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기공과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최초 생성일 2024.12.29
9,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치기공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어태치먼트의 개요
1.1. 어태치먼트의 정의
1.2. 어태치먼트의 구조

2. 어태치먼트의 분류
2.1. 부착위치 및 용도에 따른 분류
2.2. 유지형태에 따른 분류
2.3. 유지력 조절 가능성에 따른 분류
2.4. 정밀도에 따른 분류
2.5. 가동여부에 따른 분류
2.6. 탄력성에 따른 분류

3. 어태치먼트의 위치(Location)
3.1. 치관내(Intracoronal type Attachment)
3.2. 치관외(Extracoronal type Attachment)
3.3. 치근(Radicular/Intraradicular Stud Type Attachment)
3.4. 바(Bar type Attachment)
3.5. Locking Bar type Attachment
3.6. Auxiliary type Attachment

4. 어태치먼트의 기능 (funtion)

5. 어태치먼트의 유지(Retention)

6. 어태치먼트의 공간(Space)
6.1. 수직공간(Vertical space)
6.2. 협-설측 또는 순-설측 공간(Buccal-lingual or Labial-lingual space)
6.3. 근-원심 또는 원-근심 공간(Mesial-distal or Distal-mesial space)

7. 어태치 먼트의 장단점
7.1. 치관형(coronal type) 어태치먼트
7.2. 치근형(radicular type) 어태치먼트

8. 보존수복학
8.1. 보존수복학의 의의 및 목적
8.2. 보존수복의 종류
8.2.1. 치관 일부수복
8.2.2. 치관 전부수복

9. 도재 laminate veneer 제작과정

10.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어태치먼트의 개요
1.1. 어태치먼트의 정의

어태치먼트는 치아와 보철물 간에 기계적인 결합을 유지시키는 매개체가 된다. 두 부분을 결합시켜 치아와 의치를 연결하게 되며 이와 함께 의치에 유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 유지 장치이다. 이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구성된 정밀 부착형 유지장치이며, 주로 유지력을 담당하므로 직접 유지장치로 분류되고 있다. 즉 한 부분은 치근, 치아 또는 임플란트에 연결되어 있다.


1.2. 어태치먼트의 구조

어태치먼트의 구조는 가장 간단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것에 이르기까지 그 수와 종류가 무수히 많으며 이에 따르는 부속품과 쓰이는 용도나 방법도 다양하다"". 어태치먼트의 근간이 되는 간단한 형태의 구조는 male과 female이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어태치먼트에서 male과 female의 모양과 기능에 따라 명칭을 달리 부르며, male과 female을 patrix와 matrix, key와 keyway, flange와 slot, ball과 socket, bar와 rider, rail과 housing,고정부와 가동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가장 기본적인 유지의 형태로 흔히 male과 female에서 얻어지는 마찰력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어태치먼트의 유지원은 금속간의 직접적인 마찰력 뿐 아니라 마찰력을 위하여 이용되는 스프링(spring)이나 고무(rubber), 플라스틱(plastic) 등을 매개체로 또는 부수적으로 이용하기도 하며 스크류(screw) 혹은 자석의 힘을 이용하기도 한다"".


2. 어태치먼트의 분류
2.1. 부착위치 및 용도에 따른 분류

부착위치 및 용도에 따른 분류는 치관 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어태치먼트와 치관 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어태치먼트로 구분할 수 있다.

치관 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어태치먼트는 치관 범위 안의 인접면 부위에 어태치먼트를 위치시켜야 하므로, 어태치먼트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치아 삭제량이 많아지고 미리 근관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반면 치관 외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어태치먼트는 치관 범위 외에 부착이 되므로 치아 삭제량은 적으나 과도한 기능운동 시 측방압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어태치먼트는 주로 피개의치에 혹은 임플란트와 연계하여 많이 쓰인다. 치관 외 어태치먼트는 남아있는 잔존치근을 기준으로 치근 내, 치근 외에 존재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치근 어태치먼트들은 치근 외에 부착되는 형태가 많으며, 이는 치근이 존재하는 경우 치근 내부에 어태치먼트가 있는지 치근 외부에 존재하는지의 차이에 있다.

즉, 부착위치 및 용도에 따른 어태치먼트의 분류는 치관 내와 치관 외, 치근 내와 치근 외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치아 삭제량, 기능운동에 따른 측방압, 잔존치근과의 관계 등이 달라지게 된다.


2.2. 유지형태에 따른 분류

어태치먼트의 유지형태에 따른 분류는 어태치먼트에서 유지력은 male과 female이 결합하여 서로 밀착되어 발생되는 마찰력과 undercut을 이용한 기계적 유지를 근간으로 한다"이다. 나아가 최근에는 스프링이나 탄력성을 지닌 물체를 이용하여 유지형태도 시판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어태치먼트의 유지력은 통상 male과 female의 접촉 면적이 크면 클수록 증가한다. 또한 어태치먼트의 길이와 폭, 접촉면의 굴곡형태도 유지력과 관련성을 갖는다. 유지력은 의치가 구강 내에서 기능을 발휘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보철물이라면 의치의 유지력 중에서 어태치먼트가 발휘하는 유지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내용은 의치보철의 수명과 편의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에 따라 유지력 조절 가능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경우와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품도 두 가지 경우로 제작되어있다.

예를 들어 어태치먼트의 유지력은 male과 female의 직접접촉에 의한 경우 금속과 금속이 접촉하여 의치의 착탈이 계속될 경우 유지력의 감소와 더불어 의치의 안정성 및 유지력도 감소하여, 구강 내에서 의치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이런 경우 유지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면 우리는 유지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었다.


2.3. 유지력 조절 가능성에 따른 분류

유지력 조절 가능성에 따른 분류에서 어태치먼트의 유지력은 통상 male과 female의 접촉 면적이 크면 클수록 증가한다. 역시 어태치먼트의 길이와 폭, 접촉면의 굴곡형태도 유지력과 관련성을 갖는다. 유지력은 의치가 구강 내에서 기능을 발휘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데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보철물이라면 의치의 유지력 중에서 어태치먼트가 발휘하는 유지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내용은 의치보철의 수명과 편의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고 있다. 유지력 조절 가능성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경우와 조절이 불가능한 경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품도 두 가지 경우로 제작되어있다. 예를 들어 어태치먼트의 유지력은 male과 female의 직접접촉에 의한 경우 금속과 금속이 접촉하여 의치의 착탈이 계속될 경우 유지력의 감소와 더불어 의치의 안정성 및 유지력도 감소하여, 구강 내에서 의치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이런 경우 유지력 조절이 불가능하다면 우리는 유지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없었는데, 현재 제작되는 것은 male과 female의 유지력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고 있다.


2.4. 정밀도에 따른 분류

정밀도에 따른 분류는 합금의 경도와 오차 범위를 기준으로 정밀형과 반정밀형으로 나뉜다"" 정밀형 어태치먼트는 특수 합금으로 제작되어 합금의 경도가 높으며, 오차 범위가 0.01mm 이내로 매우 정밀하다"" 정밀형 어태치먼트는 마모가 적고 교체 가능한 표준화된 부품들이 준비되어 있어 필요시 수리가 용이하다"" 반면, 반정밀형 어태치먼트는 납형이나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주조로 제작되므로 경제적이며 제작이 간편하지만 제조 과정의 일관성이 떨어져 정밀도가 약간씩 다를 수 있다"" 정밀형은 정밀한 조건에서 특수 합금으로 기계 가공되어 제작되는 반면, 반정밀형은 플라스틱이나 내화성 제품을 이용하여 주조로 제작된다"" 정밀형은 합금의 경도가 높아 마모가 적고 수리가 용이하지만, 반정밀형은 경제적이며 제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2.5. 가동여부에 따른 분류

가동여부에 따른 분류에 따르면, 어태치먼트는 의치가 기능운동할 때 지대치와 의치 사이에 어태치먼트가 운동을 허용하는 경우와 허용하지 못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운동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는 고정식 관 및 교의치에서와 같이 어태치먼트가 기능운동 없이 고정형태로 견고한 보철물의 유형처럼 쓰이는 경우를 말한다. 보통 의치에서 유리단 부위가 없는 경우에 고정식 어태치먼트를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유리단이 있을 경우, 즉 가동성이 있는 경우는 수직운동 어태치먼트를 중심으로 한 접번운동, 회전운동 그리고 2가지 이상 나타나는 복합운동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어태치먼트 자체에서 어느 한도까지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어태치먼트 자체의 가동성 여부에 따라 고정식과 가동식으로 나눌 수 있다.


2.6. 탄력성에 따른 분류

어태치먼트의 탄력성에 따른 분류를 살펴보면, 어태치먼트는 male과 female 사이에 기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된 완압 형태의 부착형 유지 장치와 기능 운동을 할 수 없는 비 완압 형태의 부착형 유지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비 완압형은 rigid type attachment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가동성이 있는 것과 완압형인 것은 분명히 구분되어 설명되어야 한다""

완압형 어태치먼트는 의치가 기능을 발휘할 때 교합압을 지대치와 잔존치조제의 상태에 따라 달리 분산시키는 특징이 있다"" 대체로 잔존지대치의 상태가 좋은 경우에는 비 완압형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하여 의치를 제작한다""

즉 치아지지 국소의치에서는 비 완압 형태의 어태치먼트를 주로 사용하며, 유리단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완압형태인 어태치먼트를 사용한다"" 특히 후방연장 국소의치에는 잔존 치아 및 치아 주의조직의 건강, 잔존치조제를 덮는 연조직의 탄력 정도, 의치상의 크기, 우방연잔 국소의치에 포함된 인공치의 수, 대합치 상태 등을 고려해서 비 완압 형태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할 것인지 완압 형태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3. 어태치먼트의 위치(Location)
3.1. 치관내(Intracoronal type Attachment)

치관 내 부착형 유지 장치는 치관의 외형 내에 수용된다. 이 치관 내 어태치먼트의 장점은 지대치에 작용되는 교합력이 치아의 장축에 근접하여 적용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치관 내 어태치먼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대치아가 통상적으로 box preparation이 요구된다. 따라서 f...


참고 자료

치과도재기공학 김사학 外 5명 청구문화사
관교의치기공학 문희경 청구문화사
실전 심미수복보존학 Oliver Brix 신흥인터내셔날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