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교육학 기본모형 및 범위 이해와 사례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노인교육의 개관
1.1. 노인교육의 역사와 개념
1.2. 노인교육의 기본모형
1.3. 노인교육의 범위
1.3.1. 노인을 위한 교육
1.3.2. 노인에 관한 교육
1.3.3. 노인에 의한 교육
1.4. 노인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2. 노인교육 사례 분석
2.1. 꽃할배 행복도시 프로젝트
2.2. 선배시민양성 사업
3. 노인교육의 과제와 개선방안
3.1.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3.2. 노인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3.3. 노인 주도적 교육 활성화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노인교육의 개관
1.1. 노인교육의 역사와 개념
노인교육의 역사와 개념은 다음과 같다.
유럽에서는 노인의 직업교육 활성화 측면에서 60년대 말부터 노인교육이 시작되었다. 노인교육은 미성숙자를 가르친다는 페다고지(Pedagogy)개념으로 시작되었는데 Kallmeyer(1976)가 노년기 학습능력을 주장하고, 노년기의 사회화과정에 평생교육의 개념을 도입했다. 노인교육은 페다고지(Pedagogy)의 속성에서 벗어나 학습의 개념으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Peterson은 "노인을 위한 그리고 노인과 노화에 관한 교육적 노력의 실천과 연구"로 정의하였으며, 노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노인을 위한 교육"과 노인과 노화에 관하여 가르치는 "노인과 노화에 관한 교육"의 두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노인교육이라 정의하였다. 한정란(2001)은 "단순하게 노년기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현재 욕구를 충족시키는 교육활동뿐만이 아니라 앞으로의 노화에 긍정적으로 적응하고 자아를 실현하며 노년기에 필요한 생활능력 및 직업능력을 갖추도록 돕는 것"이라고 강조하였으며,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집단의 학습자 혹은 고령자와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기를 원하거나 현재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 퇴직을 준비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노화과정 및 노인의 특성에 관한 교육적 실천과 연구를 포함하는 "노인에 관한 교육", 더 나아가 고령자들의 지혜와 인생경험을 가치 있는 교육적 자원으로 활용하는 교육 및 봉사의 실천과 연구를 포함하는"노인에 의한 교육"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정의했다.
1.2. 노인교육의 기본모형
과거의 노인학은 "노인을 위한 교육"과 "노인에 관한 교육"에 중점을 두었으나 현재의 노인학은 "노인에 의한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현재의 노인교육 기본모형은 모든 연령, 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에 대한 이해를 비롯 노화에 대한 적응 및 준비를 가르칠 뿐만 아니라 노인인 본인이 주체가 되어 교육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궁극적으로 세대통합을 위한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려 서로의 성장을 위해 상호 작용하는 세대공동체 교육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첫째, 노인교육은 인간의 평생에 걸친 성장과 발달이라고 하는 전 생애적인 발달과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둘째, 노인은 신체적 노화로 인한 육체적 문제는 지녔으나, 풍부한 인생경험을 지닌 시기이다"".
셋째, 자신의 역할과 가치를 찾아내고 외부세계와 자신을 계속적으로 통제해 나갈길 원한다"".
넷째, 젊음보다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인생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다"".
1.3. 노인교육의 범위
1.3.1. 노인을 위한 교육
"노인을 위한 교육"은 주로 노년기에 대한 지식을 전하는 교육으로 복지의 관점으로 보았다. 노인들의 현재 삶의 현상을 유지하기 위한 여가활동의 차원에서 접근되었다. "노인을 위한 교육"은 노인복지와 여가활동 간의 구분이 명확히 설정되지 않고 이루어져 왔다. 단순히 노인들의 여가활동을 충당하는 수단에 그치지 않고, 노인 스스로 삶에 대한 능력부여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노인에 대한 단순 보호 또는 대우의 차원을 넘어서서 노인들이 자신들이 가진 불리함을 스스로 극복하고 계속적인 발달을 추구하도록 돕는 교육으로 발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노인들이 일생을 살아오면서 습득한 기술을 유지하고 새로운 기술 변화에 적응하는 것뿐만 아니라 본인의 삶에 있어서 목적의식이나 자기만족, 자아정체성을 강화시키며, 집단이나 개인이 자신의 삶과 지역사회나 전체 사회 속에서 힘과 능력을 가지고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어야 한다.
첫째, 노인 스스로 본인의 위치를 확인하게 하는 동시에 노인에 대한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게 한다. 자기 자신이나 자신과 가까운 사람들의 노화에 보다 유연하게 적응하고 노년기에 요구되는 발달과업들을 하나씩 성취할 수 있게 하면서, 스스로 자신이 가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의 장을 통하여 노인들이 폭넓은 인간관계를 구축하도록 하는 동시에 급격하게 변해가는 사회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태도를 고취하도록 한다...
참고 자료
나항진, 노인교육론, 교육과학사, 2004.
허정무, 노인교육학개론, 양서원, 2007.
한정란, 한국노년학 30년을 통해 본 노년교육 관련 연구, 한국노년학 2008년 28권, 4호 831p-846p, 2008.
정진호, 노인교육학의 가능성탐색, 전남대학교, 1988.
김용태, 헌법과 노인교육,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논총 제20권 제3호 2013년 257p-283p, 2013.
국민일보, ‘고령화 쇼크’ 한국, 50년뒤 인구 절반은 65세 이상 노인,
https://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97453&code=11151100&cp=nv, 2023-04-19.
한겨례, 시니어 교육 뒤…좋아하는 일로 사회참여 ‘인생경로 전환’,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66269.html,2020-10-19.
한겨례, 노인들이여, ‘선배 시민’이 되자, https://www.hani.co.kr/arti/culture
/book/1036227.html, 2022-03-25.
중부매일, 베이비부머 세대의 유쾌한 반란…노인 NO! 선배시민 YES!,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74660, 2016.12.12.
동아일보, 흰머리가 패션 아이콘… 시니어 모델 ‘화려한 워킹’ 꿈꾼다,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021/116073767/1, 22-10-22.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자료 분석 가이드, 한유리, 박영스토리, 2018.07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노성호, 구정화, 박영사, 20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