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심리학 합리적 비합리적 사고 전환 방법 연습"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합리적 사고의 전환
1.1. 서론
1.2. 비합리적 사고와 합리적 사고
1.2.1. 비합리적 사고의 특징
1.2.2. 합리적 사고의 특징
1.3. 비합리적 사고를 합리적 사고로 전환하는 방법
1.3.1. 비합리적 사고 확인하기
1.3.2. 사건, 감정, 행동, 사고 분석하기
1.3.3. 새로운 합리적 사고 정립하기
1.4. 일상생활에서의 적용 사례
1.4.1. 학업 실패에 대한 사례
1.4.2. 대인관계에서의 사례
1.5.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합리적 사고의 전환
1.1. 서론
고대 철학자 Epictetus는 "사람들은 사건 자체가 아니라 사건에 대한 생각에 의해서 고통 받는다."고 하였다. 즉, 사건을 어떻게 생각하냐에 인간의 고통 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저명한 심리학자인 앨버트 엘리스(Albert Ellis: 1913~2007)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Ellis는 인간의 정신을 고통스럽게 하는 것이 비합리적 사고라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논박을 통한 합리적 사고로의 전환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글에서는 내가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인 사고에 대해 알아보고, 그것을 합리적 사고로 전환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1.2. 비합리적 사고와 합리적 사고
1.2.1. 비합리적 사고의 특징
비합리적 사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합리적 사고는 절대적이며 당위적인 사고에서 파생된다"이다. 이는 자신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을 파괴적으로 유도한다"는 것이다. Ellis는 인간을 가장 어렵게 하는 것이 가슴 속 깊은 곳에 숨은 '당위적 사고(must)'라고 보았다. 이는 자신, 타인, 세상에 대한 것으로 구분되는데, 자신에 대해서는 '나는 반드시, 실질적인 형태로 항상, 중요한 일, 관계에서 성공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나는 한 인간으로써 부적합하고 무가치하다'는 식의 사고를, 타인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들은 절대적으로 항상 나에 대해 사랑스럽고 친절하게 그리고 공정하게 다루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그들은 정말 나쁜 사람들이며, 그들 삶에 벌을 받아야 마땅하다'는 식의 사고를, 세상에 대해서는 '나는 반드시 안락, 편안하며 보상을 받는 상황에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는 끔찍하고 나는 그것을 결코 참지 못하며 세상은 신의 저주로 가득 차야 마땅하다'는 식의 사고를 말한다.
둘째, 비합리적 사고는 과장성, 좌절에 대한 낮은 인내성, 자신과 타인에 대한 총체적 평가를 담고 있다"이다. 즉, 사소한 실수나 실패를 크게 부풀리고 수용하기 어려워하는 특성을 가지며, 자신과 타인을 일반화하여 전체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1.2.2. 합리적 사고의 특징
합리적 사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리적으로 모순이 없고 경험적 현실과 일치한다. 합리적 사고는 일관성 있는 논리적 사고 과정을 거치므로 서로 모순되지 않으며, 실제 경험적 증거와도 부합한다. 이는 비합리적 사고가 자주 보이는 비논...
참고 자료
권석만 (2012).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학지사.
김사라형선 (2011). 청소년의 자살 예방을 위한 통합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침례신학대학교 출판부, 복음과 실천, 47(1), 301-326.
사회심리학 / 로버트 치알다니 / 웅진지식하우스 / 2020
상담이론과 실제 / 정여주 외 / 사회평론아카데미 / 2017
성격심리학 / 노안영 외 / 학지사 / 2018
이장호외 2인, 2011, 상담심리 가이드북, (주) 도서출판 북스힐
레스터 레븐슨외 1인, 2016, 세도나 마음혁명, 2016, 쌤앤파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