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기관을 활용한 위기청소년 상담 사례
1.1. 지역사회 기관 현황 조사
1.1.1. 지역의 청소년 현황
평택시의 청소년 수는 95,547명(9세-24세, 2020년 9월 기준)으로, 이는 평택시 전체 인구 529,140명(2020년 9월 기준) 중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평택시가 청소년을 위한 정책과 지원이 필요한 주요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은 지역사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지역의 청소년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지역사회 기관을 활용한 위기청소년 상담 사례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평택시의 청소년 수와 지역 인구 수를 고려할 때, 청소년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2. 지역사회 청소년 관련 기관 현황
평택시에는 청소년상담 및 복지 지원을 담당하는 총 17개의 청소년 관련 기관이 있다. 이 중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평택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평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평택시청소년문화센터 '청터꿈터', 평택시무봉산청소년수련원, 평택여자단기청소년쉼터 등이 있다.
평택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청소년 상담 및 위기 청소년 개입을 통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평택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발굴 및 사회복귀 서비스를 지원한다. 평택시청소년문화센터 '청터꿈터'는 청소년들의 직접적인 체험 활동 위주의 진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평택시무봉산청소년수련원은 청소년수련활동과 더불어 방과후 아카데미를 운영한다. 평택여자단기청소년쉼터는 위기 청소년에게 의식주, 의료, 법적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평택시에는 청소년상담, 복지, 문화, 수련활동 등 다양한 영역의 청소년 지원 기관이 마련되어 있어, 위기 청소년들이 겪는 다양한 어려움에 대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2. 위기 청소년 사례 개입 방안
1.2.1. 내담자 상황 및 주호소문제
내담자는 17살 여자아이로, 초등학교 졸업 후 대안학교에 입학했다가 적응하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한 상태이다. 학업 중단 이후 아버지와 갈등이 생겨 집을 나왔고, 친구 집을 전전하며 생활하다 현재는 집에 돌아갔다. 어머니는 상담 방문 당시 자녀의 학업 및 진로에 대한 상담을 요청하였다.
내담자는 초등학교 입학 후 왕따를 당했고, 이로 인해 학교생활 적응이 어려웠다고 한다. 부모님과 상의 끝에 대안 학교에 입학하기로 했으나 대인관계에 적응하지 못하고 점차 결석이 잦아졌으며, 이로 인해 아버지와의 갈등이 있었다. 최근 성적 저하와 함께 주의력 저하 현상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2.2. 상담 목표 및 개입 전략
상담 목표 및 개입 전략은 내담자의 현재 상황과 주요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 사례에서 내담자는 학업 중단과 가출의 위기에 처해 있으므로, 상담 목표는 첫째, 진로에 대한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이다. 둘째,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