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개요 및 건강 문제 현황
1.1. 지리적 특성
1.1.1.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위치 및 역사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위치 및 역사는 다음과 같다.
의정부시는 동경 127° 00′~127° 09′, 북위 37° 41′~37° 45′로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남양주시, 파주시가 있으며, 서쪽과 북쪽으로는 양주시가 있다. 남쪽으로는 서울특별시와 인접한다. 의정부시의 역사를 살펴보면, 삼국시대에는 매성현에 속했고, 고려시대에는 견주에 속했다. 조선시대에는 양주에 속했으며, 태조 이성계가 함흥에서 한양으로 환궁하다가 지금의 호원동 전좌 마을에서 잠시 머물게 되었는데, 그때 조정 대신들이 이곳까지 와서 정사를 논의하는 한편, 태상왕의 윤허를 받았다고 하여 조선시대 최고 의결기관인 의정부(議政府)의 관청 명칭을 이곳의 지명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의정부라는 이름은 1912년 문헌에 등장하게 되는데, 그해 5월 28일 공포된 지방행정 구역 명칭일람 경기도 편에 '양주군 둔야면 의정부리'라는 부락 명칭이 이때부터 생겼다. 근현대에는 1938년 10월 1일 양주면이라 칭했고, 1942년 10월 1일 의정부읍으로 승격했으며, 1963년 1월 1일 의정부시로 승격했다.
파주시는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하며, 동경 126° 48′∼127° 14′, 북위 37° 41′∼38° 00′에 자리잡고 있다. 파주시의 역사를 살펴보면, 삼국시대에 고구려의 관미성(관미성?)이 있었던 곳으로 지금의 장단반도와 임진강 일대였다. 고려시대에는 문천군과 덕진군의 영토에 속했으며, 조선시대에는 졸본현이 있었던 지역이다. 1914년 일제강점기 때 옛 파평군과 장단군이 합쳐져 파주군이 되었고, 1980년 6월 30일 파주군이 파주시로 승격되었다.
1.1.2.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상징물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상징물은 다음과 같다.
의정부시 휘장(심벌마크)은 2020년 07월 29일부터 시의 새로운 이미지 형성을 위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통일에 대한 의지와 청정의 전원도시, 정보화 도시, 문화와 교육이 함께 공존하는 의정부시의 미래상을 두 가지의 형태가 조화를 이루는 역동적인 형태로 디자인되었다. 기본 구성은 비둘기, 산, 강, 나뭇잎이다. 가운데 공간은 두 개의 면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만들어내는 새로운 의정부의 무한공간을 의미하며, 형태는 두 개의 면이 서로 휘감으며 퍼져나가는 형태로, 무한히 발전하는 의정부의 의지, 모두의 공존, 융화되는 조화를 나타낸다.
의정부시의 브랜드 슬로건 '의정부 행복 특별시'는 가치를 심어주는 슬로건으로, 행복해서 특별하게 느껴진다는 의미를 표현하고, 그 고유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다. 그래픽은 의정부의 행복이 활짝 핀 모습을 꽃의 형태로 형상화한 것이며, 꽃잎 사이 공간은 경기 북부의 중심 도시로서 화합과 어울림을 의미한다. 꽃잎의 번짐은 의정부에 행복 바이러스가 점점 번져, 시민 모두가 행복해지는 의정부를 의미하며, 리듬감 있는 형태 변화와 보라색-녹색-파란색의 색상은 각각 의정부 교육과 문화의 선진화, 녹색 전원도시와 청정한 자연, 활력있는 의정부 경제를 상징한다.
의정부시의 마스코트 '의돌이'는 2000년 07월 29일 마스코트로 지정되었으며, 의정부라는 지명의 유래를 표현하기 위해 조선시대 정승의 모습을 어린아이의 형상으로 디자인하여 귀엽고 친근하게 표현되었다. 유달리 큰 귀는 시정에 시민들의 의견을 잘 경청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의정부시의 시화로 지정된 철쭉꽃은 1986년 07월 25일 지정되었으며, 아름답고 정열적인 꽃의 색깔은 사랑과 충절의 시민정신과 열심히 노력하는 강인한 의지의 시민정신을 묘사하고, 진녹색 활엽은 시민의 젊음과 의욕을 상징한다.
의정부시의 시조로 지정된 비둘기는 1972년 10월 07일 지정되었으며, 자태가 깨끗하고 아름다운 비둘기는 쾌적한 도시를 뜻하며, 번식력이 강하고 온순함은 날로 번창하는 시세 확장과 평화를 염원하는 시민의 바람을 상징한다.
의정부시의 시목으로 지정된 잣나무는 1996년 07월 25일에 지정되었으며, 상록침엽수로서 추위에 강한 특징과 사계절 푸르름은 항상 희망에 차 있는 시민의 기상과 활기찬 시민상을 상징한다.
1.2. 인구학적 특성
1.2.1. 총 주민등록 인구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총 주민등록 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20년 기준, 의정부시의 총인구수는 461,710명이며, 파주시의 총인구수는 476,272명이다. 이를 통해 의정부시의 총인구수가 파주시보다 14,562명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정부시의 세대 수는 201,630세대이고, 파주시의 세대 수는 200,270세대로 의정부시가 파주시보다 1,360세대 많다.
의정부시 내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를 가진 행정동은 신곡2동으로 48,211명이며, 가장 적은 인구수를 가진 행정동은 흥선동으로 19,148명이다.
1.2.2. 연령별 인구수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연령별 인구수는 다음과 같다.
의정부시의 경우 2020년 기준 총 인구수가 461,710명이며, 연령별로는 50~59세 인구가 80,387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는 40~49세 74,794명, 30~39세 60,147명, 20~29세 64,571명, 60~69세 57,284명, 10~19세 42,539명, 0~9세 34,453명, 70~79세 31,313명, 80~89세 14,102명, 90~99세 1,887명, 100세 이상 233명 순으로 나타났다.
파주시의 경우 2020년 기준 총 인구수가 476,272명이며, 연령별로는 40~49세 80,840명, 30~39세 67,035명, 50~59세 72,852명, 20~29세 56,876명, 10~19세 49,062명, 0~9세 44,314명, 60~69세 49,418명, 70~79세 28,781명, 80~89세 14,168명, 90~99세 2,075명, 100세 이상 196명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의정부시와 파주시 모두 50대 이상 중장년층과 40대 장년층이 전체 인구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소년층인 0~19세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속적인 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고령화 현상이 두 지역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1.2.3. 성별 인구수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성별 인구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020년 기준, 의정부시의 총인구수는 461,710명이며 이 중 남자 인구수는 227,342명, 여자 인구수는 234,368명이다. 여자 인구수가 남자 인구수보다 7,026명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경기도의 남자 구성비 50.3%에 비해 의정부시의 남자 구성비가 1.04% 낮은 수치이다.
파주시의 경우 총인구수는 465,617명이며 남자 인구수는 236,049명, 여자 인구수는 229,568명이다. 파주시의 경우에도 여자 인구수가 남자 인구수보다 6,481명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정부시와 파주시 모두 여자 인구수가 남자 인구수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의정부시의 경우 여성 인구 비중이 파주시에 비해 더 높은 편이다.
1.2.4. 노인 인구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노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9년 기준 의정부시의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수는 65,272명이며, 파주시는 60,663명이다. 이는 의정부시가 파주시보다 4,609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인구 비율 또한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데, 2019년 기준 의정부시의 노인 인구 비율은 14.4%로 파주시의 13.4%보다 1% 더 높은 수준이다. 경기도 평균 노인 인구 비율이 12.5%인 것과 비교하면, 의정부시는 1.9% 높은 편이다.
노령화 지수 역시 의정부시가 파주시보다 높은 편이다. 2019년 기준 의정부시의 노령화 지수는 118.63%인 반면, 파주시는 87.27%에 그쳤다. 경기도의 노령화 지수가 90.33%인 것을 고려하면, 의정부시는 28.3% 더 높은 수준이다.
한편, 노년 부양비 또한 의정부시가 파주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의정부시의 노년 부양비는 19.69%이며, 파주시는 18.73%로 의정부시가 0.96% 더 높았다. 이는 경기도 노년 부양비 16.92%보다 2.77% 더 높은 수치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의정부시의 노인 인구 규모와 노인 인구 비율, 노령화 지수, 노년 부양비 등이 파주시와 경기도 전체 수준보다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의정부시가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에 보다 직면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2.5. 출생과 사망
출생과 사망은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인구 현황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출생률과 사망률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출생률(crude birth rate)은 의정부시와 파주시 모두 감소하는 추세이다. 의정부시의 조출생률은 2017년 5.7%에서 2020년 5.0%로 감소하였고, 파주시는 2017년 7.1%에서 2020년 7.6%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의정부시의 조출생률이 파주시보다 낮은 편이다. 이는 의정부시의 경우 저출산 문제가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조사망률(crude death rate)은 의정부시가 파주시보다 높은 수준을 보인다. 의정부시의 조사망률은 2018년 5.6%에서 2020년 6.0%로 증가한 반면, 파주시는 2018년 5.6%에서 2020년 5.8%로 증가하였다. 특히 2020년 기준 의정부시의 조사망률이 파주시보다 0.2%p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의정부시의 인구 고령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은 의정부시가 파주시보다 낮은 수준이다. 의정부시의 합계출산율은 2017년 0.947명에서 2019년 0.847명으로 감소하였고, 파주시는 2017년 1.199명에서 2019년 1.050명으로 감소하였다. 의정부시의 합계출산율은 경기도 평균(2019년 0.943명)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이는 의정부시의 저출산 문제가 심각함을 보여준다.
요약하면, 의정부시의 경우 저출산과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반면, 파주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의정부시는 출생률 제고와 사망률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2.6. 혼인상태별 인구수
혼인상태별 인구수를 살펴보면, 의정부시와 파주시 모두 혼인 건수와 이혼 건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의정부시의 혼인 건수는 꾸준히 감소하여 2019년에는 1,924건을 기록했다. 다문화 혼인 건수 또한 일정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이혼 건수는 2017년부터 꾸준히 증가하여 2019년에는 1,087건을 기록했다. 파주시의 경우에도 이혼 건수가 2016년 954건에서 2019년 1,093건으로 증가했다.
이를 통해 의정부시와 파주시 모두 혼인율은 감소하고 이혼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저출산 및 고령화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1.2.7. 외국인 지표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외국인 지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정부시의 등록 외국인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7년에는 4,116명이었던 등록 외국인 수가 2018년에 4,516명, 2019년에 4,908명으로 증가하였다. 한편 파주시의 등록 외국인 수도 완만한 증가 추세를 보였는데, 2017년 10,676명, 2018년 11,274명, 2019년 11,572명으로 늘어났다.
주민등록 인구 천 명당 외국인 수를 살펴보면, 의정부시는 2017년 9.32명, 2018년 10.10명, 2019년 10.86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파주시는 2017년 24.38명, 2018년 24.95명, 2019년 24.49명으로 의정부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의정부시의 주민등록 인구 천 명당 외국인 수는 10.86명인 반면, 파주시는 24.49명으로 의정부시보다 13.63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의정부시와 파주시 모두 외국인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파주시가 의정부시에 비해 외국인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편이다. 이는 경기도 서북부에 위치한 파주시의 지리적 특성상 서울과의 근접성 및 교통 편의성이 높아 외국인 유입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3. 건강 수준
1.3.1. 출생과 사망
출생과 사망은 지역사회 건강 수준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출생과 사망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출생률을 살펴보면, 의정부시의 조출생률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2020년 기준 의정부시의 조출생률은 5.0%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파주시의 조출생률은 2020년 기준 7.6%로 의정부시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기도 전체의 2020년 조출생률이 5.9%인 것을 고려할 때, 의정부시는 경기도 평균보다 낮은 출생률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사망률을 살펴보면, 의정부시의 조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 기준 6.0%를 기록했다. 파주시의 조사망률도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2020년 기준 5.8%로 의정부시보다 낮은 수준이다. 2020년 경기도의 평균 조사망률이 4.9%인 것을 고려할 때, 의정부시의 조사망률이 경기도 평균보다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의정부시의 합계출산율은 2017년 0.947명에서 2019년 0.847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는 경기도의 2019년 합계출산율 0.943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반면 파주시의 합계출산율은 2017년 1.199명, 2018년 1.112명, 2019년 1.050명으로 의정부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종합해보면, 의정부시는 조출생률 및 합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