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지역사회 간호는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간호 및 보건교육, 관리 등을 제공하여 지역사회의 적정기능 수준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역사회의 삶의 질 향상 및 적정기능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에서 일어나는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해결 전략을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 안산시의 다양한 정보와 지역 주민의 자료를 사정하고 분석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진단 및 계획을 세워보고자 한다.
2. 간호사정
2.1. 자료사정 방법
자료사정 방법은 총 6가지로, 실습 중에 지역 시찰, 기존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 시찰은 2주간 출퇴근 시 걸어다니며 안산시의 주거, 공공시설, 교통수단, 거리, 환경 등을 관찰하여 활용하였다. 기존자료조사는 안산시 보건소, 안산시청, 상록구청, 통계청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보건소에 배치된 사업보고서, 지역보건의료계획 등을 참고하였다.
지역지도자 면담, 설문조사, 참여관찰, 가정방문 등의 방법은 실습 기간 내에 실시하지 못하였다.
2.2. 안산시 지리적 특성
안산시는 총면적 156.40km²로 경기도 총면적의 1.53%를 차지하며, 서울의 30km 반경 남서부에 위치한다. 동쪽은 군포시와 의왕시, 서쪽은 서해, 남쪽은 화성시, 북쪽은 시흥시에 접하고 있다. 지형은 내륙 쪽으로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행정구역상 상록구와 단원구의 2개 구로 나뉘어져 있는데, 상록구의 면적은 57.99km²(안산시 전체 면적의 37.1%)이며 단원구의 면적은 98.41km²(안산시 전체 면적의 62.9%)이다. 상록구는 아파트와 다가구주택이 밀집된 주거 지역이며, 단원구는 반월공단과 시화공단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어 외국인 인구가 밀집된 다문화 지역이다.
안산시는 서울 및 수도권과 가까워 수도권 인구 및 기능을 분산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계획적이고 인공적으로 개발된 전원주택 도시이다. 또한 최근에는 노후주택 재개발 사업, 교통망 확충, 4차 산업단지 개발 등 도시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3. 안산시 인구구조 및 특성
안산시의 인구구조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안산시의 총인구는 641,660명(2022년 기준)으로, 이 중 328,940명(51.3%)은 남성, 312,720명(48.7%)은 여성이다. 연령별로는 0-9세가 38,458명(5.99%), 10-19세가 58,801명(9.16%), 20-29세가 99,726명(15.55%), 30-49세가 183,362명(28.58%), 50-64세가 179,802명(28.02%), 65세 이상이 81,511명(12.70%)으로 나타났다. 유년 인구(0-14세)는 65,708명, 생산 인구(15-64세)는 494,441명, 노년 인구(65세 이상)는 81,51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산시의 총부양비는 29%, 노령화지수는 124%이며, 인구증가율은 1.3%로 나타났다. 또한 안산시는 다문화 가정이 많은 지역으로, 다문화 혼인 비율은 11.9%에 달한다. 취약 인구는 11.18%이며, 65세 이상 취약 인구는 13.42%로 조사되었다.
한편, 안산시는 최근 수년간 합계출산율 감소와 함께 총인구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기대수명은 증가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건강 수준 또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안산시의 표준화 사망률은 전국 및 경기도 평균에 비해 여전히 높은 편이다.
2.4. 안산시 간호사정
안산시 간호사정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지리적 특성을 살펴보면, 안산시는 경기도 남서쪽에 위치한 면적 155.19km²의 도시로,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지역에 해당한다. 행정구역상 2개 구 25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록구와 단원구의 면적과 특성이 차이를 보인다. 상록구는 아파트와 다가구주택이 밀집한 주거 지역이며, 단원구는 반월공단과 시화공단 등 대규모 산업단지가 위치한 지역이다.
인구구조 및 특성을 살펴보면, 안산시 총인구는 654,915명으로 경기도 31개 지자체 중 8번째로 많은 편이다. 연령별로는 30~49세(29.6%)와 50~64세(26.6%) 인구가 가장 많고, 노년층(65세 이상, 10.9%) 비율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외국인 인구가 총인구의 약 6.9%를 차지하여 다문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 수준을 살펴보면, 주요 사망 원인은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등의 만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