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이해교육론- 듣기와 읽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듣기의 개념과 특징
2.2. 읽기의 개념과 특징
2.3. 듣기와 읽기의 공통점
2.4. 듣기와 읽기의 차이점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는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어와 소리를 기반으로 한 구어로 구분될 수 있다. 문자언어는 읽기와 쓰기, 음성언어는 듣기와 말하기로 묶어 학습하게 된다. 그러므로 읽기와 듣기는 문자언어와 음성언어를 각각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 있어 서로 차이점을 나타낸다. 문자언어는 문자해독능력이 요구되며 문자를 읽지 못하면 듣기는 가능해도 읽기는 불가능해진다. 듣기는 언어학습에 있어 기본이 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학습용 텍스트처럼 발음은 분명하게 내용은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문법적 요소를 빼놓지 않고 말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므로 듣기는 의사소통에 기반이 되는 동시에 일상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이 되려면 그에 맞는 듣기 훈련이 요구된다. 읽기는 문자언어를 기반으로 하며, 많은 정보를 전달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자언어이기 때문에 읽기는 화자의 언어능력에 따라 반복적으로 읽어보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2. 본론
2.1. 듣기의 개념과 특징
듣기의 개념과 특징이다. 듣기는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중에서 음성언어를 이해하는 의사소통 활동과 관련된 기능이다. 대화에서 상대의 발을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반응을 준비하거나 교사의 설명을 듣고 이해하며 그 지시에 맞는 과제를 수행하는 등의 모든 활동과 연결되어 있다. 언어를 문자로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대체로 음성언어로 발화되며 이를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쓰이는 지에 대한 맥락적 이해가 ...
참고 자료
강현화 이미혜, 『한국어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기준성,『한국어 읽기 전략』. 한국문화사, 2021
한국어교원 전공필수, 권화숙
세종학당재단 2013 세종한국어1(증보판) 도서출판하우
세종학당재단 2019 결혼민자 한국어1 도서출판하우
김종덕 2022 한국어발음교육론 도서출판박이정
박은하 2018 ‘한국어 통합 교재에 나타난 발음 내용의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대구 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제18호4권 269-278
박기영 20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발음교육론교안 배론평생교육원
강현화 이미혜, 『한국어교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기준성, 『한국어 읽기 전략』. 한국문화사, 2021
임현빈, 「영어 듣기와 읽기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왕효성. 「대본미리 읽기가 듣기에 미치는 효과: 중국인 대학생의 한국시트콤 시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