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목민심서 서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산 정약용과 『목민심서』
1.1. 다산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 이후 과거 준비 시기
1.1.2. 벼슬길 진출 및 천주교 관련 시련
1.1.3. 유배 생활과 실학 사상의 완성
1.1.4. 향리 은거 시기와 저술 활동
1.2. 『목민심서』의 주요 내용
1.2.1. 지방관의 기본자세에 대한 논의
1.2.2. 지방행정 실천을 위한 구체적 방법론
1.2.3. 조선시대 지방 행정의 현실적 문제점 고찰
1.3. 『목민심서』에 대한 서평
1.3.1. 조선시대 사회·경제적 실상 이해
1.3.2. 지방관의 자세와 역할에 대한 고찰
1.3.3. 현대사회와의 연관성 및 차이점 분석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산 정약용과 『목민심서』
1.1. 다산 정약용의 생애
1.1.1. 출생 이후 과거 준비 시기
다산 정약용은 출생 이후 부친의 임지인 전라도 화순, 경상도 예천 및 진주 등지를 따라다니며 부친으로부터 경사(經史)를 배우면서 과거시험을 준비하였다. 16세가 되던 1776년에는 이익의 학문을 접할 수 있었는데, 이때 부친의 벼슬살이 덕택에 서울에서 살게 되어 문학으로 세상에 이름을 떨치던 이가환과 학문의 정도가 상당하던 매부 이승훈이 모두 이익의 학문을 계승한 것을 알게 되었고, 자신도 이익의 유서를 공부하게 되었다. 이는 정약용이 어린 시절부터 근기학파의 개혁이론에 접했음을 의미하며, 청장년기에 그의 사상이 성숙되어 나가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1.1.2. 벼슬길 진출 및 천주교 관련 시련
다산 정약용은 1783년 진사시에 합격하면서 벼슬길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는 이후 10년간 정조의 특별한 총애 속에서 다양한 관직을 두루 역임하게 된다. 그는 1789년에는 한강에 배다리를 준공시키고, 1793년에는 수원성을 설계하는 등 기술적 업적을 남기기도 하였다.
한편, 이 시기에 그는 이벽·이승훈 등과의 접촉을 통해 천주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당시 천주교 신앙은 성리학적 가치체계에 대한 본격적인 도전으로 인식되어 집권층으로부터 격렬한 비판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정약용의 천주교에 대한 태도는 자신의 정치적 진로에 커다란 장애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후 정약용은 천주교 신앙과 관련된 혐의로 여러 차례 시달림을 당해야 했고, 이때마다 자신이 천주교와 무관함을 변호하였다. 그러나 결국 1801년의 천주교 교난 때 유배를 당함으로써 중앙의 정계와 결별하게 되었다. 이는 그의 생애에 있어 큰 전환점이 되었으며, 유배 생활을 통해 그의 실학 사상이 더욱 완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1.1.3. 유배 생활과 실학 사상의 완성
유배 생활과 실학 사상의 완성
정약용은 1801년 신유교난 사건으로 체포되어 경상도 포항 부근의 장기로 유배되었다. 그러나 곧이어 발생한 '황사영백서사건'의 여파로 다시 문초를 받고 전라도 강진에서 유배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이 강진 유배기는 정약용에게 학자로서 매우 알찬 수확기였다고 할 수 있다. 많은 문도를 거느리고 강학과 연구, 저술에만 전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정약용은 유배 동안 중국 진나라 이전의 선진 시대에 발생했던 원시 유학을 집중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성리학적 사상체계를 극복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조선왕조의 사회현실을 반성하고 이에 대한 개혁안을 정리하였다. 정약용 자신의 기록에 의하면 그의 저서는 연구서들을 비롯해 경집에 해당하는 것이 232권, 문집이 260여 권에 이른다고 한다. 그 대부분이 유배기에 쓰여졌다.
정약용의 유배 생활에 대한 평가는 학자들 사이에서 엇갈린다. 일부는 강진 유배기가 정약용에게 중요한 학문...
참고 자료
정약용,『정선 목민심서』, 창비, 2014
「두산백과」,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41239, (검색일 : 2019.09.12.)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61603&efYd=19880225#0000, (검색일 : 2019.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