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인 가족의 가계도를 작성하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계도
2.1. 개념
2.2. 가계도 작성
2.3. 가계도 설명
3. 생태도
3.1. 개념
3.2. 생태도 작성
3.3. 생태도 설명
4. 가계도와 생태도에 대한 소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가족복지는 가족이 사회변화에 적응하며 가족과 가족 구성원의 기능적인 문제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가족 복지서비스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회변화에 적응하도록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고 가족이 상실한 기능을 회복하며 유지할 수 있게 지원하면서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삶을 보장하고자 하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족복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가족을 사정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가족사정 방법 중 가계도와 생태도를 바탕으로 내 가족을 살펴보고자 한다.
2. 가계도
2.1. 개념
가계도는 2세대나 3세대로 이루어진 가족의 구조 및 관계를 도표 형태로 제시하며, 특정 기간의 가족 역사와 주요 사건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의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사정 도구이다. 가계도를 통해 가족이 세대를 거쳐 어떻게 생물학적, 법적, 정서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가족 구성과 구조, 세대 간 반복되는 관계 유형 및 가족 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가능하다. 가계도는 가족 구성원을 표시하는 기호와 간략한 정보를 기재하고, 관계를 나타내는 상징을 활용하여 작성된다. 이 과정에서 가족의 연령, 성, 직업과 같은 인구 사회학적 정보와 결혼, 별거, 이혼, 사망, 입양 등 중요한 생활 사건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족의 구조적 특성이나 세대에 걸쳐 나타나는 생활 사건의 반복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2.2. 가계도 작성
가계도 작성은 가족의 2~3세대에 걸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를 도표로 나타내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중요한 생활 사건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계도 작성 시 가족 구성원을 표시하는 기호와 간략한 정보, 가족 간 관계를 나타내는 상징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가족의 연령, 성별, 직업 등 인구학적 정보와 결혼...
참고 자료
우국희 외(2021), 「사회복지 실천론」, 신정.
이윤정 외(2019), 「가족복지론」, 공동체.
휴넷사회복지평생교육원, 「가족복지론」 교안.
장연진. (2021). 가족복지론: 정책과 실천의 통합적 이해. 신정.
창츨 헝거르졸, 2015,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비교분석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p.14~15
최명민, 2002, 사회복지사 셀프-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p.70~71
가족복지론 (손병덕 외 2인, 2014)
사회복지개론 (조흥식 외 9인, 2015)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김명훈. 학지사. 2012.
사회복지실천론. 권석만. 학지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