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업지원 KPI"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제약산업의 특성 및 인사관리
1.1. 제약산업의 특성
1.1.1. 지식기반 산업
1.1.2. 기술 집약도 및 전문성
1.1.3.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
1.1.4. 의약품 수요 증가
1.2. 제약산업 내 기업별 인사관리 사례
1.2.1. 동아ST(동아에스티)
1.2.2. 한국로슈
2. 제약기업의 인적자원 관리제도의 변화
2.1. 동아ST(동아에스티)
2.1.1. 인적자원 관리제도의 특징과 변화
2.1.2. 인적자원 관리제도 변화와 Business 성장의 연관성
2.1.3. 인적자원 관리제도의 문제점 분석
2.2. 한국로슈
2.2.1. 인적자원 관리제도의 특징과 변화
2.2.2. 인적자원 관리제도 변화와 Business 성장의 연관성
2.2.3. 인적자원 관리제도의 문제점 분석
3. 제약기업 인사관리에 대한 개선점 제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제약산업의 특성 및 인사관리
1.1. 제약산업의 특성
1.1.1. 지식기반 산업
제약산업은 지식기반 산업이다. 제약산업은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에서부터 원료 및 완제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까지의 모든 과정을 포괄하고 있는데, 이 모든 과정에는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지식이 요구된다. 제약기업들은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혁신적인 신약을 생산해내고 있다. 또한 제약산업은 첨단 생명공학 기술과 정보기술 등이 융합되어 발전하는 대표적인 지식집약적 산업이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신약 개발 과정을 효율화하는 등 첨단 기술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제약산업은 과학기술과 지식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지식기반 산업이라 할 수 있다.
1.1.2. 기술 집약도 및 전문성
제약산업은 지식기반 산업이자 기술 집약도와 전문성이 매우 높은 산업이다.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전문성이 필요하다. 의약품의 개발, 생산, 유통,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과학적 지식과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제약회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전문인력 확보를 통해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제약 산업은 신약 개발을 위해 수많은 화합물을 합성하고, 다양한 실험을 거쳐야 하므로 높은 기술 집약도를 가진다. 신약 개발 성공률은 약 10% 수준에 불과하나, 성공할 경우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이에 제약회사들은 연구개발에 매우 큰 비중의 예산을 투입하고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의약품의 개발, 생산, 유통, 판매의 전 과정에서 다양한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연구 분야에서는 생물학자, 화학자, 약리학자, 독성학자 등이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개발한다. 임상실험 과정에서는 의사, 간호사, 통계학자 등의 전문가가 참여한다. 생산 분야에서는 의약품 제조와 품질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이, 유통과 판매 분야에서는 마케팅 전문가와 영업 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약산업은 다양한 전문성을 가진 인력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운영되는 지식집약적 산업이라 할 수 있다.
제약기업들은 이러한 기술 집약도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신제품 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제약 산업은 미래 성장산업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신약 개발에 성공할 경우 천문학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다.
이처럼 제약 산업은 기술 집약도와 전문성이 매우 높은 산업이다.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다학제적 연구가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우수한 전문인력 확보가 핵심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다.
1.1.3.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
제약산업은 고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이 크다. 제약산업은 타 산업 대비 기술 집약도와 전문성이 높으며, 신약 개발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와 높은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하지만 성공적인 신약 개발 시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간주된다.
실제로 제약기업들은 대규모의 연구개발비 투자를 통해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고수익을 거두고 있다. 글로벌 제약기업들의 경우 매출의 15~20% 수준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성공적인 신약 개발 시 최대 수십 년간 특허권을 보유하여 독점적 지위를 누리게 된다. 이를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최근 인구 고령화, 만성질환 및 COVID-19와 같은 새로운 질병의 증가로 의약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약기업들은 신규 치료제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희귀질환 치료제, 개인맞춤형 치료제와 같은 혁신적인 의약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신규 의약품들은 높은 기술력과 전문성이 요구되어 기존 의약품 대비 훨씬 높은 가치를 지니게 된다.
또한 제약산업은 건강과 생명과 직결된 산업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정부의 규제와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각국 정부는 제약산업 육성을 통해 국민 보건 증진과 일자리 창출, 무역수지 개선 등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약기업은 정부의 다양한 지원 정책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사업 성장의 기회를 갖게 된다.
이처럼 제약산업은 높은 기술 집약도와 전문성, 지속적인 수요 증가, 정부의 육성 정책 등으로 인해 타 산업 대비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매력적인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1.1.4. 의약품 수요 증가
최근 인구 고령화, 만성질환, Covid-19와 같은 새로운 질병의 증가에 따른 의약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직결된 산업이자 지식기반 산업으로,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에서부터 원료 및 완제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까지의 모든 과정을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적 특성으로 인해 제약산업은 타 업종에 비해 기술 집약도가 높고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긴 투자 기간과 높은 위험을 수반하지만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 개발에 성공할 경우 막대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대표적인 미래 성장산업으로 분류되고 있다"".
1.2. 제약산업 내 기업별 인사관리 사례
1.2.1. 동아ST(동아에스티)
동아ST(동아에스티)는 1932년 강중회 상회에서 시작되어 현재 자양강장제 박카스, 자사 개발 신약 스티렌, 자이데나, 모티리톤, 슈가논/슈가메트 등의 전문의약품, 의료기기, 진단 등 제약산업의 전 영역에 걸친 사업 모델을 가지...
참고 자료
동아쏘시오홀딩스, 2021년 통합보고서 http://www.donga.co.kr/B05.da?method=IRResourceList
Roche's Annual Report 2022 https://www.roche.co.kr/Content/pdf/2022AnnualReport.pdf
2020년 제약산업 분석 보고서, KKIDI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1년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 계획(안), 2021.04 , 보건복지부
정민준 (2022.03.40) "한 팀이 한 회사가 된다" 로슈가 선택한 '애자일 조직문화’ , HIT news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480
양영구 (2022.06.21) "최고의 치료제를 환자에게 신속하게", MEDICAL Observer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244
[매경춘추] 환자위한 애자일혁신, 매일 경제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4626904?sid=110
Performance management in agile organizations, April 2019, McKinsey & Company
박용민 (2018.10.25) ‘직원 행복이 먼저’ 동아쏘시오그룹의 행복한 기업문화 만들기, Pressman http://www.pressm.kr/news/articleView.html?idxno=20909
정재훈 (동아쏘시오홀딩스 (주) 정도경영실장, 전 사업영역의 차별적 경쟁력으로 ‘Global Healthcare Player’ 도약 http://www.insabank.com/sampleupload/uploads/%EC%82%AC%EB%A1%80-%EB%8F%99%EC%95%84%EC%8F%98%EC%8B%9C%EC%98%A4.pdf
[CEO가 청춘들에게 ⑧] 김민영 동아ST 사장 (2022.09.30), 히트뉴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4554940
문성호 ( 2022.02.08), 다른 길 걷는 동아에스티, 사령탑 교체 숨은 배경은?, Medical times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45664
최은진(2023.01.09), 사회적 책임 강조 동아쏘시오 'ESG 모범생' 비결은, the bell, https://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301060438121890105429&lCode=00
정윤식 (2021.04.29) 동아쏘시오그룹, 걸음기부 :D-Style Walking' 실시, MEDICAL Observer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3625
구조조정·조직개편 칼바람... 다국적제약 직원수 급감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86967&REFERER=NP
http://dart.fss.or.kr/, DART system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금융감독원)
안경진 (2021.02.04) '캐시카우 세대교체'...동아ST, 6년만에 전문약 매출 최대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73203
광고대행사인 <포스트 비주얼> 마케터 M씨와 직접 진행한 현장 인터뷰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