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혈액종양 케이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선정 배경
1.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2.1. 정의 및 분류
2.2. 병태생리
2.3. 증상 및 징후
2.4. 진단 및 치료적 중재
3. 간호과정
3.1. 정보수집을 위한 간호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중재 및 평가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선정 배경
다발골수종 환자를 사례보고서 대상으로 선정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혈액종양내과에 실습을 나가게 되었고, 혈액계 건강문제와 간호 중에서도 조혈장애에 대해 더욱 알아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 중 다발골수종이 눈에 띄었고, 다발골수종의 특징적인 증상들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발골수종의 대표적 증상에는 고칼슘혈증이 있는데 이 환자는 저칼슘혈증으로 칼슘을 투약한 것을 보았고 그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싶어져서 선정하게 되었다. 또, 환자분과 소통도 잘 되었기 때문에 선정하게 되었다.
1.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자료수집 기간은 2023. 02이다. 정보수집 방법으로는 환자 문진, 의무기록 확인을 활용하였다. 환자와 의사소통이 잘 되었기 때문에 문진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의무기록 검토를 통해 환자의 과거력 및 검사 결과 등의 중요한 임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다각도의 자료수집 방법을 통해 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2. 문헌고찰
2.1. 정의 및 분류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은 주로 골수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의 일종이다. 간혹 골수를 둘러싸고 있는 뼈나 기타 여러 장기에서 고형 종양의 형태로 발생하기도 한다. 골수 내 악성 형질세포가 침윤되어 전신적으로 뼈를 파손시키는 신생물 질환으로 형질세포골수종(plasma cell myeloma)이라고 한다. 특히 뼈에 침범하는 경우가 흔하며 이러한 경우 척추의 통증이나 압박골절 및 이로 인한 하지마비와 같은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하지 않으면 진단받은 후 약 2년 내에 사망하는 이 질병은 40세 이상에서 흔히 발생하며, 평균 발생 연령은 65세이다. 남성에서의 발생률이 여성보다 2배 정도 높으며, 백인보다는 흑인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2.2. 병태생리
다발골수종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다발골수종은 형질세포의 과도한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형질세포는 활성화된 B세포로서 신체를 보호하는 면역글로불린을 생성한다. 그러나 다발골수종에서는 악성 형질세포가 골수에 침윤되어 엄청난 양의 비정상 면역글로불린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비정상 면역글로불린을 골수종 단백질(myeloma protein)이라고 한다. 이렇게 형질세포에서 과도하게 생성된 비정상적인 시토카인이 뼈가 파괴되는 병리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골수종 단백질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 형질세포...
참고 자료
성인간호학Ⅰ,Ⅱ, 윤은자 외, 수문사, 2021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MEG GULANICK 외, 현문사, 2019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국가암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
성인간호학(하권). 전시자 외 9명. 현문사. 2010.
진단검사와 간호. 송경애 외 8명. 수문사. 1998.
인체생리학. 이인모 외 6명. 형설 2008
간호학 실습지침서.
[네이버 지식백과] 식도암 [esophageal canc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드럭인포, kims - 약 검색
<성인간호학 medical-surgical nursing volume 2> 현문사 2004년 11월 30일, JOYCE M.BLACK
정담미디어,, 제 2판 2012년 2월 - 김금자 외 12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