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요와 공급의 가격탄력성 분석 및 영농기술 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농업의 수요 및 공급 가격탄력성
1.1. 수요의 가격탄력성
1.1.1. 수요 가격탄력성 개념 및 결정 요인
1.1.2. 농업 수요의 가격탄력성
1.2. 공급의 가격탄력성
1.2.1. 공급 가격탄력성 개념 및 결정 요인
1.2.2. 농업 공급의 가격탄력성
2. 영농기술 개발이 농부에게 미치는 영향
2.1. 영농기술 발전과 농업 생산성 향상
2.2. 농산물 시장 개방에 따른 외국 농산물 수입 증가
2.3. 영농기술 발전의 농부에 대한 부정적 영향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농업의 수요 및 공급 가격탄력성
1.1. 수요의 가격탄력성
1.1.1. 수요 가격탄력성 개념 및 결정 요인
수요 가격탄력성이란 한 재화의 가격이 변화할 때 그 재화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크다는 것은 재화의 가격이 변화할 때 수요량이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밀접한 대체재의 존재 여부이다. 대체재가 많고 그 범위가 넓다면 가격이 조금만 올라도 다른 재화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수요는 탄력적이 된다. 반면 대체재가 제한적이라면 수요는 비탄력적이 된다. 예를 들어 콜라와 사이다는 밀접한 대체관계에 있어 콜라 가격이 오르면 사이다 수요가 크게 늘어나므로 탄력적이다.
둘째, 필수재 여부이다. 소비자들에게 필수불가결한 재화일수록 가격이 올라도 수요량이 크게 줄지 않기 때문에 수요는 비탄력적이 된다. 반면 사치재나 호화재의 경우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많이 줄어들어 탄력적이다. 예를 들어 쌀은 필수재이므로 가격이 올라도 소비량이 크게 줄지 않아 비탄력적이다.
셋째, 재화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와 중요성의 정도이다. 소비자들에게 중요하고 선호도가 높은 재화일수록 가격 변화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여 비탄력적이다. 반면 선호도가 낮고 중요도가 낮은 재화일수록 가격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탄력적이다.
넷째, 시간의 경과이다. 단기적으로는 수요량 조정이 어려워 비탄력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대체재 선택이나 소비량 조절이 가능해져 수요가 탄력적이 된다.
따라서 수요 가격탄력성은 재화의 특성과 소비자의 선호도, 구매행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진다고 ...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공급의 가격탄력성 (Basic 고교생을 위한 정치경제 용어사전, 2002. 9. 25., 서경원)
이중현 - 다음 블로그 – 풍년이 오히려 농부에게 더 손해? ,2012
http://kocw.xcache.kinxcdn.com/KOCW/edu/document/kjcyber/kwonhogeun1128/16.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