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인간과 상황논쟁 비교 및 성격이론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성격의 발달과 인간 행동의 이해
1.1. 인간과 상황의 상호작용
1.2. 성격이론과 발달단계
1.2.1. 융의 성격이론
1.2.2. 에릭슨의 성격이론
1.2.3. 매슬로우의 성격이론
1.3. 건강한 성격의 특징
1.3.1. 충분한 기능발휘
1.3.2. 개별화와 성숙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성격의 발달과 인간 행동의 이해
1.1. 인간과 상황의 상호작용
우리가 평소에 훌륭하다고 생각해오던 사람들이 정치판에 들어가면 이상한 행동들을 하는 경우를 볼 때, 이는 곧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말에 상응하는 예시라고 할 수 있다. 사회인지 심리학자들은 이와 비슷한 논쟁을 인간의 행동에 상황과 성격 중 어떤 것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오랜 기간 진행해왔다.
사회인지 심리학자들은 행동이 성격 요인과 상황 요인 중 어떤 것에 의해 더 크게 좌우되는지에 대한 문제에 주목해왔다. 이들은 개인의 행동을 잘 예측해주지 못한다는 성격 검사 결과에 주목하며, 행동은 상황 요인에 의해 더 많이 결정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내향성 측정 검사에서 높은 점수가 나온 사람이 실제로 혼자 시간을 많이 보내는지는 별로 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어떤 이가 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했는지가 다른 상황에서의 행동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행동이 성격 이론가들이 인정하는 것보다 상황 요인에 의해 더 많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성격이라는 것은 없는 것일까? 사회인지 이론가들은 성격의 일관성이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사람에 따라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고 각 상황마다 추구하는 목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즉, 행동은 성격과 상황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개인이 처한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목표를 가지는지에 따라 동일한 상황에서도 서로 다른 행동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인간의 행동은 성격 요인과 상황 요인이 상호작용하며 결정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개인의 성격적 특성은 그 자체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러한 성격적 특성이 어떤 상황에 직면했을 때 어떻게 발현되는지에 따라 행동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성격과 처한 상황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이 둘의 상호작용을 통해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게 된다.
1.2. 성격이론과 발달단계
1.2.1. 융의 성격이론
융은 성격 발달을 자...
참고 자료
성격심리학,노안영,강영신,2판,학지사,2018.06.15
고창용, 2009, 장편 애니메이션의 서사구조에 따른 캐릭터 성격 형성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p.23~38
박효인, 2000, Jung의 심리학적 유형과 사상체질 및 성격특성의 관계, 국내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p.10~15
윤이상, 2008, 에릭 에릭슨의 8단계 생애주기이론을 통한 한국교회 청년대학부 소그룹 진단의 가능성 모색, 국내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p.1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