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 질환 대상자 방문간호 사전지식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최초 생성일 2024.08.29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파킨슨 질환 대상자 방문간호 사전지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간호실무
1.1. 보건전문간호사
1.2. 보건진료전담공무원
1.3. 보건교육사
1.4. 보건교사
1.5. 산업전문간호사
1.6. 산업간호사
1.7. 노인전문간호사
1.8. 노인요양 방문간호사
1.9. 정신보건간호사
1.10. 정신전문간호사
1.11. 가정전문간호사
1.12. 조산사

2. 지역사회간호대상자 사례연구
2.1. 지역사회 방문간호
2.2. 간호력
2.3. 물리적 환경
2.4. 방문간호대상자 사례관리 기록지

3. 치매 환자 간호진단

4. 치매 예방을 위한 건강교육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간호실무
1.1. 보건전문간호사

보건전문간호사는 보건소에서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을 목표로 간호활동을 하는 간호사이다. 보건복지부장관에 의하여 전문간호사 자격을 부여받는다.

보건전문간호사의 직무는 첫째, 안전관리, 사고관리, 감염관리, 환경관리 등 보건 대상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건강문제를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개인, 가족, 지역사회 대상자의 질병예방, 보건교육 사업 및 증진사업계획을 수립한다. 셋째, 건강한 환경조성을 위한 중재 및 안전하고 비용 효과적인 보건간호 중재를 실시하며, 예방접종, 집단강의, 방문교육 등 보건활동을 실시하고 간호제공 후 효과를 평가한다. 넷째,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대상자의 만족도를 평가하고 약품 및 비품 등을 관리한다.

즉, 보건전문간호사는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해 다양한 보건활동을 수행하며, 대상자의 요구와 환경을 고려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1.2. 보건진료전담공무원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은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해 농어촌 등 보건의료 취약지역의 주민들에게 일차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 또는 조산사 자격의 공무원이다. 이들은 일차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외에도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 사업계획 수립, 보건정보체계 개발, 지역사회 환경보건 관리, 사업 운영 관리 및 기술 지도, 모자 건강 관리 및 가족계획, 통상 질환 관리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은 간호사 또는 조산사 면허를 소지하고, 보건복지부장관이 실시하는 24주 이상의 직무교육을 이수한 자로, 오지나 벽지 등 의료취약지역에 배치되어 주민들의 건강관리를 담당한다. 이들은 지역사회에 밀착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농어촌 주민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농어촌 및 벽, 오지 지역 주민의 건강관리를 위해 보건진료소를 운영하며, 해당 지역주민들에게 일차보건의료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지역사회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며,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보건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한다. 또한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하여 포괄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보건사업 사례로, 월계보건지소의 만성질환관리사업을 들 수 있다. 이 사업에서는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자를 등록 관리하고, 건강상담과 교육, 운동교실 등을 운영하여 질환자의 합병증 예방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이처럼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은 지역사회 밀착형 보건사업을 통해 농어촌 주민의 건강증진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요약하면,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은 농어촌 지역 주민들의 건강관리를 위해 일차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사회 보건사업을 기획 및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3. 보건교육사

보건교육사는 '국민건강증진법 제17조'에 따라 보건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운영, 평가 등을 수행하는 전문 인력이다. 보건교육사는 1급, 2급, 3급으로 구분된다.

보건교육사 3급의 자격기준은 다음과 같다. 보건교육사가 되고자 하는 자는 ① 보건교육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자, ② 민간단체의 보건교육사 양성과정을 이수한 자, ③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교육과정에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보건교육관련 교과목 중 필수과목 5과목 이상, 선택과목 2과목 이상 이수하고 전문학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자 중 하나에 해당하여야 한다. 이후 국가시험에 합격한 후 보건복지부장관의 자격을 받아야 한다.

보건교육사의 직무 및 역할은 ① 요구도 진단, ② 보건교육, 건강증진 프로그램 기획, ③ 보건교육 방법 및 교육자료 개발, ④ 보건교육, 건강증진 프로그램 수행, 평가, 관리, ⑤ 건강증진 환경 조성, ⑥ 의사소통 및 애드보커시, ⑦ 건강정보 생성과 확산, ⑧ 연구수행, ⑨ 보건교육의 전문성 개발 등이다.

실제 사례로, 양산부산대병원은 시관내 15개 지역아동센터 312명의 초등학생,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난 1일부터 오는 15일 까지 청소년 흡연의 위험성 및 예방법 등에 대한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공공보건의료기관인 양산부산대병원은 보건교육사 전문 인력을 채용하여 경제적, 의료적 취약계층인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으로 보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전문 질환 교육, 순회 진료, 건강 검진 등의 공공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아동들의 건강관련행태를 건강에 이로운 방향으로 교정하고, 향후 질병 발생을 예방하며 지역사회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보건교육사는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보건교육 전문가로 인정받은 자로,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운영, 평가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1급, 2급, 3급의 자격기준을 갖추고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의 자격을 받아야 한다. 보건교육사는 대상자의 요구도 파악,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수행 및 평가, 건강증진 환경 조성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양산부산대병원 사례와 같이 지역사회의 보건교육 서비스 제공을 통해 건강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처럼 보건교육사는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 인력이라고 볼 수 있다.


1.4. 보건교사

보건교사는 초, 중, 고등학교 보건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말한다. 학교보건법에 의해 초, 중, 고등학교 보건실에서 근무하며 학교인구의 건강관리를 위해 활동을 한다. 간호대학(3년제 및 4년제)을 졸업한 자로서 입학정원의 10%에 해당하는 대상자가 재학 중 소정의 교직학점(3년제 및 4년제 동일하게 교직과목 22학점 이수, 2009년도부터 시행)을 취득하고 간호사 면허증을 소지한 자는 보건교사가 될 수 있다.

보건교사의 직무는 학교보건법 시행령 제6조 3항에 의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보건계획의 수립 둘째, 학교 환경위생의 유지관리 및 개선에 관한 사항 셋째, 학생 및 교직원에 대한 건강진단 실시의 준비와 실시에 관한 협조 넷째, 각종 질병의 예방처치 및 보건지도 다섯째,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관찰과 학교의사와 건강 상담, 건강평가 등의 실시에 관한 협조 여섯째, 신체허약 학생에 대한 보건지도 일곱째, 보건지도를 위한 학생가정의 방문 여덟째, 교사의 보건교육에 관한 협조와 필요시의 보건교육 아홉째, 보건실의 시설, 설비 및 약품 등의 관리 열째, 보건교육자료의 수집, 관리 열한째, 학생건강기록부의 관리 열둘째, 일차 의료행위 열셋째, 기타 학교의 보건관리 등이다.

따라서 보건교사는 학교 내에서 교직원 및 학생들의 건강관리와 증진을 위해 활동하며, 학교보건에 관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건강한 학교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전인적인 발달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5. 산업전문간호사

산업전문간호사는 산업체의 안전과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전문간호사이다.

산업전문간호사는 의료법 제 82장 보칙 제 78조에 의해 자격을 인정받으며, 자격시험을 거쳐 최종 합격한 자는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자격증을 교부받는다. 간호사 면허를 소지하고 있는 자가 최근 10년 이내에 산업보건(산업 간호)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이 되면 산업전문간호사 과정이 있는 대학원(석사 과정)에서 산업전문간호사석사학위 과정을 수료한 후, 산업전문간호사 시험에 합격하면 산업전문간호사가 된다. 산업전문간호사 과정은 현재 유일하게 서울가톨릭대학교 보건대...


참고 자료

서윤진, 남미라, 안옥희. (2005). ⌜의료기관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인식⌟. Community Health, 16(3).
송지영. (2004). ⌜조산사의 개원 실태 및 직무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최선하 외. (2017) ⌜21C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신광출판사.
산업간호사 부문1) http://news.samsungdisplay.com/10313
산업간호사 부문2) http://news.samsungdisplay.com/3007
산업간호사 부문3) http://www.samsungsemiconstory.com/73
한라일보 <"제주 방문간호사 최저임금도 못받는 현실 아나?"> 2018.09.18. http://www.ihalla.com/read.php3?aid=1537261445608197073
메디파나 <'찾아가는 복지' 보건소 방문간호사 100% 계약직?> 2017.07.19. http://www.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04284&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매일경제 <`찾아가는 의료` 키우려면 방문간호사 처우 개선을> 2018.08.22.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525796
마인드포스트 <방문간호사 역할 중요해지지만...현실은 열악한 처지> 2018.08.01. http://www.mind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6
성남시 노인보건센터 http://www.scsh.or.kr/center/main.do
김성의. (2018) ⌜정신보건간호사의 정신질환자 돌봄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순천향대학교.
청년의사 <“보건의료 패러다임 변화, 간호사가 주도하겠다”> 2018.10.29.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1785
jtbc 뉴스 <한국 인구성장률 0.4% 불과…출산율 세계 최하위권> 2018.10.18. http://news.jtbc.joins.com/html/021/NB11712021.html
Naver 지식백과 <지역간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79546&cid=50367&categoryId=50367
Naver 지식백과 <지역사회>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21375&cid=42121&categoryId=42121
통계청 <전체 의료인력 현황>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jJF&pkid=422&os=8106724&query=%EC%A0%84%EC%B2%B4%20%EC%9D%98%EB%A3%8C%EC%9D%B8%EB%A0%A5%20%ED%98%84%ED%99%A9
Naver 지식백과 <방문간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91480&cid=50367&categoryId=50367
메디칼타임즈 <복지부 "의료기관·지역사회 연계한 보건의료 정책 추진"> 2018.11.02. http://www.medicaltimes.com/News/1122171
메디소비자뉴스 <"환자·지역사회 중심 '커뮤니티 케어' 추진.. 바이오헬스 지원 강화"> 2018.11.02. http://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6106
Naver 뉴스(SBS) <"자식보다 낫다"는데…연말마다 '해고'되는 방문간호사들> 2017.07.20.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5&aid=0000550860
부천시 보건소 어린이 건강체험관 https://pubhealth.bucheon.go.kr/site/main/index152
노원구 보건소 보건지소사업 http://www.nowon.kr/health/health.jsp?mid=613502
국제뉴스 <양산부산대병원, 지역아동센터 보건교육> 2016.12.05.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605822
국민일보 <보건선생님은 언제 오시려나? 배치율 78% 학교건강 빨간불> 2018.06.10.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961578&code=14130000&cp=nv
간호신문 <보건간호사 배치기준 ‘ 최소인력 → 적정인력’ 개선 시급> 2017.09.12. 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57&idx=21961&intPage=10
고령신문 <찾아가는 정신건강상담 ‘마음 톡(talk), 톡(talk)> 2018.08.29. http://www.goryeong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89
조선일보 <돌볼 준비 안됐는데...정신질환 1만 9000명, 6월부터 퇴원 예정> 2017.04.01.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01/2017040100175.html
국민일보 <맞고, 찔리고, 성추행까지… 방문간호사들 ‘방문’ 열기 겁난다> 2012.09.03.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6404887
쿠키뉴스 <총체적 부실에 표류하는 방문·가정간호서비스> 201803.07.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529778
디트news24 <‘불안한 방문간호사업’ 안돼> 2014.12.31.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72795#_enliple
청년의사 <방문간호 인력 공무원화엔 '공감', 간호사 필수 직종 명시엔 '이견'> 2018.02.27.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2994
강북구의회 <방문간호사의 신분보장을 위한 처우개선 필요와 문제점에 대하여> 2017.10.19. http://www.gbc.seoul.kr/source/korean/assembly/burokview.php?code=05TB0I
전기신문: 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473136993137122047
아시아투데이: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0424010016062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65024&cid=51004&categoryId=5100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