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OO의료원 수술실의 역할
OO의료원 수술실의 역할은 진료지원부서에 속해 있으며, 총 4개의 수술실에서 심장혈관 수술을 제외한 임상 각과의 모든 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각 전문분야의 수술에는 진료과 별로 전담배치 된 간호사가 참여하여 전문화된 지식과 숙련된 간호로 좋은 팀워크를 이루며 OO 지역 거점 병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원활한 수술지원을 하고 있다.
OO의료원 수술실은 2층에 위치하고 있으며,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의 동선을 통해 환자확인이 이루어진다. 입원환자는 처음 수술실에 도착할 때, 수술을 시행하기 전, 수술이 끝난 후 총 3번의 환자확인이 있었다. 외래환자는 처음 수술실에 도착할 때와 수술을 시행하기 전, 총 2번의 환자확인이 있었다. 수술 전 Time Out 절차를 통해 환자, 수술명, 수술부위를 확인하고 있었다.
간호대학생은 수술 및 시술 시 정확한 환자확인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술실 실습을 통해 이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환자확인은 모든 처치의 시작에 앞서 이루어질 만큼 중요하며, 수술 및 시술 시 정확한 환자, 정확한 수술/시술명, 정확한 수술/시술 부위 확인을 통하여 환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실습을 통해 간호대학생은 수술실 간호사들이 환자확인 정책을 철저히 지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간호사의 적극적인 환자확인 모습이 인상 깊었다. 그러나 일부 수술에서 Time Out이 생략되거나 모호한 경우가 있었으며, 수술부위 표시 미준수 사례도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전 의료진에게 수술 및 시술 전 환자확인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여 환자 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간호대학생은 이번 실습을 통해 환자확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깊이 인식할 수 있었다. 실제 환자확인 술기를 수행하면서 어려움과 부족함을 발견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깨달았다. 또한 간호관리학 이론과 실습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많은 고민과 성찰이 있었다. 이번 경험을 통해 앞으로 폭넓은 시각과 융통성 있는 간호사가 되고자 하는 열정을 갖게 되었다.
1.2. OO의료원 수술실의 구조와 환자의 동선
OO의료원 수술실의 구조와 환자의 동선이다. OO의료원의 수술실은 총 4개의 수술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2층에 위치하고 있다. 수술실에는 심장혈관 수술을 제외한 임상 각과의 모든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각 전문분야의 수술에는 진료과 별로 전담배치 된 간호사가 참여하여 전문화된 지식과 숙련된 간호로 좋은 팀워크를 이루며 OO 지역 거점 병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원활한 수술지원을 하고 있다.
입원환자의 동선을 보면, 환자가 처음 수술실에 도착하였을 때, 수술실에 들어오고 마취 혹은 수술을 시행하기 전, 수술이 끝난 후 의식을 확인하여 총 3번의 환자확인이 이루어진다. 외래환자의 경우, 환자가 처음 수술실에 도착하였을 때와 수술실에 들어오고 마취 혹은 수술을 시행하기 전 총 2번의 환자확인이 이루어진다.
1.3. 실습 주제 항목 선정
실습 주제 항목 선정은 간호단위의 안전관리(수술 및 시술 시 정확한 환자확인)이다. 이는 수술실에서의 의료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