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위염은 위점막의 염증으로 위장의 문제 중 가장 흔한 질환이다. 위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 50~60대 남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위염은 흡연 및 음주와 관련이 있으며, 만성 위염은 A형과 B형으로 나뉜다. A형 만성 위염은 자가면역성 위염으로 벽세포와 주세포의 자가항체 때문에 발생하며, B형 만성 위염은 위전정부를 침범하는 H.pylori 감염이 주요 원인이다. 만성 위염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표재성 위염, 위축성 위염, 위 위축으로 발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염은 위점막의 방어기능 저하로 인해 위산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여 발생한다. 위염의 주된 증상으로는 속이 쓰리거나 타는 듯한 작열감, 속이 더부룩한 증상, 구토, 소화불량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염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간호중재 등을 문헌 고찰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2. 문헌 고찰
2.1. 위염의 정의 및 분류
위염(gastritis)은 위점막의 염증으로 위장의 문제 중 가장 흔한 질환이며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된다. 위염은 50~60대 남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흡연 및 음주와 관련이 있다.
위염은 위점막의 염증 정도와 침범 범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된다. 급성 위염은 위점막이 단기간에 급격히 발생한 염증이고, 만성 위염은 지속적인 염증으로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이다. 만성 위염은 다시 A형과 B형으로 구분된다.
A형 만성 위염은 자가면역성 위염으로 벽세포의 양성자펌프와 주세포의 펩시노겐에 대한 자가항체 때문에 발생한다. 산을 분비하는 위조직, 특히 위저부에 있는 조직의 위축으로 내적인자를 분비하지 못해 비타민 B₁₂를 흡수하지 못하게 되어 악성빈혈이 생길 수 있다.
B형 만성 위염은 만성 위염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위전정부(위안뜰부, antrum)를 침범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pylori) 감염으로 발생한다. 주로 오염된 음식과 물이 원인이며 대변을 통해 구강으로 감염된다. H.pylori 감염의 위험인자는 고령과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이며 감염된 어린이가 있는 가족의 감염률이 더 높다.
2.2. 만성 위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2.2.1. A형 만성 위염
A형 만성 위염은 자가면역성 위염으로, 벽세포의 양성자펌프와 주세포의 펩시노겐에 대한 자가항체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자가항체가 원인이 되어 위점막의 위축과 기능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특히 위저부의 위점막이 위축되어 내적 인자의 분비가 감소하게 되면, 비타민 B12의 흡수가 저하되어 악성 빈혈이 동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산을 분비하는 위 조직이 점차 위축되면서 내적 인자를 생산하지 못하게 되어 비타민 B12의 흡수 장애로 인한 악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A형 만성 위염의 경우 벽세포의 기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면 위산 분비가 감소하고, 악성 빈혈이 발생하게 된다"". 위샘은 위축되고 점막은 얇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2.2.2. B형 만성 위염
B형 만성 위염은 위전정부(위안뜰부, antrum)를 침범하는 H.pylori 감염으로 발생한다"이다. 주로 오염된 음식과 물이 원인이며 대변을 통해 구강으로 감염된다. H.pylori 감염의 위험인자는 고령과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이며 감염된 어린이가 있는 가족의 감염률이 더 높다.
B형 만성위염은 gastrin 수치와 비타민 B₁₂ 흡수는 거의 정상이나 진행되면서 점막이 점차 위축되고 산 분비가 감소한다. 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로 확진하며, 급성감염 후에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증상이 있어도 전반적인 소화불량만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만성염증에 의해 위점막의 위샘은 형태학적인 변화를 거치게 되는데, 위샘이 소장샘과 비슷하게 변화하는 것을 위의 장상피(intestinal metaplasia)이라 하며 이는 위암의 전구병변이다.
2.3. 만성 위염의 증상 및 진단
2.3.1. 증상
만성 위염의 주된 증상은 더부룩한 느낌, 속이 쓰린 증상, 속이 타는 듯한 작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