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적 무균법

  • 1
  • 2
  • 3
  • 4
  • 5
  • 6
  • 7
  • 8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내과적 무균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감염관리
1.1. 감염의 개념
1.1.1. 감염회로
1.1.2. 감염의 원인
1.2. 신체의 방어기전
1.2.1. 비특이적 방어
1.2.2. 특이적 면역반응
1.3. 무균법
1.3.1. 내과적 무균법
1.3.1.1. 손위생
1.3.1.2. 개인보호장비
1.3.2. 외과적 무균법
1.3.2.1. 멸균영역 만들기
1.3.2.2. 외과적 손씻기
1.4. 격리법
1.4.1. 표준주의
1.4.2. 전파경로별 주의
1.4.2.1. 공기전파주의
1.4.2.2. 비말전파주의
1.4.2.3. 접촉전파주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감염관리
1.1. 감염의 개념
1.1.1. 감염회로

감염은 병원체 즉, 병을 유발하는 미생물이 인체 내로 침입하여 점막 표면이나 내부 조직에서 증식함으로써 질병을 일으킨 상태를 말한다. 그러나 감염은 단순히 병원체의 존재만으로 시작되는 것은 아니다. 감염회로는 "감염성 인자-저장소-출구-전파방법-입구-감수성이 있는 숙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성 요소들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감염이 발생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감염회로를 차단하면 감염을 조절하고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염회로의 구성요소와 차단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염성 인자는 병원체로, 이는 손씻기, 소독과 멸균, 항생제, 살균제 등으로 제거할 수 있다. 둘째, 저장소는 미생물이 서식하는 환경으로, 전파주의, 멸균, 1회용 물품사용, 건조드레싱, 손씻기 등으로 차단할 수 있다. 셋째, 출구는 감염자로부터 나오는 체액 접촉 시 장갑끼기, 재채기 시 구강과 코 막기 등으로 차단할 수 있다. 넷째, 전파방법에는 접촉, 비말, 공기매개, 매개물 및 매개체 등이 있으며, 이는 손씻기, 살충제, 적절한 냉동 등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섯째, 입구는 감수성이 있는 숙주의 신체로, 손씻기, 장갑, 마스크 착용, 일회용 바늘 사용 등으로 차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감수성이 있는 숙주는 면역과 예방접종 등을 통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감염회로의 각 요소를 차단함으로써 감염을 조절하고 차단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감염의 원인

감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대표적으로 병원체, 숙주 특성,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

병원체는 감염을 유발하는 병원성 미생물로,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기생충 등이 있다. 이들은 인체 내에서 증식하며 숙주의 생리적 기능을 방해하여 질병을 유발한다. 병원체의 독성과 전파력 등의 특성에 따라 감염의 위험도가 달라진다.

숙주 특성은 감염에 대한 개인의 감수성을 의미한다. 노화, 만성질환, 면역저하, 유전적 요인 등으로 인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저하되면 감염 위험이 증가한다. 특히 노인, 영유아, 만성질환자, 면역억제환자 등은 감염에 매우 취약하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열악한 위생상태, 불량한 영양 상태, 스트레스 등이 감염 위험을 높인다. 주거환경, 의료기관 내 환경, 작업장 등의 청결 상태와 환기, 온도, 습도 등이 감염관리에 중요하다. 또한 항생제 오남용, 의료기기 오염 등도 감염 발생을 증가시킨다.

이처럼 감염은 병원체, 숙주, 환경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1.2. 신체의 방어기전
1.2.1. 비특이적 방어

신체는 병원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비특이적 방어기전을 가지고 있다. 비특이적 방어기전은 병원체가 침입하였을 때 일차적으로 이를 막아내는 역할을 한다.

먼저, 건강한 피부와 점막은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하며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다. 피부는 각질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분 손실을 막고 미생물의 침입을 차단한다. 또한 점막은 섬모운동과 점액 분비를 통해 병원체의 침입을 막는다.

다음으로, 신체 내부에는 보체와 인터페론과 같은 생화학적 물질이 존재하여 병원체 침입 시 이를 공격하고 중화시킨다. 이러한 생화학적 물질들은 병원체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파괴하는 역...


참고 자료

송미순, 강경자, 공은희 외. 2014. 노인 간호학(Gerontological Nursing). JMK.
상지대학교 노인 간호학 실습 지침서. 2014
김금순, 박영례, 유수정외. 2011. 기본 간호학. 신광출판사
김남순, 김영숙, 최경옥 외. 2012. 성인 간호학 Ⅰ 7판. 수문사
김남순, 김영숙, 최경옥 외. 2012. 성인 간호학 Ⅱ 7판. 수문사
김숙희.2012.노인의 흡인성 폐렴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예방간호에 대한 태도 및 실천
조선신.2007.간병 인력 공급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보호자 없는 병동의 구축방안 관점에서
통계청. www.kostat.go.kr
질병관리본부. www.cdc.go.kr
보바스 기념병원. www.bobath.co.kr
김종임 서길희 김선애 외 9명(2018) 전문적 간호 중재-감염관리. 기본간호학Ⅰ(EBN) 198-223
김영중, 김희승, 장윤영(2011).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행위 전·후 손씻기 수행률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18(2). 195-200
사이언스올. [과학백과사전]. 무균법(asepsis, 無菌法)
https://www.scienceall.com/%eb%ac%b4%ea%b7%a0%eb%b2%95asepsis-%e7%84%a1%e8%8f%8c%e6%b3%95/ 2020.07.03
내과적 무균술 & 외과적 무균술|작성자 inplus_1004(내과적·외과적 손씻기)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nplus_1004&logNo=221256461046&parentCategoryNo=&categoryNo=10&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2020.07.02
박은숙. (2013). 감염관리간호사. 대한외과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156-157.
(기본간호학2)외과적 무균술의 기본원칙 기본간호학2.by whalerider 2011/05/24 03:03
http://woopa84.egloos.com/4049051 2020.07.03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