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아동센터의 개념 및 역할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법 제52조 제1항 제8호에 근거한 아동복지시설로, 18세 미만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지역사회 아동의 건전 육성을 위하여 보호·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종합적인 복지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아동복지 이용시설이다.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은 확대되어 지역사회 아동복지시설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는 법제화되기 이전의 공부방 시기에는 부모들이 먹고사는 문제로 일을 해야만 했기에 어쩔 수 없이 방임되고 방치된 아이들을 돌보며 교육을 시켜주고 식사를 제공해 주며 자선을 베풀었다. 그러나 법제화 이후 아동복지시설로 체계를 잡아가면서 돌봄이 필요한 아동을 발굴하기도 하지만, 돌봄의 필요 때문에 지역아동센터를 직접 선택하여 이용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지역아동센터는 민간에서 시작하여 정부가 제도화한 독특한 사회복지시설이다. 1960년대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개발로 형성된 도시 빈민이 판자촌에 모여들었고, 저소득층 부모들은 생계를 위해 맞벌이를 했기 때문에 자녀를 보호할 수 없었다. 이에 빈민지역 내의 방임된 영유아를 위한 민간 비영리 탁아소가 1978년부터 운영되었고, 1986년부터 학령기 아동을 위한 공부방이 지역 내에 자생적으로 조직·운영되었다.
지역아동센터의 발달과정은 공부방에서 시작하여 1990년대 들어 대도시 외곽의 빈민지역과 농어촌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정부는 2004년 1월 아동복지법 개정을 통해 지역아동센터(구 '공부방')를 아동복지시설로 법제화하였고,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지역아동센터는 취약계층 아동들의 학습지원을 위한 단순한 공부방의 기능을 넘어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실상부한 아동복지시설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004년 당시 895개소의 지역아동센터가 23,347명의 아동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2019년에는 4,217개소의 지역아동센터에서 108,971명의 아동들이 참여하고 있어 시설 및 서비스 이용 아동의 수가 5배 이상 증가했다.
지역아동센터는 아동복지 증진, 아동의 일상생활과 학교생활 적응력 강화, 빈곤가정 자녀의 가정 기능 강화 및 양육 기능 지원, 위기 가정의 아동에게 가족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지지, 지역사회 아동복지 전달체계 역할, 지역사회 자원 확보 및 자원 발굴과 지지망 강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은 지역사회 내 아동복지 증진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1.2. 지역아동센터 실습의 필요성
지역아동센터는 방과후 돌봄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다양한 보호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습생들은 실제 지역아동센터에서 근무하며 아동들의 생활과 요구를 직접 확인하고, 실천현장의 특성과 운영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실습을 통해 이론교육만으로는 부족했던 실무능력과 사회복지사로서의 태도와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습생은 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의 발달과 변화를 관찰하고, 실습기관의 프로그램 운영과 행정 업무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전문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으로써 향후 사회복지사로서의 진로 설계에도 도움이 된다. [1,2,3]
1.3. 실습 목표 및 내용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습생의 전문성을 강화하며 아동의 변화와 성장을 이끌어내는 것이 실습의 목표이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아동 보호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행정 및 회계 업무, 아동과의 관계 형성 등의 다양한 실습 내용을 다루게 된다. 실습을 통해 지역사회복지실천 현장을 이해하고 실습생의 역량을 강화하며 아동의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2. 지역아동센터의 발달과정
2.1. 공부방에서 지역아동센터로의 변화
1960년대 급속한 산업화와 경제개발로 형성된 도시 빈민들이 판자촌에 모여들었다. 그들은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저학력, 무자본으로 공장의 단순직 노동자, 일용직 막노동자, 파출부나 행상, 노점상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였다. 저소득층 부모들은 생계를 위해 맞벌이를 해야 했기 때문에 자녀를 보호할 수 없었고, 저학력으로 자녀 교육 능력이 없었으며, 이에 따라 결손가정이 증가하고 방치 아동이 82만 명에 이르렀다. 이에 빈민지역 내의 방임된 영유아를 위한 민간 비영리 탁아소가 1978년부터 운영되었고, 1986년부터 학령기 아동을 위한 공부방이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