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청소년 문화다양성 교육의 중요성
1.1. 문화다양성의 개념
문화 다양성은 각 집단의 문화가 골고루 반영되어 사회의 문화가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문화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집단성과 계층성이 보장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각 집단의 문화가 왜곡됨이 없이 드러나 문화를 구성해야 한다는 문화의 주체성과 주권성을 뜻한다. 그리고 이런 문화 다양성은 차이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모두의 얼굴 생김이 다르고 생각과 표현 방식이 다양한 것처럼 너와 나, 그리고 우리를 둘러싼 주위에는 외모, 종교, 언어, 인종, 취향, 나이, 계층, 지역 등 다양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다양함은 나 자신에게도 있으며, 친구 사이에도 있고, 우리가 사는 지역에도 있고, 나라마다, 문화권마다 존재하고 있다. 즉 문화다양성은 이렇게 모든 인간과 집단이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그 문화적 차이가 존중되고 유지되어야 한다는 의미로부터 출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2. 청소년 문화 다양성 교육의 중요성
현재 한국의 중고등학생에 해당하고 있는 10대 청소년들에게는 그들만의 문화가 없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그들은 문화를 즐길만한 시간적, 정신적인 여유가 없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정신적으로 자아에 대한 자각이 생겨나기 시작하고 시기를 맞춰 다양한 예술적 경험과 문화에 대한 관심과 섬세한 감성교육을 쌓아가야 할 시기인 중, 고교시절, 우리나라의 젊은 청소년들은 오직 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