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사회 사례보고서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대구 지역사회 사례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지역 및 인구 특성

3. 환경 및 자원요인

4. 건강수준
4.1. 건강상태
4.2. 의료이용
4.3. 생활습관자료

5. PATCH, BPRS, PEARL 기법적용
5.1. PATCH
5.2. BPRS
5.3. PEARL

6. 지역사회간호계획
6.1. 흡연률 관리
6.2. 음주율 관리
6.3. 만성질환(고혈압, 당뇨병) 관리
6.4. 정신건강 증진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는 학교나 산업단체, 가족과 개인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체계로써 현재 내가 살고 있는 곳을 말한다. 30년간 대구시 북구 지역에 거주하였지만 6개월 전 결혼 후 대구시 동구로 거주지를 옮기며 새로운 지역사회에 대해 알아볼 기회가 없었다. 본 과제를 통하여 새롭게 내가 살고 있는 곳의 통계지표와 보건의료 계획 자료를 살펴봄으로써 건강증진활동에 기여하도록 하며 지역사회의 발전과 나의 주변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지역 및 인구 특성

대구 지역의 지역 및 인구 특성은 다음과 같다.

대구는 삼국시대에 달구불 또는 달구벌로 불리다가 757년에 대구로 개칭되었다. 1143년에는 대구현에 현령관이 파견되었고, 1419년에는 대구현이 대구군으로, 1466년에는 대구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601년에는 경상도의 행정, 산업, 군수를 총괄하는 경상감영이 설치되어 정치·경제·문화 전 분야에 걸쳐 영남지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현재와 같은 '대구'라는 한자 명칭이 사용된 것은 1778년부터이며, 1910년에는 대구부가 설치되었다. 1949년 8월 15일 대구시로, 1981년 7월 1일에는 직할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에는 달성군 전역을 편입하면서 대구광역시로 개칭하였다.

대구광역시 동구는 팔공산이 소재하며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역사 문화 도시이자 182㎢의 넓은 면적을 지닌 도농복합도시이다. 대구국제공항과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소재하고, 사통팔달의 고속도로망이 연결된 영남권 광역교통의 핵심 도시이다. 또한 대구혁신도시, 첨단의료복합단지, 이시아폴리스 등 대형 국·시책 프로젝트 사업으로 대구·경북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신성장 동력 도시이다.

대구지역의 기후는 연평균 기온 14.1도, 강수량 1,297.6mm, 풍속 2.2m/s, 일조시간 2,495.3시간의 온대기후 특성을 나타낸다.

대구광역시 동구의 2017년 기준 인구는 349,379명이며, 이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55-59세(8.83%)이다. 또한 여성 인구가 177,336명으로 남성 인구 173,955명보다 많다. 혼인 상태별로는 유배우자가 163,974명(55.9%)으로 가장 많으며, 미혼이 84,692명(28.9%)을 차지한다. 직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이 20,370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숙박 및 음식점업 13,380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10,904명 순이다.


3. 환경 및 자원요인

대구 동구는 팔공산이 소재하며 동화사·파계사·부인사·갓바위·불로고분군 등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한 역사 문화 도시이자 182㎢의 넓은 면적[광주 광산구에 이어 전국 자치구 중 두 번째로 넓은 면적 보유]을 지닌 도농복합도시로써 대구국제공항과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소재하고, 사통팔달의 고속도로망이 연결된 영남권 광역교통의 핵심 도시라는 사회적 위상을 지니고 있다. 나아가 대구혁신도시, 첨단의료복합단지, 이시아폴리스 등 대형 국·시책 프로젝트 사업으로 대구·경북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신성장 동력 도시로서 활발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대기 및 수질 오염, 소음 및 진동과 관련된 상황을 보면 대기(가스,먼지,매연 및 악취) 106건, 수질(폐수) 155건, 소음 및 진동 21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하수 및 분뇨 발생량은 하수 91,161톤, 분뇨 280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시설로는 총 45개소가 있으며, 이 중 노인복지시설이 42개소, 여성복지시설이 3개소이다. 의료기관은 총 751개소로 이 중 종합병원이 2개소, 병원 33개소, 의원 338개소, 특수병원 0개소, 요양병원 12개소, 치과병원 189개소, 한방병원 0개소, 한의원 177개소, 조산소 0개소, 부속의원 0개소, 보건의료원 1개소, 보건소 1개소가 있다.


4. 건강수준
4.1. 건강상태

출생 및 사망

대구광역시 동구의 출생과 사망에 관한 지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17년 기준 동구의 출생아수는 총 2,441명이며, 이 중 남아가 1,270명, 여아가 1,171명으로 나타났다. 동구의 사망자 수는 총 2,230명으로 이 중 남자가 1,231명, 여자가 999명이다. 따라서 동구의 출생자 수가 사망자 수보다 많은 것을 알 수 ...


참고 자료

김영임 정혜선 이복임 / 지역사회간호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7
KOSIS 국가통계포털,「국내통계」/ http://kosis.kr/index/index.do / 2019.11.20.
대구통계, 「대구기본통계」/ http://stat.daegu.go.kr/ / 2019.11.20
동구청, 「동구통계」/ http://www.dong.daegu.kr/ / 2019.11.20
동구보건소, 「보건사업」/ http://www.dong.daegu.kr/health/ / 2019.11.19.
나무위키, 「동구」/ https://namu.wiki / 2019.11.19
이옥철. 2014. 재난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 28권 제 3호
최남희. 2005. 재난 생존자 경험의 내러티브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 35권 제 2호
조진영. 2019. 임상간호사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 영향요인. 융합정보논문지 제 9권 제 8호
김화영. 2019. 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지식, 재난간호준비도 및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 융합정보논문지 제 9권 제 10호
한금선 외. (2017). 정신건강간호학 하 (Vol. 5). 수문사.
김춘미 외. 2019.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매일신문 배주현. 대구 지하철 참사, 뒤늦은 심리치료 덧나는 상처.
https://news.imaeil.com/Society/2021030116554965569
2016 지역사회 건강통계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서구청 홈페이지
대한민국 통계청
달서구 제 3기 지역사회 복지계획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