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낙상 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낙상 개요
1.1. 낙상의 정의
1.2. 낙상의 원인 및 위험요인
1.2.1. 내적요인
1.2.2. 외적요인
2. 낙상 예방
2.1. 낙상 위험도 평가
2.1.1. 초기 평가
2.1.2. 정기 재평가
2.2. 낙상 고위험 환자 분류 기준
2.3. 낙상 예방 활동
2.3.1. 일반적인 낙상 예방 활동
2.3.2. 고위험군 낙상 예방 활동
2.3.2.1. 성인 낙상 고위험 환자
2.3.2.2. 소아 낙상 고위험 환자
2.3.2.3. 외래 낙상 고위험 환자
2.4. 환경 및 시설 관리
3. 낙상 발생 시 대응
3.1. 초기 처치
3.2. 보고 절차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낙상 개요
1.1. 낙상의 정의
낙상은 "중풍이나 기절 등으로 갑자기 쓰러지는 것과 외부적인 힘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제외하고,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의도하지 않은 자세의 변화로 인해 바닥이나 당시의 몸의 위치보다 낮은곳으로 갑자기 넘어지는 것"을 말한다. 즉, 낙상은 예기치 않게 일어나는 넘어짐이나 주저앉음, 미끄러짐, 떨어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의미한다. 낙상으로 인한 신체적 상해는 골절, 혈종, 타박상, 찰과상 등의 형태로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1.2. 낙상의 원인 및 위험요인
1.2.1. 내적요인
낙상의 내적요인은 환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요인들이다.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균형감각 저하, 신체기능 감소, 신경계 및 심혈관계 기능 저하 등의 생리적인 변화로 인해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시력, 청력, 고유감각 등의 감각기능이 저하되고 보행능력과 근력이 감소하여 불안정한 자세로 이어져 낙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치매, 파킨슨병 등의 신경학적 질환이 있는 환자들도 인지기능 저하와 운동기능 장애로 인해 낙상 위험이 크다. 이외에도 심혈관계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 우울증 등의 내과적 질병을 가진 환자들도 낙상 위험이 높은 편이다. 특히 진정제, 수면제, 항우울제 등의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약물부작용으로 인한 어지러움, 졸음, 반사작용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낙상 위험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개인적 특성과 내재된 의학적 상태가 낙상의 주요한 내적요인이 된다.
1.2.2. 외적요인
외적요인은 낙상을 유발하는 환경적인 요인들이다. 주로 실내외 환경에서 발생하는 여러 요소들이 낙상의 위험을 높이는데, 이에는 부적절한 조명, 미끄러운 바닥, 장애물, 잘못된 보행보조기구 사용 등이 포함된다.
실내환경에서 낙상의 외적요인으로는 원인을 꼽을 수 있다. 조명이 어두운 경우 주변을 잘 인지하지 못해 걸려 넘어질 수 있고, 미끄러운 타일이나 바닥, 깔개 또한 낙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복도나 병실에 놓여있는 물건, 전선 등의 장애물도 낙상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보행보조기구를 잘못 사용하거나 관리하지 않으면 균형을 잃어 넘어지기도 한다.
실외에서는 평탄하지 않은 지면, 미...
참고 자료
정한나.(2017).낙상예방교육이 정형외과 입원환자의 낙상관련지식, 낙상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
손재이, 박병규, 이찬희, 안금희, 김정남, 박민현, 최은영, 부은희, 강민진, 홍정화.(2019).간호ㆍ간병통합서비스 이용환자의 낙상발생률과 낙상의 특성.보건행정학회지,29(2),172-183.
심송미, 김은하.(2019).간호·간병 통합병동에 입원한 노인환자의 낙상예방교육 효과.한국보건간호학회지,33(2),200-213.
조은경, 성미현, 이윤신, 석소현.(2019).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를 위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 효과.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9(11),19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