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정동장애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08.29
8,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조현정동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사정
1.1. 대상자 정보
1.2. 현병력
1.3. 과거력
1.4. 가족력
1.5. 전반적 사정
1.6. 정신상태 사정(MSE)

2. 약물치료
2.1. 투약 약물 현황
2.2. 약물 특성 및 부작용

3. 간호진단
3.1. 병식결여와 관련된 비효율적 대응
3.2. 질병과 신체활동량 저하와 관련된 비만
3.3. 부적절한 개인위생과 관련된 자기 돌봄 결핍
3.4. 수면장애와 관련된 피로
3.5. 신체활동 부족과 관련된 변비

4. 간호과정
4.1. 간호사정
4.2. 간호진단
4.3. 간호계획
4.4. 간호중재
4.5. 간호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사정
1.1. 대상자 정보

대상자의 성명은 조OO이며, 성별은 M, 나이는 51세이다. 혼인상태는 미혼이며, 가족형태는 부모, 남동생, 여동생과 함께 살고 있다. 교육수준은 대학교 중퇴이며, 직업은 무직이다. 종교는 없으며, 취미는 게임과 노래이다.


1.2. 현병력

현병력은 다음과 같다.""입원당시의 주 증상 및 주 호소는 "우울하고 무기력하고 몸이 축 쳐지는 느낌이 너무 심했어요."라고 하였다. 입원당시 촉발사건은 군대 제대 후 스스로 정신이 이상하다고 느껴 부모님에게 직접 병원에 가자고 권유하였다. 대상자 자신의 현재 주 호소 및 질병상태는 "25년 전, 처음 처방받은 약 14알을 현재까지 매일 먹는 게 힘들어요.", "제가 스스로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때에 약을 복용하는 것이 힘들어요.", "근본적인 해결을 하고 싶은데, 이 약을 처방해준 의사를 찾지 못해서 그냥 먹고 있어요.", "저녁에 약을 안 먹고 자면, 새벽 2시에 갑자기 깨요. 깨면 다시 잠을 못자요."라고 하였다.""


1.3. 과거력

과거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군 입대 후 후임과의 문제 발생을 제대로 해결하지 않아 응어리된 채 시간을 보냈으며, 이때부터 정신과적 증상이 시작되었다. 이후 약 12번의 정신과 입원을 거쳤으며, 각 병원에서 1~2달 정도 입원 치료를 받았다. 2013년에는 자살 시도를 하였고, 2023년에도 자살사고 및 입소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이 과정에서 아리피라졸, 리튬, 할로페리돌, 벤즈트로핀 등의 약물을 복용해왔으나, 때때로 자의로 약물 복용을 중단하기도 하였다. 대상자의 약물 복용 중단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가족들 역시 대처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학 재학 중에도 교우 관계 어려움, 강의 참여 저조 등의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해 휴학을 하기도 하였다.


1.4. 가족력

아버지의 경우 고혈압(HTN)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되어있다. 즉, 대상자의 아버지가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이다.


1.5. 전반적 사정

전반적 사정을 살펴보면, 대상자는 신장 155cm, 체중 75kg으로 BMI 31.22를 나타내어 비만한 상태이다"" 대상자는 갑상선 저하증으로 인한 피로감과 무력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시간에 무기력한 모습이 주로 관찰되었다"" 또한 약물 복용과 신체 활동량 저하로 최근 1년간 체중이 10kg 이상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아버지의 뇌출혈과 뇌경색으로 인한 요양원 입원으로 가정 내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어 기초생활수급비와 언니의 용돈에 의지하여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대상자는 최근 버스 이용 시 두려움과 공포감을 느끼고 있어 이로 인한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6. 정신상태 사정(MSE)

정신상태 사정(MSE)은 대상자의 현재 정신 상태를 체계적으로 사정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행동, 사고, 감정, 지각, 의식 수준 등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 외모, 태도, 행동
대상자의 위생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지 않은 편이다. 두발은 불량한 상태이고, 세안 및 목욕 상태도 양호하지 않다. 반면 복장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태도면에서 대상자는 협조적이며 면담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때로는 적대적이고 방어적인 태도를 보인다. 또한 혼란스러워 보이는 모습이 관찰된다. 얼굴 표정은 보통 수준이나 때때로 자신만만한 모습을 보인다. 행동 및 정신운동성 측면에서는 이상한 행동을 보이며, 가족들이 싫어하는데도 불구하고 길고양이를 데려와 방에서 키우는 등의 모습이 관찰된다. 공격적인 행동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2. 사고의 흐름
대상자는 묻는 말에 대해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며, 사고의 흐름이 지리멸렬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논리적이지 못하거나 우회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사고의 내용
대상자는 환각 증상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누가 나를 쳐다본다"는 환청과 환시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피해망상과 관계망상도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4. 감정반응
대상자의 기분 및 정동 반응에 대해서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려웠다. 다만 관찰된 바로는 뾰로통한 표정으로 보아 전반적인 정동이 정상 범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5. 인지기능
대상자의 지남력, 기억력, 계산 및 주의집중, 추상적 사고, 판단력 등의 인지기능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6. 병식
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증상들이 정신분열증이나 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대상자는 환각, 망상, 행동 장애 등의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병식이 결여된 상태인 것...


참고 자료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main.asp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search/search.do
김수진 외 15명, (2020). 정신건강간호학. 서울: 현문사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2023). Pacific Books
이은희 외 9명. (2020).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217-308). 서울: 고문사
서울아산병원 분열정동 장애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amc.seoul.kr)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acorte Press.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