 특성이 자가관리 행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가관리 행위에 있어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교육수준, 당뇨 이환년수 및 주관적 건강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은 주관적 건강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당뇨 자가관리 지식 중 식이에 대한 지식이 특히 부족하였으며, 혈당 체크에 대한 행위 일수가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삶의 질은 통증, 불편감 항목에서 가장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식생활을 반영한 식이교육 지침과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당뇨 노인이 자가혈당감시 행위를 잘 이행하지 않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계획 설정
2.1. 학습 목표
- 2022년도 당뇨 교육 참여자 20명 중 15명 이상은 교육 시행 후 혈당 목표 수치를 알고 자가 혈당 측정법과 당뇨 식이에 대해 말할 수 있다.
- 20명의...
참고 자료
정진규 외. "당뇨병 환자 교육에 따른 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기관리행위의 변화". 농촌의학·지역보건 42.4 (2017): 235-236.
이송흔. "지역사회 당뇨노인의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행위 및 삶의 질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9 (2017): 164.
류민희 외. “당뇨병 환자에서 단계별 식사교육의 효과”. 제13차 대한당뇨병학회 춘계학술대회.
심강희 외. “자가혈당 측정결과기반 당뇨교육 프로그램이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013)
삼성서울병원. 당뇨교육실. 당뇨교육 처방받은 분을 위한 안내문.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DM&MENU_ID=002007)
서울아산병원, 당뇨병식. (https://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mealtherapy/mealTherapyDetail.do?mtId=46)
보건교육학/이유정 외/고문사 2020
간호와 영양 / 박순옥 박옥진 배문혜 배선희 이유진 한숙원 외 편역 / 현문사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고혈압 환자를 위한 생활습관 [건강플러스]
https://www.youtube.com/watch?v=uPETHTb69E8
보건 복지부 “고혈압”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광진구 보건소 “고혈압ㆍ당뇨ㆍ고지혈증 관리”
https://www.gwangjin.go.kr/health/main/main.do
서울대학교병원 “고혈압 예방가이드”
https://tv.naver.com/sn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