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바이러스폭풍의시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감염병과 현대 사회
1.1. 바이러스와 인간의 역사
1.2. 감염병의 확산 경로
1.3. 감염병의 종류와 특징
1.4.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사회문제
2. 감염병 대응 체계
2.1.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2.2. 질병관리청의 역할과 기능
2.3. 지역 거점 감염재난 관리체계
3. 스페인독감과 코로나19
3.1. 스페인독감의 특징과 영향
3.2. 코로나19의 특징과 영향
3.3. 스페인독감과 코로나19의 비교
4. 감염병 대응을 위한 과제
4.1. 신종 감염병에 대한 대처 방안
4.2. 취약계층 보호 대책
4.3. 감염병 관련 보건 정책 및 제도 개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감염병과 현대 사회
1.1. 바이러스와 인간의 역사
바이러스는 유전물질인 RNA 또는 DNA와 단백질 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스로 증식할 수 없어 숙주 세포에 기생하면서 복제된다. 바이러스는 다양한 생물체에 기생하는데, 이는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명체라고 볼 수 있다. 바이러스의 입장에서는 숙주에서 잘 복제되고 전파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해왔다. 이를 위해 숙주를 파괴하거나 기침 등의 증상을 일으켜 다른 숙주로 옮겨가는 전략을 사용한다."마르티누스 베이에링크는 1898년 담배 모자이크병을 연구하며 박테리아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병원체를 발견하고 이를 '바이러스'라고 명명했다. 이로써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현미경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바이러스의 다양한 특성들이 밝혀져 왔다."
1.2. 감염병의 확산 경로
감염병의 확산 경로는 다양하다. 바이러스 전염병은 주로 공기 중으로 퍼져나가 호흡을 통해 체내에 침투한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뇌염, 말라리아 등은 모기를 매개체로 전파되는데,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면서 바이러스가 전이된다. 또한 B형간염이나 C형간염과 같은 일부 감염병은 혈액을 통해 전염되기도 한다. 이처럼 감염병은 공기, 매개체, 혈액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확산되며, 특히 인간의 이동이 증가하면서 감염병이 국경을 넘나들며 전파되는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사람들의 이동이 증가하면서 감염병이 전 세계로 확산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과거에는 감염병이 특정 지역에 국한되었지만, 최근에는 교통수단의 발달로 빠른 속도로 전파된다. 도로, 철도, 항공편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해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감염병이 지역 간 경계를 넘나들며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세계화의 진전으로 사람들의 이동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병원균도 국경을 쉽게 넘나들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의 감염병 확산 경로는 과거에 비해 훨씬 복잡다단해졌다고 할 수 있다."
1.3. 감염병의 종류와 특징
감염병은 크게 제1급 감염병, 제2급 감염병, 제3급 감염병, 제4급 감염병, 제5급 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기생충 감염병, 생물테러 감염병, 인수공통 감염병, 성매개 감염병, 의료관련 감염병으로 분류된다.""
제1급 감염병에는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증, B형간염, C형간염, 일본뇌염, 파상풍, 말라리아, 발진티푸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및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웨스트나일열, 유비저가 포함된다.""
제2급 감염병은 결핵, 수두, 홍역,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백일해,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라임병, 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 매독,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이 해당된다.""
제3급 감염병에는 그룹A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로사리오열, trichinosis, poliovirus, 숨은폐렴원충폐렴, 주혈흡충증, harvest mouse hantavirus, lymphocytic choriomeningitis가 포함된다.""
제4급 감염병으로는 황열, 뎅기열, 큐열, 웨스트나일열이 해당되며, 제5급 감염병에는 2종의 광견병균, phlebovirus, DTV, relapsing fever borrelia, hemorrhagic fever coronavirus, toxoplasma gondii, helicobacter pylori가 포함된다.""
이러한 다양한 감염병들은 각자의 특징을 지닌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감염병은 호흡기나 체액을 통해 전파되며, 세균성 감염병은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파되고, 기생충 감염병은 매개체를 통해 전파된다. 또한 일부 감염병은 급성으로 나타나지만 어떤 감염병은 만성적인 경과를 가진다. 특히 변이가 잦은 바이러스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변종이 출현하여 대응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1.4.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사회문제
감염병이 발생시키는 사회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위험이다. 감염병이 유행하기 시작하면 국민들은 두려움과 공포를 강하게 느끼게 되며, 건강에 대한 관심과 염려가 커진다. 이에 따라 주변을 지나치게 경계하게 되거나 기분이 가라앉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이 증가하면서 '코로나 ...
참고 자료
돈브라운, 신여명 역, 『코로나 팬데믹을 닮은 스페인 독감』, 두레, 2020.
앨프리드 W. 크로스비 ,『인류 최대의 재앙, 1918년 인플루엔자』 , 서해문집 , 2010.
마크 호닉스바움, 제호영 역, 『스페인독감부터 코로나19까지 전 세계 전염병의 역사 : 대유행병의 시대』, 커넥팅, 2020.
캐서린 아놀드, 서경의 역, 『펜데믹 1918』, 황금시간, 2020.
김서형, 「공중보건국(USPHS)과 1918년 인플루엔자」, 미국사연구 31, 2010, pp.73-107
김현민, 「1918년 스페인 독감에 전세계 5천만명 사망했다」, 아틀라스, 2020. 03.02.
질병관리청(https://www.kdca.go.kr/)
김진용 (2020). 창의적 COVID-19검사: 드라이브스루 검사 도입계기와 효과. 제1회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추진 온라인 세미나 자료집.
김나영, “국가의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코로나 3법’개정”, 「현안입법 알 리기」2020-4호(통권 제4호), 국회도서관, 2020년.
고광욱 (2020).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신체활동수칙,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7(1), 109-112.
울리히 벡 홍성태 역,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2015
김남순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보건복지ISSUE&FOCUS, 373(2020), 1-13.
박혜자 (2016). 신종 감염병 대응에 대한 의료인의 윤리인식, 중앙대학교
강석훈 (2015).재난과 정신건강. 출판사:(주)학지사
박다솜(2017). 병원내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고려대학교 간호학석사학위 논문, 서울.
강유민․김가연․김연재․김재윤․신형식․진범식 (2006), 현대인과 바이러스, 국립중앙의료원.