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빛과 색의 개념
1.1. 빛의 개념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빛의 세상이다. 빛이 없다면 에너지를 보충할 수 없고, 사물의 형태도 볼 수 없게 된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은 빛에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다. 인간은 특히 빛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우리는 빛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고, 사물을 볼 수 있으며,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다양한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생활에 활용하고 있다. 우리 몸에는 빛이 발견되지 않은 많은 영역들이 여러 가지 간섭과 작용을 하고 있다.
우리는 색을 보기 전에 먼저 빛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빛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빛은 0.4~0.75 마이크로미터(㎛)의 영역을 가진 적외선부터 가시광선을 지나 자외선까지의 전자기파이며, 광자의 흐름 및 행동으로 설명되는 이중성적 에너지의 한 형태를 말한다.
빛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며 파동을 갖고 운동을 한다. 빛은 파장과 진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폭은 일정한 파동의 높낮이(파장의 크기)를 말하고, 진동수는 초당 진동하는 횟수를 말한다. 파장은 진폭과 진폭의 거리로, 전자기파나 음파 등에서 생기는 파동의 골에서 다음 골까지의 거리로 파동의 한 주기를 뜻한다.
빛의 성질에 따른 일반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 광원색은 광원이 되는 태양광이나 인공광원인 발광체(조명)로부터 오는 빛의 파장을 말한다. 태양광과 인공광원은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우리 눈에 다르게 보인다. 물체색은 물리적인 물체의 특성에 따라 반사 또는 흡수되어 나타나는 빛으로, 사과의 빨간색은 광원에서 빛이 들어왔을 때 빨간색 파장만 반사해서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이다. 투과색은 특정 물체를 투과하여 보이는 빛의 파장을 말한다.
빛의 종류에는 라디오, 마이크로파,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엑스선, 감마선 등이 있다. 가시광선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보통 광선을 말하며, 파장의 범위나 빛은 사람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대체로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보라색으로 보인다.
1.2. 색의 개념
색(色)이란 눈이 빛에 대해 느끼는 지각의 하나로, 인간의 눈에 보이는 전자파를 빛이라고 정의한다. 빛은 파장이 400㎚에서 750㎚범위에 있는 전자파이며, 이 파장영역을 가시역(可視域)이라고 한다. 단일 파장의 전자파만을 포함하는 순수한 빛을 단색광(單色光 또는 스펙트럼 광)이라고 한다.
색은 문화권마다 다른 색명(色名)의 체계를 가지고 있는데, 가시광에 대한 시각능력에는 차이가 없지만 색채어휘체계는 언어나 문화에 따라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 빨, 주, 노, 초, 파, 남, 보의 7가지 색을 구분하지만, 영어권에서는 퍼플, 블루, 그린, 옐로우, 오렌지, 레드의 6가지 색을 구분한다. 또한 멕시코 마야족은 검정, 흰색, 빨강, 노랑, 파랑의 5가지 색만을 구분하거나 빨강, 노랑, 파랑의 3가지 색만을 구분한다.
이처럼 같은 색이라 하더라도 언어나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색들을 분류하고 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 안에서의 스펙트럼의 색은 작게는 3가지, 5가지, 7가지이지만, 이를 더 넓게 분류하면 100, 200, 500가지 넘게 미미한 색의 변화를 이름 붙여서 분류하기도 한다.
사람이 색을 느끼기 위해서는 '빛, 물체, 시각'의 3요소가 필요하다. 광원에서 나온 빛이 물체에 닿아 반사 또는 흡수되어 눈으로 전달되면 우리가 색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광원의 종류, 물체를 보는 방향, 물체의 물리적 성질, 사람의 시감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같은 색이라도 다르게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색은 절대적이지 않고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고 할 수 있다.
색과 관련된 학문으로는 물리학, 화학, 생리학, 심리학, 미학, 언어학 등이 있으며, 색은 미술 치료, 심리 치료, 대체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1.3. 가시광선
가시광선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보통 광선을 말한다. 가시광선의 파장의 범위나 빛은 사람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색으로 보인다. 가시광선은 400㎚에서 750㎚범위의 전자파이며, 이 파장영역을 가시역(可視域)이라고 한다. 빨강색의 파장은 가장 길며 보라색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가시광선 이하로 파장이 짧은 것은 자외선이나 X선이며, 가시광선 이상으로 긴 것은 적외선이나 라디오에 쓰이는 전파이다.
가시스펙트럼(Spectrum)은 가시광선을 분광기(分光器)로 파장의 차이에 따라 분해하여 파장의 순서로 늘어놓은 띠 모양의 빛의 상을 말한다. 이는 라틴어 "Spectare"에서 유래한 용어로, 현재 물리학 용어로 쓰인다. 가시스펙트럼의 발견은 1666년 I. 뉴턴이 프리즘으로 일광(日光)을 분해하여 관측한 것이 시초로 알려져 있다.
2. 색채 현상 및 색의 분류
2.1. 색채 현상
색채 현상은 가시광선에 의해서 나타난 결과를 말한다. 빛의 현상은 인간이 물체 또는 광원에 대한 색을 지각할 때 매우 중요하게 작용되며, 각 물체마다 다른 색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색채 현상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체색은 물체가 빛을 반사하거나 투과하여 고유의 색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둘째, 현상색은 빛에 의해 시공간에 나타나는 현상의 색의 현상성이라 하며, 이에 따라 느껴지는 색을 말한다. 셋째, 표면색은 불투명한 물체에 표면에 비친 빛이 반사되거나 흡수되었을 때 나타나는 색이다. 넷째, 투과색은 색유리와 같이 투명한 물체에 빛이 투과되어 나타나는 색이다.
빛의 반사에는 정반사, 난반사, 전반사 등의 현상이 있으며, 물질에 따라 어떤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다른 파장의 빛을 반사하여 물체의 빛깔이 결정된다. 흰 물체는 모든 파장을 반사하고, 검정 물체는 모든 파장을 흡수하며, 빨간 물체는 빨간 파장만을 반사한다.
이처럼 빛의 특성에 따라 눈에 도달하는 빛깔이 다르게 느껴지며, 이를 색채 현상이라 한다. 물체의 색은 반사된 빛에 의해 결정되므로 광원, 물체, 관찰자의 상호작용에 따라 다르게 인지된다.
2.2. 색채 현상의 물리적 분류
색채 현상의 물리적 분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카츠(Katz, David)에 의해 색의 물리적 분류가 정리되었는데, 이는 빛의 현상성을 바탕으로 구분한 것이다.
첫째, 평면색(Film Color)이다. 평면색은 면의 색이라고도 하며, 인간의 색 지각에 있어서 순수한 자극 색을 말한다. 평면색은 거리감이나 입체감과 같은 지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순수한 색만을 느끼게 한다.
둘째, 표면색(Surface Color)이다. 표면색은 인간이 사물을 지각할 수 있도록 사물의 질감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색을 말한다. 대부분 불투명 정도를 가진 물체의 표면에서 느낄 수 있으며, 거리감이나 입체감, 질감, 방향감, 위치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표면색에는 광원색, 금속색, 형광색 등이 포함된다.
셋째, 공간색(Volume Color)이다. 공간색은 빛을 투과시키는 물체를 통과해서 나오는 빛에 의해 지각되는 색을 말한다. 유리컵이나 투명한 물체와 같은 상태에서 일정한 두께가 형성될 때 느껴지는 색이 공간색에 해당한다.
넷째, 경영색(Mirrored Color)이다. 경영색은 거울처럼 광택이 나는 투명한 물질의 표면에 나타나는 완전 반사에 가까운 색을 말한다.
이처럼 색채 현상은 빛의 반사, 흡수, 투과 등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평면색, 표면색, 공간색, 경영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분류는 색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도움을 준다.
2.3. 무채색과 유채색
무채색은 흰색, 검정색, 회색으로 색상과 채도가 없는 색이다. 물체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빛의 반사율, 흡수율로 무채색이 정해지며, 반사율이 높을수록 그 밝기도 높아진다. 즉, 반사율이 85% 이상이면 흰색, 60%는 밝은 회색, 30%는 어두운 회색, 3% 미만이면 검정색으로 보이게 되어 반사율이 높을수록 밝기도 높아진다.
유채색은 무채색을 제외한 모든 색으로, 색의 3속성(색상, 채도, 명도)을 모두 지니고 있다. 유채색은 약 750만 종에 달하지만, 인간이 대체로 지각할 수 있는 색은 200여 종에 불과하다. 유채색은 색상, 명도, 채도에 따라 다양한 색채를 표현할 수 있어 무채색보다 풍부한 색감을 나타낸다. 색상에 따라 여러 가지 색조와 느낌을 전달할 수 있어 심미적인 표현을 위해 널리 사용된다.
무채색은 색상과 채도가 없어 명도로만 구별되므로, 차분하고 안정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적합하다. 반면 유채색은 색감과 색의 3속성을 모두 지니고 있어 보다 생동감 있고 다채로운 분위기를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무채색과 유채색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색채 표현과 효과를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2.4. 색의 3속성
색의 3속성이란 인간이 색을 지각할 때 색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성질을 말한다. 이 세 가지 지각성질은 색상, 명도, 채도이다."
색상(Hue)은 색과 색상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색채의 이름을 의미한다. 색상환은 색의 이름을 구별하고 연속적인 원형으로 배치하여 색상의 위치나 변화를 쉽게 표현한 것이다. 10색상환, 12색상환, 24색상환 등으로 구분되며 세부적으로 나눌수록 더 많은 색깔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빛의 3원색인 RGB(빨강, 녹색, 파랑)와 색료의 3원색인 CMY_K(청록, 자홍, 노랑, 검정)가 있다."
명도(Lightness/Value)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낸다. 물체의 밝고 어두움의 정도에 따라 색이 밝을수록 명도가 높고 어두울수록 명도가 낮아진다. 명도는 선형적이며 단계적으로 표현된다. 일반적으로 0단계가 검정, 10단계가 흰색이며 그 사이가 단계적으로 구분된다."
채도(Saturation/Chroma)는 색의 선명한 정도를 나타낸다. 채도가 가장 높은 색을 순색이라 하며, 이 순색에 무채색(흰색, 회색, 검정색)을 혼합하면 채도가 낮아지게 된다. 채도가 가장 낮아지면 결국 무채색이 된다."
이와 같이 색채를 이루는 3가지 기본 속성인 색상, 명도, 채도는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며, 이 세 가지 속성에 따라 다양한 색채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색채의 3속성은 색채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