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간호과정 적용의 필요성
지역사회는 일정한 지역 안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이 구성하는 사회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구성원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전체의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사회 간호과정은 이러한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과정이다.
지역사회 간호과정을 통해 지역사회의 다양한 측면, 즉 지리적 특성, 인구구조, 건강수준, 환경 특성, 오락과 휴식, 지역사회 자원 등을 면밀히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건강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체계적인 간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구성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역사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 간호과정의 적용은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고, 지역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다.
1.2. 연구의 목적
지역사회 간호과정 적용의 필요성이 있다. 안산시 단원구는 지역의 특성과 주민의 건강수준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간호 계획을 수립하여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을 도모해야 한다. 따라서 단원구의 지리적 특성, 인구구조, 건강수준, 환경특성, 오락과 휴식, 지역사회 자원 등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 간호진단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간호중재 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단원구 주민의 건강문제 해결과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2. 본론
2.1. 단원구 지역사회 간호사정
2.1.1. 지리적 특성
단원구의 지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단원구는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며, 전체 면적은 98.5㎢로 안산시 전체 면적의 63%를 차지한다. 행정구역은 총 12개의 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원구의 지형은 비교적 완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북부에는 광덕산, 마산이 자리하고 있고 남부에는 나봉산과 칠보산 등의 낮은 구릉선 산지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다. 단원구 내에는 반월천, 안산천, 화정천 등의 하천이 흐르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비교적 넓은 충적지가 발달되어 있다. 전체 면적 중 11.7%는 대지, 31%는 임야, 13.6%는 농지, 43%는 기타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단원구는 도시와 농촌이 혼재된 지역으로 볼 수 있다.
2.1.2. 인구구조
안산시 단원구의 총 인구수는 360,527명이다. 등록 외국인 수는 34,977명으로, 이는 전체 인구의 9.7%에 해당하여 경기도 평균인 2.6%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다. 독거노인 수는 10,830명이며, 기초연금수급자는 25,157명이다. 전체 인구의 10.12%가 국민기초수급자, 저소득 및 한부모 가정 가구, 등록장애인 등의 취약인구로 구성되어 있다. 상록구보다 단원구의 취약인구 비율이 낮은 편이다. 생산인구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연령별로는 30~49세가 가장 많고, 이어서 50~64세, 20~29세 순으로 많다. 0~14세와 15~64세의 인구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나 65세 이상 인구는 증가하고 있다. 혁신도시 조성으로 인해 인구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구도심이나 농촌지역의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2.1.3. 건강수준
단원구는 전반적으로 건강수준이 낮은 편이다. 먼저, 사망 양상을 살펴보면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폐렴, 알츠하이머 순이다. 나주 전남 암 사망률은 223.8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며, 기관지와 폐암으로 인한 사망률 또한 전국 평균을 상회한다.
흡연율은 17.9%로 전남 대비 1.4% 높으며, 음주율은 47.5%로 전남 대비 1.8% 높다. 비흡연자의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