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시나리오 학습
1.1. Vsim for Nursing 시나리오
1.1.1. Kenneth Bronson 폐렴
케네스 브론슨은 응급실에서 막 병동에 입원한 27세 남성이다. 그는 3시간 전에 흉부 압박감, 호흡곤란, 1주일 동안의 생산적인 기침, 열이 있는 상태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흉부 X-ray 검사 결과 우하엽 폐렴으로 진단되었다. 대상자는 IV 생리식염수를 시간당 150ml로 투여받고 있으며, 비강캐뉼라로 분당 2리터의 산소를 공급받고 있다. 산소포화도는 실내 공기에서 90%였으나 산소 공급 후 93%로 증가하였다. 또한 체온이 38.6°C로 측정되었다. 약국에서 항생제 투약을 위해 처방된 약물이 전달되어 투여가 가능한 상태이다.
대상자는 폐렴 증상으로 인해 응급실을 거쳐 병동에 입원한 환자이다. 호흡곤란, 열, 생산적인 기침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검사 결과 우하엽 폐렴으로 진단되었다. 대상자는 수액 공급과 산소 투여로 안정화된 상태이지만, 아직 항생제 투여가 필요한 상태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폐렴 환자 간호에 필요한 다양한 중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1.1.2. Jeenifer Hoffman 급성중증천식
제니퍼 호프만은 어린 시절부터 천식 병력을 가지고 있으며, 작년에 여러 차례 응급실을 방문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현재 호흡 곤란을 겪고 있으며 단순한 한 단어 문장 외에는 말할 수가 없다. 이러한 증상으로 볼 때 제니퍼는 급성 중증 천식 환자로 볼 수 있다.
급성 중증 천식 환자의 경우, 비강 캐뉼라를 통해 산소를 공급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호흡 곤란이 심하거나 기침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 산소 공급 방법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의 병력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천식 환자의 대표적인 증상인 천명음, 호흡 곤란, 기침 등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신속한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제니퍼는 과거 알레르기성 비염 병력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는데, 알레르기성 비염은 알레르기 천식과 함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이다. 따라서 제니퍼의 과거 병력을 자세히 살펴보고 관련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1.1.3. Lloyd Bennett 고관절 전 치환술
로이드 베넷은 이틀 전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76세 남성으로, 실외에서 추락하여 대퇴골 두 골절이 발생하여 왼쪽 고관절 치환술을 받았다. 모든 배수구가 제거되었고 간호 직원이 오늘 아침 드레싱을 변경했으며 드레싱은 현재 깨끗하고 건조하며 손상되지 않았다. 대상자는 물리치료로 피로를 호소했으며 현기증 없이 자세의 변화를 용납하지 않는다. 대상자의 CBC검사에서 전체 혈구 수에서 69g/L의 헤모글로빈이 확인 되어 의사 order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