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1. 심장의 위치 및 구조
심장은 몸의 중앙 부위인 종격동에 위치하며, 무게가 약 250~300그램으로 지홍력을 발휘하는 근육기관이다. 심장은 좌우로 치우친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약 2/3가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심장은 횡경막 위에 자리잡고 있으며, 심첨(Apex)은 좌측 제5늑간 부위와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한편 심저(Base)는 제3늑간 부위에 위치하며, 상대정맥과 하대정맥이 유입되는 곳이다. 심장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장 바깥층은 심외막(Epicardium), 중간층은 심근(Myocardium), 그리고 가장 안쪽층은 심내막(Endocardium)이다. 또한 심장은 이중 벽의 심낭(Per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어 내측의 장측심낭과 외측의 벽측심낭 사이에 심낭강이 존재하며, 이 공간에는 심낭액이 있어 윤활제 역할을 한다. 심장은 중격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되며, 다시 심방과 심실로 나뉜다. 우심방은 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을 통해 정맥혈을 받아들이고, 우심실은 폐동맥을 통해 폐로 혈액을 보낸다. 한편 좌심방은 4개의 폐정맥으로부터 산화된 동맥혈을 받아들이며, 좌심실은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혈액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1.2. 심장의 기본 구조
심장은 중격(septum)에 의해 우심과 좌심으로 구분되며, 다시 위 아래의 심방, 심실로 나뉜다. 심장의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우심방은 상대정맥, 하대정맥, 관상정맥동을 통해 전신순환으로부터 돌아온 정맥혈을 받아서 심실 확장기에 열린 삼첨판을 통해 우심실로 내보낸다. 우심실은 우심방으로부터 유입된 혈액을 폐동맥 판막구를 통해 폐로 밀어내고, 폐의 확산작용에 의해 산화된 동맥혈을 좌우 두 쌍의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보내게 된다.
좌심방은 폐순환으로부터 산화된 동맥혈을 받아서 좌심실의 이완기에 열리는 승모판을 통해 좌심실로 보내고, 좌심실 수축 시 열리는 대동맥판을 통해 전신 동맥계로 박출하여 각 조직과 장기에 혈액을 공급한다.
심장은 3개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가장 바깥층은 심외막(epicardium), 중간층은 심근(myocardium), 가장 안쪽은 심내막(endocardium)이다. 이 심장은 이중벽의 심낭(pericardium)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측의 장측심낭과 외측의 벽측심낭 사이에는 20~30mL의 심낭액이 있어 윤활액 역할을 한다.
1.3. 심장의 기능
심장의 기능은 전신에서 환원된 혈액을 정맥계로부터 모아서 폐로 보내며, 신선한 혈액을 펌프질하여 신체조직으로 운반하는 것이다.""
심장은 총 2개의 순환 체계, 즉 폐순환과 전신순환으로 이루어져 있다. 폐순환은 전신순환의 1/5 해당하며, 우심방은 상, 하대 정맥과 관상정맥동을 통하여 전신순환으로부터 돌아온 정맥혈을 받아서 심실확장기에 열린 삼첨판을 통하여 혈액을 우심실로 내보낸다. 우심실은 우심방으로부터 유입된 혈액을 폐동맥 판막구를 통하여 폐로 밀어내고, 폐의 확산작용에 의하여 산화된 동맥혈을 좌우 두 쌍의 폐정맥을 통하여 좌심방으로 보내게 된다.""
전신순환은 전신순환의 4/5 해당하며, 좌심실의 펌프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좌심방은 폐순환으로부터 산화된 동맥혈을 받아서 좌심실의 이완기에 열리는 승모판을 통하여 좌심실로 보내고, 좌심실 수축 시에 열리는 대동맥판을 통하여 전신 동맥계로 박출해 각 조직과 장기에 혈액을 공급한다.""
혈액순환의 원동력은 좌, 우심실의 펌프작용으로 발생되는 혈압이다. 우심실의 수축기 혈압은 25~30mmHg, 좌심실은 120~130 mmHg의 높은 압력으로 혈액을 동맥계로 박출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