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진단 보고서
1.1. 지리적 특성
1.1.1. 의정부시의 위치
의정부시는 동경 127° 00′∼127° 09′, 북위 37° 41′∼37° 45′로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남양주시, 파주시가 있으며, 서쪽과 북쪽으로는 양주시가 있다. 남쪽으로는 서울특별시와 인접한다. 의정부시의 면적은 81.54㎢이며, 461,710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어 면적 대비 인구수가 파주시에 비해 많다고 볼 수 있다.
1.1.2. 의정부시의 역사적 배경
의정부시의 역사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삼국시대에는 매성현에 속했고, 고려시대에는 견주에 속했다. 조선시대에는 양주에 속했다. 지금으로부터 약 590여 년 전, 태조 이성계가 함흥에서 한양으로 환궁하다가 지금의 호원동 전좌 마을에서 잠시 머물게 되었는데, 그때 조정 대신들이 이곳까지 와서 정사를 논의하는 한편, 태상왕의 윤허를 받았다고 하여 조선시대 최고 의결기관인 의정부(議政府)의 관청 명칭을 이곳의 지명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의정부라는 이름은 1912년 문헌에 등장하게 되는데, 그해 5월 28일 공포된 지방행정 구역 명칭일람 경기도 편에 의하면, '양주군 둔야면 의정부리'라는 부락 명칭이 이때부터 생겼다. 근현대에는 1938년 10월 1일 양주면이라 칭했고, 1942년 10월 1일 의정부읍으로 승격했으며, 1963년 1월 1일 의정부시로 승격했다.
따라서 의정부시는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온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조선시대에 최고 의결기관인 의정부가 위치했던 곳으로 그 명칭을 따서 지금의 의정부시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1.3. 의정부시의 상징물
의정부시의 상징물은 아름답고 의미 있는 다양한 상징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휘장은 2020년 7월 29일부터 사용되고 있으며, 통일에 대한 의지와 청정의 전원도시, 정보화 도시, 문화와 교육이 함께 공존하는 의정부시의 미래상을 표현하고 있다. 둘째, 브랜드 마크는 의정부의 행복이 활짝 핀 모습을 꽃의 형태로 형상화하여 경기 북부의 중심 도시로서 화합과 어울림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마스코트인 '의돌이'는 조선시대 정승 모습을 어린아이의 형상으로 디자인하여 귀엽고 친근한 느낌을 준다. 넷째, 시화인 철쭉꽃은 아름답고 정열적인 색깔로 사랑과 충절의 시민정신을 보여준다. 다섯째, 시조인 비둘기는 쾌적한 도시와 평화를 염원하는 시민의 바람을 상징한다. 마지막으로 시목인 잣나무는 상록침엽수로서, 추위에 강하고 사계절 푸르른 특징으로 항상 희망차고 활기찬 의정부시민의 기상을 나타낸다.
이처럼 의정부시의 상징물들은 의정부시의 역사와 문화, 시민 정신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의정부시가 청정의 전원도시이자 문화와 교육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라는 이미지를 잘 반영하고 있다.
1.1.4. 지역사회의 유형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지역사회 유형을 비교하면, 면적 대비 인구수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정부시는 81.54㎢ 면적에 461,710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파주시는 672.78㎢ 면적에 476,272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의정부시는 면적 대비 많은 인구수가 거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의정부시의 행정구역은 14개의 행정동, 638개의 통, 3,647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주시는 424개의 행정리·통, 414개의 자연마을, 3,444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의정부시가 파주시보다 더 세분화된 행정구역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의정부시는 면적 대비 인구수가 많고, 행정구역이 더 세분화되어 있어 보다 밀집된 지역사회를 형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1.5. 기후
의정부시의 기후는 연평균 기온이 11.1도로 파주시보다 약간 높은 편이다. 의정부시 최저 기온의 분포는 서울보다 약 3도 낮고, 최고 기온 분포는 서울과 유사한 수준이다. 의정부시의 최고 기온은 30도, 최저 기온은 -9도로 파주시보다 기온 범위가 크다.
이처럼 의정부시는 일교차가 크고, 이로 인해 집중호우가 자주 발생한다. 의정부시의 연평균 강수량은 15,000mm 이상으로 파주시의 14,000mm 보다 높은 편이다.
이와 같이 의정부시는 기온 변화가 크고 강수량이 많은 편으로, 기후학적으로 볼 때 의정부시민들의 건강과 생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1.2. 인구학적 특성
1.2.1. 총 주민등록 인구
2020년 기준 의정부시의 총 주민등록 인구는 461,710명이다. 이는 파주시의 총 인구수 476,272명에 비해 14,562명 적은 수치이다. 의정부시의 세대 수는 201,630세대로, 파주시의 200,270세대보다 1,360세대 많다.
의정부시 내 가장 많은 인구수를 나타내는 동은 신곡2동으로 48,211명이며, 가장 적은 인구수를 나타내는 동은 흥선동으로 19,148명이다.
1.2.2. 연도별 인구 현황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연도별 인구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정부시의 인구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7년 445,700명에서 2018년 451,542명, 2019년 456,776명으로 매년 증가추세를 보인다. 특히 2018년과 2019년에는 각각 1.31%, 1.16%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편 파주시의 인구수 변화 양상은 의정부시와 다소 다르다. 파주시의 경우 2017년 448,524명에서 2018년 463,122명으로 큰 폭의 증가(3.25%)를 보였으나, 2019년에는 465,612명으로 증가세가 완만해졌다(0.54% 증가).
종합하면, 의정부시는 최근 3년간 지속적이고 높은 인구 증가를 보인 반면 파주시는 2018년에 큰 폭으로 증가한 이후 2019년에 증가폭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도시의 인구 증가 추이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1.2.3. 인구구조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인구구조는 다음과 같다.
의정부시의 인구구조를 살펴보면, 2020년 기준 총 인구수는 461,710명이다. 연령별로는 50~59세 인구가 80,387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다음으로 40~49세 74,794명, 20~29세 64,571명, 60~69세 57,284명, 30~39세 60,147명, 10~19세 42,539명, 0~9세 34,453명 순으로 많다. 성별로는 여자 234,368명, 남자 227,342명으로 여성이 7,026명 더 많다.
파주시의 경우, 2020년 기준 총 인구수는 476,272명이다. 연령별로는 40~49세 인구가 80,840명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30~39세 67,035명, 50~59세 72,852명, 20~29세 56,876명, 10~19세 49,062명, 0~9세 44,314명, 60~69세 49,418명 순이다. 성별로는 남자 236,049명, 여자 229,568명으로 남성이 6,481명 더 많다.
종합하면, 의정부시와 파주시 모두 40~59세 인구가 가장 많은 편이며, 의정부시는 여성 인구 비율이 높고 파주시는 남성 인구 비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1.2.4. 노인 인구
의정부시의 노인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의정부시의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수는 2016년 58,509명, 2017년 61,413명, 2018년 65,272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의정부시의 전체 주민등록 인구 대비 노인 인구 비율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의정부시의 노인 인구 비율은 2017년 13.2%, 2018년 13.7%, 2019년 14.4%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경기도의 노인 인구 비율이 2019년 12.5%인 것과 비교하면, 의정부시의 노인 인구 비율은 약 1.9%p 높은 수준이다. 이는 의정부시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의정부시의 노령화 지수는 2017년 103.07%, 2018년 109.67%, 2019년 118.63%로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이는 의정부시의 고령화 정도가 심각한 수준임을 의미한다. 경기도 전체의 노령화 지수가 2019년 90.33%인 것과 비교하면, 의정부시는 28.3%p 높은 수준이다.
의정부시의 노년 부양비는 2017년 17.93%, 2018년 18.63%, 2019년 19.69%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약 20명 수준임을 의미한다. 경기도 전체의 노년 부양비가 2019년 16.92%인 것과 비교하면, 의정부시는 2.77%p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의정부시의 노인 인구 비율, 노령화 지수, 노년 부양비 등이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향후 노인 복지 및 의료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의정부시는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노인 복지 인프라 확충 및 관련 정책 수립이 시급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1.2.5. 경제 활동 인구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경제 활동 인구 수준은 다음과 같다.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생산활동 인구 비율을 살펴보면, 2017년도에는 의정부시가 73.9%, 파주시가 71.43%로 의정부시가 더 높았다. 2018년도에는 의정부시가 73.73%, 파주시가 71.46%로 여전히 의정부시가 높았으며, 2019년도에는 의정부시가 73.38%, 파주시가 71.33%로 의정부시가 파주시에 비해 약 2% 높은 생산활동 인구 비율을 보였다.
이를 통해 의정부시의 생산활동 인구 비율이 파주시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의정부시와 파주시 모두 생산활동 인구 비율이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파주시의 감소 폭이 완만한 편이다.
한편 2019년도 경기도의 생산활동 인구 비율은 73.72%인데, 이에 비해 의정부시는 0.34% 낮은 수준이다.이처럼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경제 활동 인구 수준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의정부시가 파주시에 비해 다소 높은 생산활동 인구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두 지역 모두에서 생산활동 인구 비율이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파주시의 감소 폭이 완만한 편이다.
1.2.6. 출생과 사망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출생과 사망에 대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조출생률은 의정부시의 경우 2017년 0.947명, 2018년 0.905명, 2019년 0.847명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반면 파주시는 2017년 1.199명, 2018년 1.112명, 2019년 1.050명으로 감소 추세이지만 여전히 의정부시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의정부시의 출생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의정부시의 경우 2015년 334.2명, 2016년과 2017년 334.6명, 2018년 335.5명, 2019년 314.0명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파주시는 2015년 354.4명, 2016년 343.2명, 2017년 319.0명, 2018년 315.1명, 2019년 311.3명으로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다. 2019년 기준 의정부시의 연령표준화 사망률이 파주시보다 2.7명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원인을 살펴보면, 2019년 의정부시에서 가장 많은 사망원인은 신생물(암)이 673명으로 가장 많았고, 순환계통 질환이 493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악성 신생물 중에서는 기관/기관지 및 폐 악성 신생물이 십만 명당 35.9명으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이와 같이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출생과 사망에 대한 현황을 살펴본 결과, 의정부시의 경우 출생률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사망률은 파주시보다 다소 높은 편이며, 특히 암으로 인한 사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2.7. 혼인상태별 인구수
혼인상태별 인구수는 의정부시와 파주시의 혼인 건수, 다문화 혼인 건수, 이혼 건수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의정부시의 경우 혼인 건수는 2016년 2,194건, 2017년 2,065건, 2018년 2,080건, 2019년 1,924건으로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반면 파주시의 혼인 건수는 2016년 2,356건, 2017년 2,330건, 2018년 2,372건, 2019년 2,162건으로 의정부시에 비해 더 많은 편이다.
다문화 혼인 건수의 경우 의정부시는 2016년 176건, 2017년 154건, 2018년 214건, 2019년 178건으로 변동이 있으나 파주시는 2016년 202건, 2017년 210건, 2018년 226건, 2019년 222건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파주시의 다문화 혼인 건수가 의정부시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