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구비문학으로서의 무가
구비문학으로서의 무가는 무속의례에서 구연되는 노래로,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무가는 다른 구비문학 양식과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무가는 주술성을 가지고 있다. 무가는 무당의 기능인 치병, 예언, 점복 등에서 실제적인 주술적 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무가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다. 민요 중에도 주술성을 가지는 작품이 있지만, 이는 무가에서 파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무가는 신성성을 지니고 있다. 무가의 청자는 신이다. 즉, 신에게 인간의 소원을 전하고 신의 의사를 인간에게 전달하는 말이다. 이러한 신성성은 인간이 알 수 없는 문구의 삽입이나 신의 언어로 표현되는 '공수'에서 더욱 강력하게 나타난다.
셋째, 무가의 전승은 제한되어 있다. 무가는 무라는 특정 부류에 의해서만 전승되며, 일반 대중이 전승의 주체가 되지 못한다. 무가의 전승은 무당의 사제관계나 수양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보수적인 성격을 지닌다.
넷째, 무가는 오락성을 지니고 있다. 무의가 연중행사나 과거에 도와준 것에 대한 감사의례로 행해지면서, 춤이나 곡예 등의 오락적 요소가 가미되었다. 이에 따라 무가의 문학적 조각이 이루어졌다.
이처럼 무가는 우리 민족의 전통문화와 밀접한 관련 속에서 발생하고 전승된 구비문학 장르라 할 수 있다.
1.2. 무가의 특성
무가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술성이 있다. 무가는 어느 것이거나 주술적인 성격이 있다. 무가 이외에 민요에도 주술성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무가의 경우 무속의례에서 실제로 주술력을 구현하고 있다. 강신, 치병, 예언 등이 모두 무가에 내포된 주술의 효과로 볼 수 있으며, 신을 즐겁게 하고 귀신을 물리치는 등 보통 인간의 언어와 다른 주술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
둘째, 신성성이 있다. 무가는 그 청자가 신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설화나 민요, 판소리 등 다른 구비문학 장르의 경우 인간인 청자를 가지지만, 무가는 무의의 성격상 그 대상은 신이다. 신에게 인간의 소원을 하소연하고 아쉬운 점을 부탁하며, 신을 즐겁게 하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성성을 가진다. 이러한 신성성은 인간이 알지 못하는 문구의 삽입이나 신 자신의 언어로 의사가 전달되는 '공수' 등의 무가에서 더욱 강력하게 드러난다.
셋째, 전승이 제한되어 있다. 무가는 무라는 특정 부류에 의해서만 전승되고 있으며, 일반 대중이 전승의 주체가 되지 못한다. 무가의 전승은 무의 사제자 관계나 수양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따라서 다른 구비문학 장르에 비해 보수적인 성격을 가진다.
넷째, 오락성이 있다. 위와 같은 특징에도 불구하고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해 오락적 요소가 가미되었기 때문에 문학성이 풍부하다. 의례가 치병, 치재와 같은 절박한 상황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정기 의례나 과거에 도와준 것에 대한 감사 의례 등에서도 수행되었고, 이러한 무의에는 흥미로운 곡예나 춤 등이 포함되어 있어 민중의 구경거리로 자리 잡았다.
다섯째, 율문 전승이 이루어진다. 무가는 악곡에 실려 연행되며, 대체로 정형성을 가지는 4음보격의 율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