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달천몽유록 윤계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몽유록의 개념과 구성양식
1.1. 몽유록 소설의 정의
1.2. 몽유록 소설의 환몽구조
1.3. 몽유록 소설의 기본구조
2. 몽유록 소설의 유형
2.1. 현실비판지향 작품
2.2. 이상추구지향 작품
2.3. 권계지향 작품
3. 몽유록 소설의 특성
3.1. 작품의 사실성과 허구성
3.2. 몽유자의 역할과 특성
3.3. 담화방식과 행위주체
4. 몽유록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4.1. 조선중기 사회상의 반영
4.2. 서사양식의 특징과 발전
4.3. 현실인식과 이상추구
5. 몽유록 소설과 다른 작품의 비교
5.1. 천로역정과의 비교
5.2. 침중기와의 비교
5.3. 파랑새와의 비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몽유록의 개념과 구성양식
1.1. 몽유록 소설의 정의
몽유록은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꿈속에서 놀았던 일의 기록이라는 뜻이다. 그것은 이른바 몽유모티브를 지닌 글이다. 우리 문학사를 통시적으로 조망할 때, 몽유모티브를 수용한 문학양식은 다양하다. 〈調信夢〉(조신전)과 같은 설화 양식, 이규보의 〈夢驗記〉(몽험기), 허균의 〈夢記〉(몽기), 〈酒吃翁夢記〉(주흘옹몽기)등과 같은 등과 같은 '記(기)'양식, 송순의 〈夢見主上歌(몽견주상가)〉와 같은 고시조 양식이 그런 예이다. 그밖에도 歌辭(가사), 歌傳(가전), 漢詩(한시)등 제 양식에도 그것이 수용되었으며, 夢 字類(몽자류) 小說(소설)과 夢遊錄(몽유록) 小說(소설)이 또한 그것을 수용한 예이다. 夢遊錄(몽유록)은 朝鮮(조선)시대 지식층 작가들이 現實(현실)에 대한 批判意識(비판의식)을 가지고 寓言(우언)의 수사기교를 수용하고 꿈을 빌어 허구를 꾸며 자신의 심회를 吐露(토로)하는 일종의 自己投射(자기투사)의 한 독특한 小說文學(소설문학) 양식이다.
1.2. 몽유록 소설의 환몽구조
몽유록 소설의 환몽구조는 현실세계의 갈등을 표출하는 문학적 수법이 되고 있다"" 몽유록 소설은 현실세계에서의 갈등을 꿈이라는 세계를 빌어 자아와 세계에 대한 갈등을 사회적 관념에 의한 표현 제약에서 벗어나 우회적으로 작가의식을 표출하는 방법이다""
몽유록 소설의 환몽구조는 입몽이전-몽중세계-각몽의 삼단계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단순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작가의식을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며 철학적인 인생관이 형상화되어 형이상학적인 세계를 통하여 인간성을 표출하고 있다""
입몽이전 단계에서는 인물의 소개, 주인공의 자탄, 분위기 조성이라는 세 가지 모티브가 모티브군을 이루고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몽중사건을 암시하는 동기부여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결합은 서로 긴밀하고도 상보적으로 연결되어 주인공의 자탄은 인물 성격을 더욱 구체화시켜 주고, 분위기와 결합하여 꿈꾸는 일과 몽중사건의 탄생을 위해 동기를 부여한다""
몽중세계는 현실세계로부터의 전환을 보다 개연성 있게 해주며, 몽중사의 의미내용까지 암시해 준다"" 이처럼 몽유록 소설은 꿈을 가탁한 소설 양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 이야기 내부에 꿈이야기가 들어 있으므로 일종의 액자소설의 형태를 지닌다""
몽유모티브는 작품의 원초적 제재이며 동시에 허구적 형상이다"" 작가는 이를 활용하여 꿈형상이 갖는 특성을 살려 입몽과 각몽이 설정되는 액자형태로 구상화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형상화된 작품은 독자가 진술된 언어에 의미를 부여하여 예술로서의 문학작품이 된다"" 즉, 독자가 몽유모티브를 상정하면서 작품을 이해하는 행위를 통해 작품이 문학으로 완성된다""
이처럼 몽유록 소설은 현실세계의 갈등을 꿈이라는 형식을 통해 우회적으로 표출하는 문학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1.3. 몽유록 소설의 기본구조
몽유록 소설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몽유록이 꿈을 가탁한 소설 양식이라고 했을 때, 그것은 한 이야기 내부에 꿈이야기가 들어 있으므로 일종의 액자소설의 형태가 된다. 액자소설이란 하나의 이야기 속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이야기가 포용되는 형상을 이루는 소설을 일컫는다. 몽유록의 액자소설 형태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몽유록은 단일사건, 곧 몽중 '교유'라고 하는 사건의 서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일액자의 형태이며, 내부 이야기가 앞뒤의 도입부와 종결부로 완전히 포봉되어 있다는 점에서 폐쇄액자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몽유모티브는 작품의 원초적 제재이다. 동시에 그것은 본시 허구적 형상이다. 작가는 이를 취재하여 이것이 갖고 있는 특성을 살려 용이하게 가탁의 솜씨를 발휘한 것이다. 가탁은 거짓 핑계대는 일로 근본적으로 허구정신의 소산이다. 작가는 몽유모티브의 꿈형상을 가탁의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가탁적 발화는 필연적으로 꿈형상이 갖는 특성을 살려 입몽과 각몽이 설정되는 액자형태로 구상화된다.
액자형태의 근본은 이야기가 발생하는 근원 상황에 존재한다. 이 때 이야기는 물론 허구를 바탕으로 한다. 그러므로 액자형태와 허구는 근본 구조면에서 상통한다. 이렇게 해서 형상화된 작품은 독자들이 진술된 언어에 의미를 부여하여 그것은 예술로서 문학작품이 되는 것이다. 이때 의미 부여란 곧 독자가 몽유모티브를 상정하면서 작품을 이해하는 행위를 뜻하는 것이다.
2. 몽유록 소설의 유형
2.1. 현실비판지향 작품
현실비판지향 작품은 당시 사회현실에 대한 작가의 비판의식을 반영한 몽유록 소설이다. 이 유형의 작품들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그 시기의 사회적 모순과 부조리한 현실을 폭로하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윤계선의 『달천몽유록』, 작자 미상의 『강도몽유록』, 『피생명몽록』 등을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은 몽유자가 임진왜란 때 전사한 영령들의 억울한 넋을 대변하거나, 병자호란 때 강화도가 함락되면서 죽임을 당한 선비들의 가족들이 토로하는 비탄과 원망을 그려내고 있다.
『달천몽유록』에서는 ...
참고 자료
<국역 대동야승>,민족문화추진회, 1972
양언석, <夢遊錄小說의 敍述類型硏究>, 국학자료원
안영훈, <獺川夢遊錄> 역해, 새얼 語文論集
김동협 , <獺川夢遊錄> 고찰, 국어교육연구
염동락, <獺川夢遊錄>에 나타난 歷史認識의 두 이면,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해숙, <獺川夢遊錄> 연구
신해진, 黃中允의 정치적 입장과 <獺川夢遊錄>, 국어국문학 118 (1997.3)
1. 르네 지라르, 『소설의 이론』, 김윤식 역, 삼영사, 1986.
2. 모리스 메테를링크, 『파랑새』, 김창활 역, 주식회사 태창 출판부, 1978.
3. 신해진, 『조선중기 몽유록의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998.
4. 양언석, 『夢遊錄小說의 敍述類型硏究』, 국학자료원, 1996.
5. 유종국, 『몽유록소설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6. 유종국, 『고전문학 : 몽유록 양식의 구성원리』, 한국언어문학회, 2000.
7. 정범진, 『침중기연구특히 삼국유사 조신설화와 관련하여』, 성대 대동문화연구 2 :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66
8. 정범진, 『당대소설전집 : 앵앵전』,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5
9.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권』, 지식산업사, 1994.
10. 존 바니언, 『天路歷程 正編』, 황찬호 역,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