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치원 자율장학 문제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내 자율장학
1.1. 원내 자율장학의 필요성
1.2. 원내 자율장학의 개념 및 특성
1.3. 자율장학의 유형 및 기법
1.3.1. 수업장학
1.3.2. 동료장학
1.3.3. 자기장학
1.3.4. 약식장학
1.3.5. 자체연수
1.4. 원내 자율장학의 실천
1.4.1. 장학 참여자 간 관계형성
1.4.2. 장학대상자의 발달 특성 진단
1.4.3. 장학대상자의 발달 특성에 따른 계획
1.4.4. 발달특성에 적합한 장학 실시
1.4.5. 발달특성에 적합한 장학 평가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원내 자율장학
1.1. 원내 자율장학의 필요성
원내 자율장학의 필요성은 과거 외부 장학사 위주의 권위적이고 형식적이며 평가위주의 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부담감에서 탈피하여 동료 교사 간 상호이해와 신뢰 및 협력을 바탕으로 한 장학활동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장학 참여자의 개별적인 발달 특성 및 요구, 여건 등을 반영한 장학으로의 변화와 상호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는 유아교육 및 보육기관의 조직문화와 풍토를 조성하기 위함이다. 즉, 자율장학은 외부의 강요나 지도보다는 원장, 원감을 중심으로 전체 교직원 간 상호이해와 협력을 기반으로 하여 교육활동 개선에 도움이 되는 지식, 기술, 아이디어, 정보, 경험, 조언, 도움 등을 서로 나누는 자발적인 활동이라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직원들 간의 신뢰와 친밀감을 바탕으로 한 장학 문화를 조성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켜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있다.
1.2. 원내 자율장학의 개념 및 특성
원내 자율장학의 개념은 외부의 강요나 지도보다는 교육 및 보육현장에서 자율적으로 원장, 원감을 중심으로 전체교직원간 상호이해와 협력을 기초로 교육활동 개선에 도움이 되는 지식, 기술, 아이디어, 정보, 경험, 조언, 도움 등을 서로 나누어 갖는 활동을 의미한다.
원내 자율장학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의 중심성으로, 기관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장학활동이라는 점에서 기관의 고유한 특성과 요구를 반영할 수 있다. 둘째, 자율성으로, 교사 개인의 자발성과 자발적 참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다양성으로, 교사의 요구와 발달단계, 학급 특성 등을 반영하여 다양한 방법과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협력성으로, 원장, 원감, 교사 등 기관 구성원 간의 상호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하여 장학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자기발전성으로, 참여자 개개인의 전문성 신장과 기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1.3. 자율장학의 유형 및 기법
1.3.1. 수업장학
원내 수업장학은 원장, 원감의 주도하에 상황에 따라 외부 장학요원, 전문가 또는 자원인사를 포함하여 교사들의 수업기술과 방법의 향상을 위해 이루어지는 개별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이다.
원내 수업장학의 절차는 '관찰 전 협의→ 관찰→ 관찰 후 협의'로 이루어진다. 관찰 전 협의에서는 교사가 현장에서 직면하는 과제나 요구를 반영하고, 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교수법을 향상시켜 가는 과정을 중시한다. 또한 장학담당자와 교사 간 관점의 일치, 상호 협력적이며 동료와 같은 관계를 중요하게 여긴다. 관찰에서는 수업 전체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찰하며, 관찰 후 협의에서는 관찰 내용을 토대로 교사와 함께 수업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이는 일회적 협의와 관찰이 아닌 반복해 가는 과정을 중시한다.
원내 수업장학을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첫...
참고 자료
신은수, 유흥옥, 안부금, 안경숙, 김은정, 유영의, 김소향 (2013) 유아교사론 학지사
조부경, 백은주, 서소영 (2009) 유아교사의 발달을 돕는 장학 양서원
문혁준, 김경회, 김영심, 김혜연, 배지희, 서소정, 안효진, 이경열, 이미정, 이희경, 조혜정 (2014) 유아교사론 창지사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 (2018) 유아교사론 정민사
임부연, 김성숙, 송진영 (2014) 유아교사론 양서원
이영애, 신은수(2018).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구국정(2015). 유치원의 원내자율장학에 대한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유아교육진흥원,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2018). 제4주기 유치원 평가 편람
정태범(2002). 교육행정의 발전방향. 서울 : 양서원.
조부경, 백은주, 서소영(2001). 유아교사의 발달을 돕는 장학. 서울 : 양서원.
이윤식(2001). 장학론. 서울 : 교육과학사.
주삼환(1997). 변화하는 시대의 장학. 서울 : 원미사.
이은화, 배소영, 조부경(1995). 유아교사론. 경기 :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