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도심 열섬 현상 건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2. 태양광과 옥상녹화의 개요
2.1. 태양광의 특징과 장단점
2.2. 옥상녹화의 장단점
3. 옥상녹화가 실내온도에 미치는 영향
3.1. 열섬현상 완화 효과
3.2. 공기 정화 효과
3.3.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
3.4. 심리적 안정 효과
3.5. 에너지 절감 효과
3.6. 우수 유출 완화 효과
3.7. 쾌적한 공간 연출
4. 옥상녹화 재료 및 실험 구성
4.1. 실험구 제작 및 설치
4.2. 옥상녹화 재료 및 유형
5. 옥상녹화가 실내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5.1. 외부 광도 및 광량의 변화
5.2. 모델의 내·외부 온도 변화
5.3. 광량별 모델 내·외부의 시간대별 온도 편차
5.4. 처리별 광수준에 따른 태양 복사에너지 흡수계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지구 전체의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시기(1850년대 후반)보다 2018년 기준 약 1℃ 상승하였다. 특히, 최근 10년 동안 지구 전체의 평균기온이 약 0.2℃ 정도 상승하였으며, 상승폭도 증가하였다. 우리나라도 최근 30년 평균기온(1981-2010)이 과거 30년 평균기온(1971-2000)보다 0.2℃ 정도 상승하였으며, 10년마다 0.2℃ 정도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체감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인 생활습관와 산업환경을 변화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우리 인간이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것들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최근 들어 도심 내 콘크리트, 시멘트, 고무 성분의 포장 등의 인공지반이 도심지 열섬현상을 유발하고, 여름철 고온현상으로 생활환경에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나면서 도심지의 환경개선을 위해 도심지 내 공원 조성과 같은 녹지를 적극 도입하려는 사업과 제도가 시행 또는 예정중이며, 주요 가로변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녹지가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녹지의 도입은 도심지 내 열섬현상을 완화시켜 줄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에게 그늘을 제공하고, 경관 및 심미적으로 쾌적함을 제공함으로써 도심지 공해 저감 등 환경적 기여도 크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도심지 내 열섬현상 저감을 위해서는 공해 발생 요소들을 제한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되어야 하지만, 산업사회를 넘어 첨단 현 시대에서는 공해를 발생하는 요소들을 한순간에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이러한 요소들을 점진적으로 축소될 수 있도록 유도하면서 저비용 투입과 단기간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녹화 공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도심지 내 열섬현상의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는 도심지 내 수많은 인공지반 표면적의 확대에 따라 태양열 반사로 인한 열섬현상이 증가하는 것에 대해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반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반의 포장면을 제거하고 녹화 면적을 확대하는 방법이 우선 검토되어야 하나 도심지 권역은 대부분이 사유지로 공시지가가 높기 때문에 매입을 통한 녹지면적을 확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런 경제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최근 인공지반에 식재를 통한 녹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도심지 내 열섬현상 저감을 위해 옥상녹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건축물 실내공간의 열은 외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옥상녹화 소재 및 재료의 종류에 따른 영향에 대해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기후조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옥상녹화 재료의 종류에 따른 건축물 하층 실내공간의 온도 변화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고, 기상조건에 따른 이들 재료들의 실내온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검토하여 날씨 변화 및 광의 양 변화에 따른 옥상녹화 재료와 실내온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결과를 도출하여 향후 옥상녹화 재료 선정에 있어 기초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태양광과 옥상녹화의 개요
2.1. 태양광의 특징과 장단점
태양광은 화석연료와 달리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적인 청정에너지이다. 태양에서 방출되는 무한한 에너지원을 활용하여 발전을 가능하게 하므로 에너지양이 풍부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설비의 수명이 25~30년 이상으로 길어 경제적이다. 하지만 태양광 발전은 햇빛이 있는 낮 시간에만 발전이 가능하고 흐린 날씨나 비가 올 때 발전량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역별 일사량에 따라 효율이 달라지며 설치를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하고 초기 설치비용이 비싸다는 제약이 있다.
2.2. 옥상녹화의 장단점
옥상녹화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열섬현상 완화 효과가 있다. 열섬현상은 도시개발로 인해 녹지공간이 줄어들어 도심지의 기온이 상승하고, 외곽은 낮아지는 이상기온형상이다. 옥상녹화는 식물체의 증산작용을 통해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열섬현상을 완화시켜준다"이다.
둘째, 공기 정화 효과가 있다. 도시의 공해 요인인 자동차매연, 건물의 냉난방, 공사 등을 정화하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옥상녹화가 더욱 효과적이다"이다.
셋째,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있다. 일반 주거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국내 총 배출량의 4분의 1에 이르는데, 옥상녹화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이다.
넷째, 심리적 안정 효과가 있다. 녹색은 독서실, 수면실, 양호실 등에 사용되는 색으로 진정, 쾌적, 평화, 신선함, 조화, 균형을 이루는데 도움을 주며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을 준다"이다.
다섯째,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옥상녹화를 통해 단열성이 증가되어 여름에 건물의 온도 상승을 막아주고 냉방에너지 사용을 줄여준다"이다.
여섯째, 우수 유출 완화 효과가 있다. 옥상녹화의 흙이 빗물을 머금어 도심홍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이다.
마지막으로, 쾌적한 공간 연출 효과가 있다. 기존 사용되지 않은 건축물의 옥상에 정원 등을 만들어 주민, 직원들의 쉼터 및 재생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준...
참고 자료
이론자료, ‘가람건축’
태양광 자료, ‘LG전자 B2B’
강재식(1998), 옥상녹화시스템의 동하계 열적 특성, 건설기술정보 178(98-9), 6-13
고석구, 신홍균, 태현숙, 김용선, 안길만. 2009. 옥상 잔디녹화시 Heating system의 효과, 한국잔디학회지, 23(2), 279-286.
김기영, 변재영, 김해동(2013), 대구 성서지역의 도시열섬 강도-교외가 수변인경우-, 한국환경과학회지, 제22권 제10호, p.1337~1344
김세창, 박봉주. 2012. 옥상녹화가 건축물 온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과학기술지, 제30권 별호 2, 167.
김세창, 이현정, 박봉주(2012), 한국잔디식재 경량박층형 옥상녹화의 열수지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제40권 제6호, p.190-197
김세창, 이현정, 박봉주. 2013. 한국형잔디식재 옥상녹화의 온도저감 및증발산량 평가, 한국환경과학학회, 22(11); 1443-1449.
김세창, 이현정, 박봉주(2013), 한국잔디식재 옥상녹화의 온도저감 및 증발산량 평가, 한국환경과학획지 Vol 22, No. 11, p.1443~1450
김세현, 노광철, 오명도(2003), 실내 복사부하를 고려한 열쾌적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동계학술발표회,
김인혜, 허근영, 신현철, 박남창(2010), 영산홍을 이용한 저관리 옥상녹화 시스템의 식물생육 및 토양특성 평가, 원예과학기술지 제28권 제6호, p.1057-1065
김준현, 엄정섭(2011), 탑상형 아파트의 배치방향별 봄철 실내온도 비교평가, 환경영향평가 제20권 제2호, p.175-185,
도후조, 이정민, 나정화(2007), 도시 지표면 온도분포 특성 및 열섬완화방안,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6권 제5호, p.611-622
안태경(2003), 공동주택 최상층부의 옥상녹화에 따른 에너지 절약 평가,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0(3), 182-186.
엄기철, 정필균, 박소현, 유성녕, 김태완(2012), 도시농업의 도시열섬현상 저감효과에 대한 계량화 평가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 제45권 제5호, p.848~85
오승환(2006),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의 온도저감효과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유대종(2007), 경량형 옥상녹화시스템의 냉방부하절감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윤갑천, 전종욱, 김강수(2012), 건물의 일사에너지 쳬측을 위한 경사면 일사량 측정과 예측모델과의 비교 분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제32권 제6호, p.44-52.
이상채(2014), 고온기 옥상 녹화 식물 종류에 따른 모델의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학위논문
이진희(2004), 실내조경에 의한 에너지 저감효과와 환경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학위논문
이춘우, 김수봉, 문혜식(2011), 옥상녹화의 녹화유형별 기온저감효과,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2권 제3호, p.25-33
조홍하, 손희준, 강태호(2012), 저관리ᄋ경량형 옥상녹화를 위한 세덤류의 내서성평가, 한국조경학회지 제40권 제6호, p.180-189
황지욱, 김소정(2003), 도시열섬현상의 주거 형태별 비교분석, 대한국토계획학회지 제38권 제7호, p.235-244
Jones, C. A., Suckling, W., 1983, Comparison of the radiation balance of a rooftop lawn with that of a conventional rooftop surface, Archives for Meteorology, Geophysics, and Bioclimatology Series B, 33,7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