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위험물 제조소 환기설비 및 배출설비 비교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위험물제조소 등의 환기·배출 설비
1.1. 위험물제조소 등에 설치되는 채광설비 및 조명설비
1.1.1. 채광설비
1.1.2. 조명설비
1.2. 위험물 제조소 환기설비 및 배출설비
1.2.1. 환기설비
1.2.2. 배출설비
2. 뉴턴의 점성법칙
2.1. 개요
2.2. 전단응력
2.3. 점성계수
2.4. 동점성계수
2.5. 층류유동
2.6. 난류운동(난류)
2.7. 점성법칙 식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위험물제조소 등의 환기·배출 설비
1.1. 위험물제조소 등에 설치되는 채광설비 및 조명설비
1.1.1. 채광설비
채광설비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에서 실내 조도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설비이다. 위험물 취급 시 어두워져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 그 목적이다.
화재 위험이 높은 위험물 취급 건축물에서는 연소의 우려가 없는 불연 재료를 사용해야 하며, 채광면적을 최소로 규정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명설비가 설치되어 유효한 조도가 확보되는 건축물에서는 채광설비를 생략할 수 있다.
이처럼 채광설비는 위험물 취급 건축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중요한 설비라고 할 수 있다.
1.1.2. 조명설비
조명설비는 채광설비와 함께 실내 조도 확보를 위한 설비로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에서 조명설비는 자체가 점화원이 될 가능성이 있기에 다음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먼저, 가연성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조명은 방폭 등을 하여야 하며, 전선은 내화전선이나 내열전선으로 해야 한다. 또한 점멸스위치는 출입구 바깥부분에 설치해야 하며, 스위치 스파크로 인한 화재나 폭발 등의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에서는 조명설비 설치 시 화재 및 폭발 등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이는 해당 시설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조치라고 볼 수 있다.
1.2. 위험물 제조소 환기설비 및 배출설비
1.2.1. 환기설비
환기설비는 실내 가연성 증기 등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켜서 사고발생 방지와 쾌적한 작업 환경을 위한 설비이다. 환기설비의 환기는 자연배기방식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급기구는 설치된 실의 바닥면적 150㎡마다 1개 이상, 크기는 800㎠ 이상으로 해야 하며, 바닥면적이 150㎡ 미만인 경우에는 60㎡ 미만 150㎠ 이상, 60㎡ 이상 90㎡ 미만 300㎠ 이상, 90㎡ 이상 120㎡ 미만 450㎠ 이상, 120㎡ 이상 150㎡ 미만 600㎠ 이상으로 설치해야 한다. 환기구는 지붕 위 또는 지상 2m 이상 높이의 회전식 고정식 벤티레이터 또는 루...
참고 자료
위험물시설론, 우리교재, 2021
법제처, www.moleg.go.kr, 위험물안전관리법
위험물 제조소 등의 환기·배출 설비 개선 방안 연구, 김태근, 경기대학교, 2017
물리학백과
한국물리학회, [물리학/화학] 뉴턴의 점성 법칙(Newton's law of visco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