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평생교육현장실습
1.1. 실습일지 표지
실습일지 표지는 평생교육현장실습 기간 동안 학습자가 매일 실습일지를 작성하여 실습기관에 제출하는 서류의 표지이다. 실습일지 표지에는 실습기관명, 실습기간, 실습생 인적사항 등이 기재된다. 실습생은 실습일지 표지를 작성하여 매일의 실습 내용과 소감 등을 기록하고, 실습지도자의 확인을 받아 실습기관에 제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실습생의 실습 활동 내역과 실습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1.2. 실습생 출근부
출근부는 실습생의 출퇴근 시간과 실습시간 등 근무관련 정보를 기록한 문서이다. 실습생 출근부에는 성명, 연락처, 이메일 등의 실습생 인적사항과 일자별 출근시간, 퇴근시간, 실습시간, 실습생 및 실습지도자의 확인 서명 등이 포함되어 있다. 출근부를 통해 실습생의 출퇴근 내역과 실습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습지도자의 확인 서명을 통해 실습 참여 및 성실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습기관과 대학은 실습생의 출결관리와 실습 참여도를 점검할 수 있다.
1.3. 평생교육현장실습 실습일지
평생교육현장실습 실습일지는 실습생이 실습기관에서 매일 수행한 실습 활동 내용과 실습에 대한 소감을 정리한 문서이다. 실습생은 실습기관의 평생교육 관련 운영 현황,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 행정 업무 지원 등 실제 평생교육현장의 모습을 직접 관찰하고 체험하였다.
실습 첫날인 202*년 *월 *일, 실습생은 실습기관인 ****구청소년수련관의 오리엔테이션에 참여하여 수련관의 시설과 운영 현황,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업무에 대해 보다 자세히 알게 되었다. 또한 실습 일정과 코로나19로 인한 방역 정책 등을 숙지하고, 실습생 매뉴얼을 통해 평생교육현장 실습생이 갖추어야 할 태도와 주의사항을 학습하였다. 이어서 기관의 홈페이지와 SNS 활동을 통해 청소년과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개괄적으로 소개받았다.
202*년 *월 *일에는 실습생이 직접 교육 프로그램의 홍보물을 제작해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실습생은 드림캐쳐 청소년 교육 사업 홍보 포스터를 목공예, 조향사, 특수분장사 3가지 형태로 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습생은 홍보물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안내 사항을 확인하고, 프로그램 내용에 맞는 효과적인 배경과 문구를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었다. 더불어 온라인 무료 포스터 제작 지원 플랫폼을 활용하여 직접 홍보 포스터를 제작해보고 선생님의 피드백을 통해 보완하는 과정을 거치며 프로그램 홍보의 실제적인 방법을 경험할 수 있었다.
202*년 *월 *일에는 실습기관에서 실시한 소방 교육 훈련에 참여하였다. 소방관의 지도하에 소화전과 소화기 사용법을 익히고, 화재 발생 시 대처 요령에 대해 교육받았다. 특히 지하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소화 시도 없이 바로 지상으로 대피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실습생은 평생교육기관의 안전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기관의 회원 관리 프로그램을 살펴보며 회원 DB 정리와 중복 회원 추출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이를 통해 평생교육기관에서 회원 관리의 중요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202*년 *월 *일에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아동, 청소년 마스크 스트랩 봉사 기부 활동인 '**'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실습생은 마스크 스트랩 KIT 제작, 봉사자 연락 및 배부, 홍보 활동 등 프로그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